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집적"(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 반도체 신화 강대원 소장·'아시아 슈바이처'이종욱 사무총장 과학기술유공자에 선정 동아사이언스 l2019.01.23
- GC녹십자를 국제적 생명과학 기업으로 도약시킨 고 허영섭 전 회장, 현대 반조체 집적회로의 기본인 모스펫(MOSFET)을 개발하고 대용량 비활성 메모리 기술의 기초를 이룬 플로팅게이트 등을 개발한 고 강대원 NEC 아메리카 소장, 한국 철강 기술의 현대적 기술 기초를 세운 고 김철우 포스코 ... ...
- 쌀알만한 군집 센서로 입체 영상 찍는다동아사이언스 l2019.01.22
- 기대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기존 OPA) 방식은 파장을 변조해야 하는데, 이런 광원은 집적이 어려웠다”며 “이번 연구는 소형화에 유리해 OPA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선임연구원은 “스마트폰에 장착해 얼굴인식 및 증강현실 서비스 등에 지원할 예정”이라며 “공정 ... ...
- 울산과기원, 입자 고르고 균열한 '그래핀 양자점' 개발2019.01.17
- 전자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는 '단전자 트랜지스터(전자 하나만 제어해 신호를 전달하는 집적회로 구성요소)'를 구현하는 것도 성공했다. 신 교수는 "그래핀 양자점 기반 단전자 트랜지스터는 빠른 정보처리와 저전력으로 작동하는 전자기기에 적용돼 기술적 진보를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 ... ...
- 국내 제약사, 세계 최대 바이오클러스터 보스턴에 잇단 둥지연합뉴스 l2019.01.13
- 미국 보스턴에 둥지를 틀고 있다. 세계 최대 바이오 클러스터(바이오산업 집적지)로 꼽히는 보스턴을 오픈이노베이션의 거점으로 삼는다는 취지다. 13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지난달 미국 보스턴에 현지 법인을 설립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3월 샌디에이고에 '유한USA'를 설립한 후 ... ...
- 지역 산업과 연구기관 만나 AI 시너지 낸다동아사이언스 l2019.01.07
- 학습해야 알고리즘을 고도화할 수 있다”며 “우리나라는 지역별로 특정 산업들이 집적돼 있는 경우가 많은 만큼 해당 지역의 기업, 대학 및 연구기관들이 상호 연계해 분야 맞춤형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9일 오후 서울 양재동 ... ...
- 올해 웨어러블 기술 키워드 '증강현실'과 '음성인식'2019.01.05
- 웨어 운영체계(OS)는 코드명 '블랙고스트'라 불립니다. 칩셋 자체에 내장된 전원 관리 집적 회로를 통해 배터리를 소모하지 않고도 언제든지 음성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웨어OS를 통해 스마트폰을 켜지 않고도 질문을 하거나 온라인에서 검색하고 스마트홈을 제어하는 구글 ... ...
- [과학게시판] 원자력연, 학습시스템 ISO인증 획득 外동아사이언스 l2018.12.12
- 을 열었다. 행사에서 강원대 분자구조·화학동역학 레이저 실험실, 광주과학기술원 집적광학연구실, 국가핵융합연구소 헬륨설비실, 한국산업기술대 유기화학고분자화학실 등 72개 연구실이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을 획득했다.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은 연구실 안전환경 시스템와 연구실 ... ...
- [표지로 읽는 과학]3D프린터로 출력한 뇌 신경망 모형 동아사이언스 l2018.12.01
- 제공 사람의 신경계나 반도체의 집적회로 같은 물리적 네트워크는 서로 겹치지 않는다. 신경계의 경우 무수한 신경망이 상호작용하지만 각각의 신경세포는 엄밀히 분리돼 있다. 시냅스(신경세포간 연결부위)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다. 반도체 회로 역시 각각의 노드(회로가 연결된 부분)의 ... ...
- 2021년 ‘알파고’한계 뛰어넘을 뇌 닮은 AI칩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8.11.25
- 칩 ‘네오(NeO)2C’를 개발 중이다. 2021년까지 총 120억 원이 투입된다. 네오2C의 반도체 집적도는 55㎚, 소모전력은 56㎽ 수준이다. 코어당 뉴런 수는 1000개로 로이히와 같다. 최근 연구진은 뉴런 1024개, 시냅스 19만9680개로 이뤄진 16㎟ 크기의 네오2C 코어 프로토타입을 완성하고 이를 이용해 ... ...
- '빵 덕후'라면 놓치지 말자, 밀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2018.11.17
- 낮다. 하지만 핫스팟을 알고 있으면 교배와 재조합 과정을 통해 관련된 유전자를 개체에 집적할 수 있다. 스파게티나 마카로니를 만드는 밀은 빵이나 면류에 쓰이는 보통밀이 아니라 ‘듀럼밀’이다. 듀럼밀은 보통밀과 품종이 완전히 다르고, 염색체도 4배체(AABB 타입) 28개다. 게티이미지뱅크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