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토대
터전
기본
근거
기틀
파운데이션
뉴스
"
기반
"(으)로 총 8,585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첫 인공지능 윤리·신뢰성 기준 생긴다…AI 단체표준 제정
동아사이언스
l
2023.12.12
요구사항에 대한 검증 프로세스를 표준화하고 단체표준의 내용을 분야별로 확대해 위험
기반
의 검증 항목·절차에 대한 표준화를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영국 등 글로벌 주요국과 표준화 협력을 강화해 AI 윤리·신뢰성 관련 표준에 대한 글로벌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박윤규 ... ...
잠이 보약…건강한 꿀잠 여부 AI로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12
불면증 위험도 등 3가지 질환을 90% 정확도로 예측했다.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이 AI
기반
수면질환 검사 알고리즘을 앞서 개발했으나 목둘레, 혈압 등 즉각적으로 답하기 어려운 항목이 포함돼 있고 예측 정확도는 70%에 그쳐 이번 연구팀의 알고리즘이 보다 유의미한 성과를 보였다. 슬립스 ... ...
12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김주혁·김민현
동아사이언스
l
2023.12.11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김 대표가 개발한 종합도로정보플랫폼 서비스는 음파
기반
의 인공지능 도로상태분석 센서를 통해 도로살얼음(블랙아이스)를 포함한 10가지 도로 표면의 미끄럼 상태를 95% 이상의 정확도로 분류하고 관련 기관이나 사용자에게 그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김 ... ...
미생물로 플라스틱 만들고 분해까지...“미생물 대사공학 활약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3.12.11
유래 천연 고분자(PHA) 등 유망 바이오 플라스틱까지 다양한 플라스틱에 대한 미생물
기반
기술 상용화 현황과 최신 기술에 대해 논했다. 이러한 플라스틱들을 미생물과 미생물이 가진 효소를 이용해 분해하는 기술과 분해 후 다른 유용화합물로 전환하는 업사이클링 기술도 소개했다. 미생물을 ... ...
극저온 분자 '양자 얽힘' 첫 구현...양자컴 상용화 빛 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2.11
다가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 '동전던지기'에 비유되는 양자현상 양자기술의
기반
이 되는 물리 법칙인 양자역학의 핵심 '양자얽힘'과 '양자중첩'이 구현돼야 양자컴퓨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하버드대·MIT극저온원자센터와 함께 2012년부터 이번 연구에 참여한 채은미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는 ... ...
유럽연합, 세계 첫 AI규제법 합의…"안면인식 기술 금지"
동아사이언스
l
2023.12.10
OECD)에서 지정한 'AI시스템'의 정의를 따른다고 밝혔다. OECD에 따르면 입력된 명령을
기반
으로 예측, 콘텐츠 생성, 추천, 결정과 같은 출력물을 생성하는 게 AI 시스템이다. 이번 AI 규제법은 개인의 생체정보를 무분별하게 수집해 딥페이크 영상이나 이미지 등을 만드는 안면인식 기술을 금지했다. ... ...
[과기원NOW] GIST, 단일 이미지로 3차원 인물 복원 데이터넷 무료 공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07
있지만 쉽게 분해돼 응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압타머가 인산이수소콜린
기반
이온성 액체에서도 여러 기능을 유지할 수 있음을 검증해, 핵산가수분해효소가 들어있는 ‘물’이 아닌 또 다른 환경에서 기능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연구팀은 핵산가수분해효소가 섞여있는 타액에서 ... ...
뉴로모픽 소자로 활용…‘유기물 전자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2.07
박막을 구현해 세계 최고 수준의 전기화학 트랜지스터 특성 평가지수를 갖는 유기물
기반
전기화학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윤 교수는 “혼합형 전도체의 분자 구조 및 미세구조 제어 기술을 통해 그동안 단점으로 지적된 혼합형 전도체 전하 이동도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며 “향후 ... ...
하루 4시간 이상 스마트폰 보는 청소년, 더 많은 우울증
동아사이언스
l
2023.12.07
취지다. 먼저 2017년과 2020년 각각 수집된 '청소년 위험행동'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
으로 전국 793개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청소년 약 5만 4809명의 일일 스마트폰 사용 시간의 추이를 분석했다. 설문조사에는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비롯해 정신·신체 건강과 관련된 문항 103개가 실려있었다 ... ...
R&D 혁신하자며 학회에 손내민 정부…"퍼스트 무버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3.12.07
모니터링을 통해 기술과 트렌드의 미세한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기술 다원성에
기반
해 다양한 미래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27일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과의 오찬간담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퍼스트 무버로 전략을 전환해야 한다”며 “R&D 체계를 이러한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