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d라이브러리
"
주장
"(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열역학이 밝혀낸 다이어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미 뉴욕주립대 리차드 파인만 교수와 야코비의학센터의 유진 파인 박사는 이 같은
주장
을 담은 논문을 ‘영양학 저널’ 7월 28일자에 발표했다. 이들은 “열역학 제1법칙은 반응 전후의 전체 에너지가 보존된다는 것을 이야기할 뿐, 에너지가 어떤 형태로 재배치되는가를 설명해주는 것은 열역학 제 ... ...
호킹은 왜 자신의 블랙홀 이론을 수정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최근 관심의 집중을 받고 있는 감마선폭발 천체의 일부가 호킹 복사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
이 제기된 바는 있으나 초기 우주의 밀도 분포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므로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과학동아 2004년 2월호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참고).한편 2007년 완공될 ... ...
① 천재선수, 유전자부터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벵트 살틴 박사는 1990년대 이를 밝히는 연구에 뛰어들었다. 10여년간의 연구결과 위의
주장
대부분은 근거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신 케냐인의 경우 같은 양의 산소를 소모했을 경우 유럽인보다 10% 정도 더 달릴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비결은 새처럼 길고 가는 다리.몸의 중심에서 ... ...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그렇다면 사이버 세계의 왕따를 생산하는 심리는 과연 무엇일까. 익명성 때문이라는
주장
만으로는 설득력이 약하다. 일부 학자들은 군중심리에서 그 원인을 찾는다. 이와 관련해 재미있는 몇가지 실험이 실시됐다. 사회심리학자 솔로몬 애쉬는 사람들의 동조성향이 얼마나 일어나는가를 실험을 ... ...
6. 재미가 두뇌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내놨다. 그는 또 인간 두뇌와 게임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능력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
했다. 게임이 과학소설처럼 미래 기술에 대한 예측력과 습득 능력을 끌어올리는 강력한 도구라는 것이다. 이런 결과는 비디오게임이 게임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운전실습이나 군사훈련에까지 활용되게 한 ... ...
달에 얽힌 10가지 진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셈이다.한편 래테 교수는 설사 화성에 물이 존재하더라도 생명체가 탄생할 수 없다고
주장
한다. 화성의 달인 포보스의 경우 크기가 워낙 작아 조석력이 지구의 달의 1%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의 가설에 따르면 물을 증거로 화성의 생명체 존재를 입증하려는 화성탐사선의 노력은 쓸데없는 일인 ... ...
'꿈의 차세대 원자로' 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변한다. 태양광, 풍력 등 대체에너지 개발도 아직은 더디다. 차세대 원자로가 전문가들의
주장
대로 ‘깨끗하고 안전하면서 값싸게’ 개발된다면 원자력 발전은 에너지 위기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를 것이다.고준위 핵폐기물핵연료를 태우고 남은 폐기물. 방사능이 많이 나와 고준위라고 한다. ... ...
챔피언의 힘은 어디서 오는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중생대까지 한 거대한 대륙이던 것이 그 후에 분열 · 이동하여 오늘의 형태가 되었다고
주장
했으나 이동을 가능케 할 물리적 기구가 불충분하다는 이유로 부정되었다 알베르스-쉔베르크(Albers-Schönberg)병에서 야기되는 뼈의 변화 뼈의 형태나 크기에는 변화가 없이 경화하는 것이며 골수강(骨髓腔)이 ... ...
1. 인터넷 시대 심리를 알아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눈을 자극하는 감각 재료들을 디지털 이미지로 재구성해 실제 지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
이었다. 요즘 나온 대다수의 공상과학영화에서 등장하는 컴퓨터 그래픽은 이런 마의 이론을 충실히 따른다.물론 이보다 더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분야는 웹디자인 쪽이다. 포탈사이트 화면에 펼쳐지는 ... ...
기계가 정말 반란을 일으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연산처리 능력이 18개월마다 두배의 속도로 증가한다는 것으로 1965년 고든 무어 박사가
주장
했다. 당시 과학자들은 증가 속도의 물리적인 한계를 얘기하며 무어의 법칙이 10년 내에 무너질 것이라고 생각했다.하지만 예상을 깨고 무어의 법칙은 지금까지도 지켜지고 있다.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