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마이크로파로 썼다 지우는 메모리 나올까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국내 연구팀이 인공지능 컴퓨터를 위한 차세대 메모리소자를 개발하기 위한 길을 열었다. 이기진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마이크로파 하나만으로 강자성 물질의 성질을 ... 한계를 뛰어 넘을 것”이라며 “사람의 신경망을 닮은 메모리를 개발하는 데에도
활용
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증진시키는 콘텐츠도 개발하고 있다. 부정적인 면을 줄이고 긍정적인 면을 최대한
활용
하기 위해서다. 또 언젠가는 홀로그램 기술을 실현시켜 아무 장비 없이도 편리하고 실감나게 가상세계를 즐길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다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커서 통제하기가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두뇌의 놀라운 능력을 긍정적으로
활용
하기 위한 신경과학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마음과 몸의 건강을 되찾는 그날까지 기자 역시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가깝다. 유전자 변이가 가장 오랫동안 일어났다는 뜻이기 때문이다.연구자들이 연구에
활용
한 변이는 단일염기다형성(SNP)이었다. 단일염기다형성은 같은 종에서 단일한 DNA 기본 염기 서열 중 차이를 보이는 유전적 변화 또는 변이를 말한다. 인간의 경우 33억 개의 염기쌍에서 약 0.01%가 ... ...
[Culture] 미래사회에도 인간이 필요할까요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아트 전시회의 한 장면이다.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아트센터 나비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
한 미디어 아트 전시회를 열었다. 한국에서는 처음이고 세계적으로도 사례가 많지 않다. 앞서 언급한 작품은 홍콩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뉴미디어아트의 선구자 모리스 베나윤이 토비아스 클랭, 장 ... ...
[페르미 추정] 잘 쓰면 과학자 못 쓰면 사기꾼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물리학에서 페르미 추정은 흔하게 쓰인다”고 말했다.원 교수는 자신이 페르미 추정을
활용
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레이놀즈 수를 들었다. 레이놀즈 수는 흐르는 물질(유체)이 이동하던 방향으로 계속 가려는 힘(관성)과 유체의 점성에 의한 힘 사이의 비율이다. 만약 유체가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 ...
[Future] 구글·네이버 번역기가 갑자기 ‘열일’하게 된 이유는?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방식이다.이번에 출시한 구글 번역기는 ‘신경망 기계번역(NMT, Neural Machine Translation)’을
활용
한다. 인공신경망은 사람의 뇌 구조를 모사한 학습방법으로, 중요한 기억에 대해서는 연결을 강화하는 뉴런과 시냅스의 작용을 모사한다. PBMT의 경우 문장이 길어지면 서로 멀리 떨어진 단어들을 ...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현재 우주는 어떨까. 그동안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 같은 외부은하 탐사자료를
활용
해 근처 우주 물질이 실제로 균일하게 분포해 있는지 알아보려는 시도가 여럿 있었다. 주요 결과들은 3억 광년 이상의 규모부터 균일하다고 주장한다.방법은 이렇다. 탐사 영역 안의 한 은하를 중심으로 ... ...
[Origin] 원숭이 사회에 흔한 관계, 동성애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의존하기 때문에 색깔을 구분할 수 있는 유전자가 늘고 있다. 반면 후각 정보는 많이
활용
하지 않아서 냄새를 맡는 유전자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 만약 동성애 유전자라는 게 있다면(후보가 있지만 아직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다), 유전자가 사라지지 않고 선택돼왔다는 얘기다.이유는 무엇일까. 가장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잘 알고 있었기에 공동연구를 시작할 수 있었다. 최홍수 교수가 난치병 치료제 개발에
활용
할 수 있는 마이크로 로봇을 연구하기 시작하면서 유 교수에게 먼저 손을 내밀었다. 두 사람의 로봇 연구는 그렇게 시작됐다.처음 연구를 시작한 2010년은 물론 현재까지도 마이크로 로봇은 개발하기 쉽지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