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뉴스
"
단위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나라 표준시간 송출방식 FM에서 AM으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7
위해 전 세계는 일종의 ‘시간 방송국’을 만들어 자국의 표준시각을 전파에 실어 전국
단위
로 뿌려주고 있다. 우리나라는 1984년부터 대전에 있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표준주파수국에서 FM라디오와 비슷한 ‘5메가헤르츠(MHz)’의 단파에 시간 정보를 실어 24시간 송출하고 있다. 이를 활용하는 ... ...
봄철 산불 예방하려면 소나무 베라?
동아사이언스
l
2014.03.02
못하도록 만든 부위다. 원명수 박사는 “미국 서부와 같이 넓고 평평한 산지에서는 50m
단위
로 방화선을 대규모로 설치하지만 우리나라의 산지는 좁고 경사가 급하기 때문에 산지 내 작은 길을 설치해 부가적으로만 산불 예방 효과를 보고 있다”고 밝혔다 ... ...
'중성자'로 답보 상태 수소 저장 기술 돌파구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1
돌파구를 열겠다는 것이다. 중성자는 양성자, 전자와 함께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
로, 원자로에서 우라늄 원자의 핵분열을 통해 얻거나 높은 에너지로 가속된 입자 빔을 표적 물질에 때려 원자핵이 쪼개질 때 나온다. 이렇게 얻은 중성자를 빔으로 쏘면 중성자가 산란해 원소에 부딪힌 후 ... ...
코끼리보다 쥐 심장이 빠르게 뛰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4.02.18
지탱하기 위해서는 대사량도 함께 늘려야 한다. 하지만 식물과 달리 체중이 늘어날수록
단위
중량 당 표면적이 줄어드는 동물은 대사과정에서 생기는 열을 배출할 방법을 새롭게 강구해야만 했다. 동물은 체중이 늘수록 대사과정을 느리게 하는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는 것이 연구진의 ... ...
“눈폭탄 떨어진 것 맞네“…인공위성으로 본 강원도 폭설현장
동아사이언스
l
2014.02.18
지상을 1m
단위
로 구분할 수 있는 고해상도 인공위성이다. 2012년 발사한 아리랑 3호는 70cm
단위
로 구분하는 고해상도 전자광학카메라를 탑재하고 있다. 아리랑 2호로 촬영한 ‘속초 종합경기장’ 위성사진. 눈이 내리지 않은 2012년 5월 8일(왼쪽) 사진과 2014년 2월 12일 촬영 한 폭설후 사진(오른쪽)이 ... ...
암세포 쉽게 판독하는 수술용 영상장치
동아사이언스
l
2014.02.16
수술이 한결 쉬워진다. 연구팀은 이 영상장치가 암세포가 포함된 조직과 정상 조직을 1mm
단위
로 정교하게 구분할 수 있어 수술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킬레푸 교수는 “ICG는 체내에서 오랜 시간 사용하기 어려워 더 효과적인 표적물질을 찾고 있다”며 “앞으로 암 환자들이 ... ...
거울로 보면 ‘수학’과 ‘물리학’은 대칭 관계
수학동아
l
2014.02.13
인정받아 포스코 청암과학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거울대칭이론은 우주의 최소
단위
를 점이 아닌 끈으로 보는 물리학의 초끈이론을 뒷받침해 주는 수학 이론이다. 지금까지는 거울대칭이론의 여러 현상들을 물리학, 수학 등 개별 분야의 이론들로 각각 설명해야 했다. 하지만 김범식 교수가 ... ...
[채널A] 정부, 철새 이동경로 실시간 감시…3월까진 비상
채널A
l
2014.02.12
실시간으로 위성에 전송됩니다. AI가 전국에 확산됐던 지난 달 말, 이동경로가 수 백 미터
단위
로 상세하게 나타납니다. 야행성이고 활동범위가 불규칙한 가창오리의 위치를 추적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인터뷰 :서민환/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 철새들의 움직임을 실시간 접수해서 ... ...
녹조로 시달리는 영산강 가치가 年3150억원?
동아사이언스
l
2014.02.05
화살표로 연결해 ‘다이어그램’을 만든 후 이들 각각의 에머지 크기를 계산해 일의
단위
를 구하고 이를 우리 돈 가치로 환산했다. 에머지를 계산하기 위해 작성한 '에너지 시스템 다이어그램' - 한국해양학회지 제공 그 결과 영산강에 유입되는 총 에머지는 연간 9해4200경seJ(1seJ는 1J의 일을 ... ...
꿈의 소재 ‘그래핀’ 상용화 눈 앞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4.02.02
것이 큰 장점이었다. 이 소재를 에너지 저장소자인 수퍼커패시터 전극에 활용했더니
단위
면적당 용량이 기존 세계 최고 수준(4.04 mF/㎠)의 소재보다 8배(33.8 mF/㎠)나 높게 나타났다. 또 이 젤을 산화티타늄, 실리콘 나노입자 등 다양한 나노입자와 결합해 복합재료를 만들어 활용 범위를 넓힐 수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