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제
약
의약품
의약
약품
약물소독
소독
뉴스
"
약물
"(으)로 총 2,74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긋지긋한 항암제 부작용 없애는 기술 나왔다
2015.04.02
강해 효과를 보기 어려웠던 기존 항암제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약물
의 미토콘드리아 침투율을 높일 수 있어 항암제 효능 역시 한층 높아질 걸로 기대하고 있다. 강 교수는 “추가적인 임상 연구가 필요하지만 기존 항암제가 미토콘드리아에 잘 투입되도록 개선하는 ... ...
‘저주받은 하체’ 이 유전자 때문이었다
2015.03.25
듀크대 연구팀은 상체비만(Apple)과 하체비만(Pear) 등 체내 체지방 분포를 결정하는 유전자 '플렉신D1'의 역할을 알아냈다. - wikimedia 제공 하체비만을 일 ... 진행하면 내장지방의 관리 뿐 아니라 지방 축적과 관련된 다양한 대사질환들을 치료하는
약물
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반도체 회로 3차원으로 그리는 방법 찾아냈다
2015.03.25
발전시키면 반도체 제조공정 이외에도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패치형
약물
전달체, 물과 기름에 젖지 않는 표면 등 다양한 첨단제품 제조가 가능하다. 김 교수는 “이 기술은 3차원의 미세패턴을 대량생산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며 “학계와 산업계 대부분이 ... ...
난치병 ‘간질’ 치료 원리 찾았다
2015.03.24
현저히 줄어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 원리를 원리를 임상에 적용하면 기존
약물
로 치료가 어렵던 뇌전증 환자의 특효약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정호 교수는 “선천적으로 몸 전체에 돌연변이가 분포한다는 기존 학설을 뒤집고 뇌에만 돌연변이가 발생해 난치성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만들기도 했다. 몸이 이리신을 많이 만들게 하거나 이리신을 대신할 수 있는
약물
을 만들 경우 획기적인 다이어트법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 역시 이 연구에 깊은 인상을 받아 한 에세이에서 소개하기도 했다(과학카페82 ‘똑같이 먹었는데도 살 안찌는 비결은 뭘까?’ 참조). 그런데 ... ...
[2020 미래 바이오 전략] 줄기세포 치료제 시장, 한국이 선점 나섰다
2015.03.20
안트로젠은 크론병으로 염증이 생겨 소화기관에 구멍이 뚫린 경우 이를 치료하는
약물
‘큐피스템’을 개발해 시판 중이다. 줄기세포 치료제 큐피스템 안트로젠 관계자는 “줄기세포 치료제는 다른 사람의 몸에서 뽑아낸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동종줄기세포와 자신의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 ...
아토피, 천식…난치성 알레르기 질환 완치되나
2015.03.18
생기지만 인체의 방어작용이 원인이라 뚜렷한 치료약이 없었다. 염증 반응을 차단하는
약물
등은 나와 있지만 증상을 완화할 뿐 근본적인 치료는 어려웠다. 동아일보DB 제공 국내 연구진이 이 같은 알레르기성 질환을 완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처음으로 열었다. 김혁순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 ...
노년층 입원 질환 1위 백내장, 원인은 ‘노화’
동아닷컴
l
2015.03.18
경우도 있어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 한번 혼탁해진 수정체는 다시 맑아지지 않는다.
약물
치료로 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지만, 심한 백내장은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은 안구를 3㎜ 정도로 작게 절개한 뒤, 혼탁해진 수정체를 초음파로 잘게 부숴 빼내고 그 자리에 새로운 인공수정체를 넣는 방법으로 ... ...
신용카드보다 얇은 배터리 나왔다
2015.03.17
약물
전달 패치와 하나로 합쳐 만든 초박형 배터리.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신용카드보다 얇고 자유롭게 구부릴 수도 있는 초박형 배터리를 개발했다. 무선 충전도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의 성능개선에 큰 도움을 줄 원천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 ...
암세포 스스로 자살, 신개념 항암제 나온다
2015.03.16
거의 없었다. 연구팀 또 이미 항암제로 쓰이는 ‘독소루비신(Doxorubicin)’ 이란
약물
을 아폽토졸과 함께 처리하면 항암효과가 한층 높아진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자궁경부암에 걸린 생쥐에 아폽토졸과 독소루비신을 제각각 투여했을 때는 암 조직이 각각 68%와 61% 감소했지만 두 가지를 함께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