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기
식기
밥그릇
주발
공기
저장소
선박
d라이브러리
"
그릇
"(으)로 총 410건 검색되었습니다.
양배추로 쓰는 편지
과학동아
l
200101
있었다. 보일은 실험을 마친 후 제비꽃다발에 묻은 황산연기를 씻어 주려고 물이 담긴
그릇
에 꽃을 담가두었다. 그런데 얼마 지나서 보일은 제비꽃이 빨갛게 변해있는 것을 보게 된다. 이에 놀란 그는 제비꽃에 다른 산 용액을 떨어뜨려 보았다. 그랬더니 마찬가지로 붉게 변하는 것이었다.보일은 ... ...
만약 30억개 염기쌍이 흩어져 있다면
과학동아
l
200009
힘을 다해서 무거운 것을 들고나면 유용하게 쓸 수 있는 힘이 남지 못한다는 뜻이다.
그릇
도 비어야 무엇을 담을 수 있듯이 원자도 허(虛)한 부분이 차있는 부분 못지 않게 중요할 수 있다. 하기는 모든 원자는 대부분이 빈 공간이다. 원자핵의 지름은 원자 지름의 10만분의 1 정도 밖에 안되고, ... ...
과학관 2백배 즐기기
과학동아
l
200008
멀리까지 보낼 수 있고 한 점에 집중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원심분리기큰 원통형
그릇
에 밀도와 색깔이 다른 두가지 액체가 들어있다.누구나 알다시피 밀도가 큰 액체가 가라앉아 있고 밀도가 작은 액체는 위쪽에 있다.그런데 이 원통이 빠르게 회전하면 아래쪽에 있었던 액체가 회전축 ... ...
사이펀 타이머
과학동아
l
200008
물분자가 수소결합에 의해 강하게 서로를 끌어당기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위쪽
그릇
에 있는 물질이 물이 아닌 모래였다면 높은 곳으로 올라가서 떨어지게 되더라도 더이상은 이어지지 않겠지만, 떨어지는 물분자는 끊임없이 다른 분자를 잡아당기기 때문에 계속 떨어진다.사이펀 타이머는 ... ...
아마존 정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07
고정시킨다. 비닐 가운데에 돌을 놓아 깔대기 형태를 만든다. 돌의 아랫부분에 물받이
그릇
을 놔둔다. 나뭇잎의 광합성 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수증기와 구덩이 속의 수증기가 일교차에 의해 비닐에 물방울로 맺힌 후 비닐을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모으면 된다. 물론 그리 큰 양은 아니다.이빨 있는 ... ...
무독성 안료 개발
과학동아
l
200006
와인 잔이나 오렌지색 세라믹 과일
그릇
과 같이 화려한 색상을 자랑하는 유리제품과 세라믹제품은, 마치 매혹적인 장미에 가시가 달린 것처럼 무서운 독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이들 색을 내는데 쓰이는 무기 안료에 중금속인 카드뮴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그런데 독일의 한 연구팀이 처음으로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③ 교실을 국립민속박물관으로 옮겨보자
과학동아
l
200005
뚫린 나무 뚜껑을 덮은 다음 그 구멍에 대롱을 꽂아 기체 에탄올을 바깥에 있는 다른
그릇
으로 모은다.세번째 유형은 전시관에 있는 눈사람 모양의 소주고리다. 이 소주고리의 위, 아래, 중간에는 모두 기체 에탄올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이 있는 판이 있다. 허리부분에는 증류된 에탄올이 나올 수 ... ...
측우기·수표·풍기죽
과학동아
l
200005
측정해 자연을 예측하고 이에 대비하겠다는 생각을 실천했던 사람들이다. 빗물을 모으는
그릇
은 다른 나라에도 있다. 하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이를 때마다 측정하고 한 달 치, 일 년 치 등의 통계를 내는 일은 하지 못했다. 그러나 우리 조상들은 측우기를 만들고 이를 전국의 관청에 설치해 각지의 ... ...
가장 좋은 자·가장 좋은 음악
과학동아
l
200004
기장으로 율관을 채우는 것은 기장이 천연의 물건이기 때문이다.천연의 물건을 천연의
그릇
에 채우면 율관의 길이와 용량,성음의 고저,율관의 무게가 모두 자연에서 생긴 것이고 사람이 참여하지 않은 것이다."전통과학의 자연관을 잘 볼 수 있는 설명이다.모든 제도는 자연으로부터 유래한 ... ...
3월 하늘의 북두칠성 시계
과학동아
l
200003
볼 수 있는 칠성각이 북두칠성 신앙과 깊은 관계가 있다. 그리고 할머니들이 새해 초
그릇
에 물을 담아 간절한 기도를 빌던 정화수는 자시(子時)에 북두칠성의 국자부분이 땅을 향해 기울 때 국자 속의 ‘하늘의 물’이 지상에 떨어져 생긴 하늘의 정기가 서린 물이라고 믿었다.그러나 6개의 2등성과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