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d라이브러리
"
주장
"(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호킹 박사, “내 블랙홀 이론 틀렸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블랙홀에서 빨아들였던 물질의 정보는 나오지 않고 단순한 빛만 사방으로 퍼져 나온다고
주장
했다.하지만 미시세계를 지배하는 양자역학에 따르면 정보가 완전히 소멸하는 현상은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제기돼 왔다. 이런 입장에 섰던 대표적 과학자가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의 존 프레스킬 교수. ... ...
자존심의 승리인가, 무모한 도박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전쟁을 선포해야 했고, 1965년 예산 국장 슐츠는 아폴로 계획의 예산을 삭감해야 한다고
주장
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이미 아폴로 계획은 미국인의 자존심의 상징이 됐고, 이 때문에 반대의 목소리에 힘이 실릴 수 없었다. 존슨 역시 아폴로 계획이 성공하면 다른 정책적 결함은 묻혀질 수 있을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원전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지진이 발생할 확률은 1만년에 한번꼴”이라고 말했다.이런
주장
에 대해 이 교수는 “규모 5.2인 이번 지진이 발전소 아래에서 났더라도 별 문제는 없었을 것”이라며 “한반도에서 규모 6.5가 넘는 지진이 날 확률이 낮은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 교수는 ... ...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생물이 공존한다는 생각은 철저히 외면당했다. 비슷한 시기 지의류와 조류의 공생을
주장
한 영국 생물학자 베아트릭스 포터 역시 과학계에서 배척당했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포터를 ‘피터 래빗’을 탄생시킨 위대한 동화작가로만 기억하지만, 만약 지의류에 대한 그녀의 연구가 ... ...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교수 이영숙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형제들’을 읽은 후 심각한 고민에 빠졌다. 똑같은 문제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
을 하는데도 양쪽 모두 너무 설득력이 있었다. 도저히 어느 편을 들어야 할지 판단할 수 없었다. 그때부터 누구든지 똑같은 과정으로 똑같은 실험을 하면 똑같은 결과가 나와서 아무리 궤변을 늘어놓아도 부정할 수 없는 ... ...
사막화되는 독도 앞바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독도의 해조류 분포가 남해구나 제주구에서 분리된 독립구역으로 존재한다는 과거의
주장
이 설득력을 점차 잃고 있다. 이 지역의 해조류 생태계가 바뀌고 종이 많이 감소돼 독도의 해조상이 남해구나 제주구와 유사한 환경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독도 연안의 해조류 생태계를 좀더 자세히 ... ...
과학으로 승부한다 - '무어의 법칙' 을 추월한 괴력의 삼성전자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2천배나 늘어났다.반면 ‘황의 법칙’ 은 메모리의 집적도가 1년에 2배씩 증가한다고
주장
한다. 이 법칙은 삼성전자 반도체 총괄 사장인 황창규(51) 박사의 이름을 따서 미국 반도체 전문가들이 붙였다.황창규 박사. 서울대 전기공학과를 졸업하고 매사추세츠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황 박사는 ... ...
협력의 산물인가 경쟁의 산물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최초 구상자는 자신이라며 특허권이 자신에게 있다고
주장
했다. 그러나 벨연구소가 그의
주장
을 받아들이지 않아 특허권을 두 사람에게 빼앗길 위기에 처했다.다급해진 쇼클리는 자신이 직접 이 증폭기보다 더 나은 것을 만들기로 했다. 4주를 꼬박 작업에 매달린 쇼클리는 1948년 1월, 접촉 ... ...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나라는 그리 많지 않다. 일본만 해도 편경이 만들어지지 않았다. 여기에는 당시 스스로
주장
막대로 박자를 짚으며 중국의 율려신서를 공부한 세종대왕과 음률에 통달한 박연 등이 기여한 바가 크다. 세종장헌대왕실록 15년 1월 1일자를 보자.왕은 새로 만든 편경 두틀을 가져 오라 하여 중국에서 준 ... ...
사회적 책임 다하는 과학비평가이고 싶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다룬 책만 소개한다는 처음 다짐을 지금까지 지키고 있다.두번째는 한쪽의 일방적인
주장
을 담은 책보다는 다양하고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책을 선택하겠다는 것이다. 마지막 세번째는 과학기술이 인류의 미래를 행복하게 해줄 수 있는가를 생각하고, 인간을 위한 과학을 추구하는 책만 내기로 한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