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활용
반사
끝바꿈
어미변화
대기차
어형 변화
d라이브러리
"
굴절
"(으)로 총 489건 검색되었습니다.
폐암 토막상식
과학동아
l
200509
고체내의 전자(고전역학에서는 입자임)의 움직임도 파동성을 띠게 된다 전자도 반사
굴절
간섭 회절 등에 따른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양자효과의 일예로 에너지준위를 들 수 있다 고전적으로 웅덩이 속에 있는 돌멩이는 어떠한 에너지 준위에도 존재할 수 있다(총에너지는 위치에너지와 ... ...
도전! 판타스틱4
과학동아
l
200509
달라야 한다. X선은 높은 진동수로 떨기 때문에 우리 몸을 지나간다. 즉 우리 몸을 공기의
굴절
률과 같은 물질로 만들고 진동수는 빛과 다르게 만들면 몸이 투명해진다. 그러나 망막까지 투명해지면 주변을 볼 수가 없다.다른 방법도 있다. 일본 도쿄대 다치 스스무 교수는 2003년 투명인간 옷을 ... ...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508
인 물체를 정전기장 속에 두면, 마치 변형을 가한 경우처럼 일시적인 비등방성을 띠고 복
굴절
성 물질로 변하는 현상이며 자기광학적인 것은 직선편광이 자극(磁極)에서 반사하면 타원편광으로 변하는 현상공기가 흐르는 현상이나 공기의 흐름이 물체에 미치는 힘 또는 흐름 속에 있는 물체의 운동 ... ...
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508
보이는 빛, 가시광선도 렌즈를 통과하면 파장이 긴 빨간색과 파장이 짧은 보라색으로
굴절
률의 차이에 의해 분산된다 결국 렌즈를 통과한 상(像)은 선명하게 초점이 잡히질 않고 어른거리게 되는데, 이 현상을 색수차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렌즈를 하나만 쓰면 색수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 ...
미국의 새 우주 무기 계획
과학동아
l
200507
게 미기후다탄산칼슘이 주성분인 광물로서 이것을 통해 물체를 보면 이중으로 보이는 복
굴절
이 일어난다 석회암은 방해석의 미세한 입자로 되어 있으며, 이것이 변성작용을 받아 큰 방해석의 집합체가 된 것이 대리석이다뱀장어를 양식하는 원료에 해당되는 것으로 실뱀장어(001∼018g)와 실뱀장어가 ... ...
헤르츠의 전파검출 실험
과학동아
l
200507
확인했다. 이후 몇 달 동안 헤르츠는 평행한 전자기파를 만들어 전자기파의 직진, 반사,
굴절
등을 입증했고 도선으로 만든 편광판을 이용해 전자기파가 횡파라는 사실까지 확인했다. 이렇게 그는 전자기파가 빛이나 열복사선과 같은 성질을 띤다는 것을 보일 수 있었고 결국 맥스웰 이론을 ... ...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200507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렌즈의 특성을 이용해 불규칙한
굴절
률을 교정한다.렌즈 어떻게 눈에 맞나평소 렌즈 제조사는 사람들의 시력정보를 적극적으로 수집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여러종류의 렌즈를 사전에 제작해두고 시장에 내놓는다. 이 때문에 사람마다 수정체나 ... ...
계절마다 별의 위치가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507
폰드 또한 연주시차를 측정해 발표했으나 부정확했다. 기계의 불완전성과 대기
굴절
등으로 별의 위치에 오차가 많았기 때문이다. 또 유명한 천문학자인 핸더슨이나 에어리가 연주시차를 측정하기 위해 도전했지만 결국 실패하고 말았다. 이런 도전이 19세기 초까지 계속됐으며 거듭된 실패는 별의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06
부산물인 퓨젤유(油)에 주성분으로서 함유되어 있다 주로 액체 · 점성체(粘性體)의
굴절
률을 측정하는 광학기계 E 아베에 의해 고안된 것이다기울어진 두 직각 프리즘을 서로 마주보게 하고 그 사이에 시료인 액체의 앓은 층을 만든다 아베나 굴곡시험법의 단위 귀리의 일종인 아베니(Avena sativa) 싹의 ... ...
동굴 탐험가 어둥굴차스키의 실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4
번째 문제의 답물컵은 하나의 볼록 렌즈와 같다. 볼록 렌즈를 통해 물체를 보면 빛이
굴절
되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특히 물체가 볼록 렌즈에서 멀어질수록 물체는 거꾸로 보인다. 따라서 인형이 반대쪽에서 들어오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물컵을 놓고 연필 따위로 실험을 해 보자. 물컵에서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