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프리카 최초 GM 모기 방사, 모기박멸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유전자 드라이브(gene drive)’ 방식을 이용했다. 유전자 드라이브는 유전자 변형 기술 중 하나로, 특정 유전자를 개체에 삽입한 뒤 전파해 결국에는 생물종 전 개체군의 유전형질을 바꾸는 방법이다. 1. 뉴클레이스 I-PpoI를 생산하는 유전자를 수컷 모기에 삽입한다. 이 뉴클레이스는 수컷 정자의 X ... ...
- 겨울왕국 ‘엘사 아빠’ 김상진 감독 “애니메이터에게 필요한 건 상상력과 지구력”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감독은 “애니메이션은 실사 영화와 달리 캐릭터, 건물, 배경, 심지어 풀 하나, 돌멩이 하나까지 모든 것을 100% 창조해내야 한다”며 상상력이 중요한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다른 영화와 차별화되는 무언가를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끊임없이 떠올릴 수 있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국 최초의 우주인이 된 여성, 헬렌 샤먼(Helen Sharman)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마음이 들면서도 조심스러웠다. 그래서 질문을 더욱 신중하게 골랐던 것 같다. 그중 하나가 우주인에 함께 도전한 동료들에 대한 이야기였다. 우주인 도전 과정에서 만난 사람들은 무언가 특별한 경험을 공유한 덕분인지 서로 각별하게 느낀다. 나의 경우도 한국 우주인 선발 과정에서 245명 ... ...
- 피플┃룩셈부르크는 왜 소행성 광물 탐사에 나섰나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개의 일자리가 추가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룩셈부르크가 우주로 눈을 돌린 또 하나의 이유는 바로 환경이다. 슈나이더 부총리는 “우리의 목표는 이전에 탐험하지 못했던, 우주를 떠도는 생명이 없는 소행성이 지닌 광물 자원에 접근하는 것”이라며 “지구 자연에 끼치는 피해는 없을 ...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강하니까 외계 생명체의 몸이 좀 더 단단하고 뻣뻣하지 않을까. 외계생명체를 찾는 또 하나의 중요한 방법은 외계생명체가 보낸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이다. 그동안 외계인이 지구를 방문했다거나, 그들이 탄 미확인비행물체(UFO)를 봤다거나, 심지어 그들에게 납치된 적이 있다고 주장하는 ... ...
- 질서┃거대구조, 초은하단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초은하단을 포함한 주변 초은하단의 특이속도를 계산한 결과, 세 개의 초은하단이 하나의 거대인력체에 이끌리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2014년 툴리 교수는 세 개의 초은하단을 묶어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이라 명명하고, 초은하단을 새롭게 정의했다. 기존의 처녀자리 초은하단은 이제 초은하단의 ... ...
- [인터뷰] "문제를 풀었을 때 느끼는 희열이 제 원동력입니다"수학동아 l2019년 07호
- ” 많은 사람이 사용할 프로그램을 만드는 서 교수의 꿈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이 꿈 하나로 약 25년간 일한 서 교수는 끝으로 수학동아 독자들에게 목표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인터뷰를 마쳤다. ... ...
- 탐험┃소행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가지다. 하나는 지구와 충돌 가능성이 높은 소행성이 있는지 감시하기 위해서고, 나머지 하나는 소행성을 탐사해 태양계의 탄생과 별의 진화에 관한 단서를 찾기 위해서다.소행성 탐사는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NASA는 행성의 지위를 잃고 ... ...
- [동아리탐방] 수학에 눈뜨자! 경희여고 MathEye수학동아 l2019년 07호
- 활동은 없다. 하지만 앞으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학기 초에 기획한 목표 중 하나는 수학을 이용한 이모티콘 ‘매스티콘 만들기’다. 이 아이디어를 낸 3학년 공수민 양은 “일상생활에서 수학 용어나 기호가 많이 쓰이게 만들고 싶어 수학 용어를 활용한 이모티콘을 만드는 활동을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풍속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움직여 순환이 이뤄진답니다. 그런데 이 논리에 따르면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각각 하나의 대순환만 일어나야 해요. 하지만 실제로는 위도 30°와 60°를 기준으로 대기의 순환이 나뉘지요. 이는 지구가 자전하면서 위도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바뀌기 때문이랍니다. 이처럼 위도 30°와 60°를 기준으로 ... ...
이전2542552562572582592602612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