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적
적축
누적
적립
축재
쌓아올림
쌓기
뉴스
"
집적
"(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빛 쓰는 '광컴퓨터' 빛 볼까…속도 100배 향상 '광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광소자 칩을 개발했다. 실리콘 포토닉스는 '빛으로 동작하는 회로'를 반도체 칩 안에
집적
하는 기술이다. 렌즈나 거울, 광섬유 등 고전적인 광학 부품 대신 실리콘 기반의 반도체 제작 공정을 활용해 광소자를 칩 상에 구현하는 방식이다. 라이텔리전스 연구팀은 빛이 한 번 깜빡할 때 64×64 행렬 ... ...
4월 과학기술인상에 오준학 서울대 교수…차세대 광센서 기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4.02
과기정통부 제공 기존 원편광 제어 기술은 편광판 등 별도 장치가 필요해 소자 소형화·
집적
화가 어려웠다. 편광판은 빛의 일부를 걸러내거나 특정 방향으로만 진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장치다. 키랄 광전자 소재는 편광판 없이도 원편광을 구현할 수 있지만 기존 소재들은 제작공정이 복잡해 ... ...
[과기원NOW] GIST 강지승 박사, 만 27세로 고려대 최연소 조교수 임용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31
소재다. 연구팀은 펜타플로로벤젠티올(PFBT)이라는 물질로 이황화몰리브덴을 칩에
집적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황(S) 원자 결함을 메워 저온 공정에서도 반도체 성능과 내구성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권 교수는 "저온 황 결함 회복 기술을 통해 앞으로 이황화몰리브덴뿐만 아니라 다양한 차세대 ... ...
2차원 신소재 '맥신' 초정밀 3D프린팅으로 270배 얇게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3.10
3차원 맥신 구조물은 배터리 등 에너지 저장 장치 분야에 활용되면 구조물의 표면적·
집적
도를 늘려 이온 전달 효율을 극대화하고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맥신 구조물 내부의 전자기파 다중 반사와 흡수 효과를 증폭해 차폐 효과를 향상할 수도 있다. 다양한 센서에서도 민감도와 효율을 ... ...
XR·로봇 '안성맞춤' 차세대 이미지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겹눈과 유사한 구조로 만든 3차원 디스플레이 기술인
집적
영상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집적
영상은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재현하는 기술로 관찰자가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경험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XR 기기나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등 첨단 산업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황 ... ...
전자 에너지 자유자재로 제어…양자컴 큐비트 성능 '업'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만들 수 있다. 단일전자 큐비트는 이론상 작은 면적에 수십 개를 구현할 수 있을 만큼
집적
성이 뛰어나 양자컴퓨팅의 규모를 확장할 기술로 주목받는다. 하지만 단일전자 큐비트는 외부 환경에 민감한 전자의 특성으로 인해 성능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큐비트의 성능은 양자 상태를 얼마나 정확히 ... ...
포스텍, 차세대 양자 물질 개발·연구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전자의 회전 운동으로 발생되는 각운동량을 이용하는 오비트로닉스는 초고속, 초고
집적
반도체를 만들 수 있는 전자공학 기술이다. 센터는 물질의 양자 각운동량 특성을 체계적으로 탐구하고 기존 정보 소자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센터 ... ...
차세대 친환경 건식 반도체 제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교수 연구팀이 황찬국 포항가속기연구소(PAL) 연구원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나노 미세
집적
회로 제작을 위한 극자외선(EUV) 반응 포토레지스트를 개발하고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반도체 건식 제조법을 구현했다고 17일 밝혔다. EUV는 엑스레이(X-ray)와 심자외선 스펙트럼 영역 사이인 대략 10~10 ... ...
[사이언스게시판] 유상임 장관, 광주 AI
집적
단지 현장 방문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성과를 확인하고 지역과 함께 국가 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서는 AI
집적
단지의 AI 인프라 등을 활용한 성공 사례, 혁신 제품서비스 개발 성과를 공유하고 지역 AI기업들의 애로사항과 정책 제안 등 현장 목소리가 나왔다. 또 최근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고성능·저비용 ... ...
'상온 양자역학'이 초전도체 LK-99로 오인된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스핀으로 옮겨가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한 기술이다. 또 양자컴퓨터는 여러 소자를
집적
해 만드는 복잡한 기계이며 오류를 최소화하고 양자 연산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우선 과제다. 양자컴퓨팅 활용 가능성은 있다. 정 교수는 “양자컴퓨팅이 결국 스핀을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고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