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재교육원 탐방] 융합과 연결로 가능성 꽃피운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시작했거든요. 저는 모든 사람이 보석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Q 학생 선발은 어떻게 하나요?되도록 많은 학생에게 자신의 영재성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주려고 합니다. 그래서 초등학교 영재학급의 교사가 추천한 학생을 대상으로 선발하는 전형과 함께, 영재학급에 들어가지 못한 학생들도 ... ...
- [본격 게임 채널] 던전앤파이터, 단리와 복리로 데미지 계산하기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목소리가 좋다는 점도 매력이죠. Q 고수들은 데미지를 일일이 계산해서 아이템을 장착하나요?대부분은 몇몇 플레이어가 계산해 놓은 조합대로 아이템을 장착해요. 하지만 계산이 잘못됐다거나 원하는 조합이 필요할 때 직접 계산해서 쓰죠. Q 던전앤파이터 고수가 되고 싶은 친구들에게 조언 ... ...
- 모기, 너란 놈... 며칠 듯이 잡고 싶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감염으로 알이 죽는 경우를 ‘세포질 불합치’라고 하는데, 곤충학에서는 8대 발견 중 하나로 꼽는다. 다만 그 원리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볼바키아는 모기 개체수를 줄일 뿐만 아니라 모기가 매개하는 뎅기열 바이러스, 지카 바이러스의 숙주 내 복제를 억제하며, 감염모기의 흡혈 ...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최근 인공지능 연구는 인공지능에게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로 꼽힙니다. 최근에는 데이터를 석유에 비유하기도 합니다. 석유는 그 자체로는 별 값어치가 없지만 석유를 잘 정제해서 휘발유와 경유를 만들고 플라스틱 등 각종 석유화학물질을 만들면 산업을 ... ...
- [큐레이터] 빛으로 공간을 만드는 예술가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순간 거대한 붉은 빛줄기가 보입니다. 이 작품은 복도나 전시 공간에 빛을 투사해, 하나 이상 겹쳐진 면과 선을 만든 작품입니다. 앞서 터렐은 빛을 물질로 여겼다고 했지요? 빛이 마치 물질이 된 것처럼 보이도록 만든 작품입니다. 붉 은 조명이 비스듬하게 보이는 면을 만들고, 그 위에 푸른 빛의 ... ...
- 빅데이터, 시험, 감옥… 세상에서 하나 뿐인 주기율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주기율표 탄생 150주년을 기념해 개최한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대회’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대한화학회와 한국화학연구원이 주최하고 과학동아가 주관한 이번 대회에는 중등부와 고등부를 통틀어 개인과 팀에서 총 130개 작품이 출품돼 경합을 벌였다.심사는 5월 17일 서울 용산구 동아사 ... ...
- 개미왕국 거대한 가족, 초군체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사회성 곤충이에요. 한 장소에서 집단으로 ‘군체’를 이루고 살지요. 일반적으로 하나의 개미 군체에서 여왕개미는 한 마리예요. 그런데 여왕개미 여럿이 수많은 일개미를 거느리며 매우 큰 군체를 이룬 것을 ‘초군체’라고 해요.초군체를 만드는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최재천 교수는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모래알이 몇 개 모여야 더미일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오늘은 제가 생각 실험을 위해 한 학교 운동장에 한가득 모래알을 쌓아 두었습니다. 여기 있는 모래알은 1000경 개 정도 되지요. 사람들은 분명 이걸 보고 ‘모래더미’라고 할 거예요 ... 36㎍/㎥ 이상이면 나쁨일까요? 그럼 35.99㎍/㎥은 안 나쁜 걸까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 ...
- [인터뷰] 박형주 아주대 총장 - 연결’로 문제를 해결하는 폴리매스형 인재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안에서도 서로 다른 분야를 연결해 큰 문제를 해결한 사례입니다. 결국 영재교육에서도 하나가 아닌 여러 가지를 보는 능력을 길러줘야 합니다. 폴리매스 프로젝트는 어떻게 보시나요?최초의 폴리매스 프로젝트는 필즈상 수상자인 팀 가워스가 2009년에 조합론 분야의 난제를 자신의 블로그에 올려 ...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실시했다. 기존 생물이 사라질 수 있다는 점도 GM 모기 방사를 반대하는 주요 논리 중 하나다. 모기는 교미한 암컷을 제외하고는 꽃의 꿀을 먹으며 동시에 수분을 돕는다. 또한 생태계에 있는 유기물을 섭취하는 동시에 다른 동물의 먹이가 되기도 한다. 모기가 사라질 경우 이런 먹이사슬이 붕괴될 ... ...
이전2522532542552562572582592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