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풍조
사조
경향
추세
기후
뉴스
"
풍토
"(으)로 총 279건 검색되었습니다.
장기기증자의 눈물: 생존 장기기증자는 정상적인 삶을 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07.02
기증… 완전히 자발적일까 “한국에는 가족에 대한 책임과 도의를 우선시하는 유교적
풍토
가 사회 전반에 깔려 있어요. 그렇다 보니 자녀가 부모에게 장기를 기증하는 것을 당연하고 정당하게 간주하는 경향이 있죠. 기증 동의 절차가 완전히 자율적으로 이뤄진다고 믿을 수 없는 이유입니다.” ... ...
연구하는 여성대통령, 아미나 구립파킴 모리셔스공화국 대통령
2016.06.29
가진 600여 개의 약용식물의 목록을 만들어 발표했다. 이 목록은 현재 아프리카
풍토
병 및 난치병 치료제 개발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아미나 대통령은 “전통문화가 실제치료와 조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셈”이라며 “한 해 동안 설사병으로 목숨을 잃는 수 천 ... ...
[토요판 커버스토리]수제맥주의 역사… 알고 마시면 더 맛있다
동아일보
l
2016.05.14
인수합병이 활발한 미국과 달리 소형 업체의 명맥이 그대로 유지되는 게 유럽 수공업의
풍토
였기 때문이다. 유럽의 지역 양조장에서 만들어 낸 맥주는 에일형 맥주였다. 그런데 1979년이 되자 맥주의 지형도가 바뀌게 됐다.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지역 양조업체 활성화를 위해 홈브루잉으로 ... ...
[4·13 총선] ‘과학도시’ 민심은 더민주로…이상민 의원 4선 성공
2016.04.14
이상민 의원이 당선이 확실시 되자 지지자들로부터 화환을 받아 걸고 기뻐하고 있다. - 대전=전승민 기자 enhanced@donga.com 대덕연구단지 ... 필요하다”며 “(국회의원이 된다면) 과학기술인들이 경쟁력을 갖춰 일할 수 있는
풍토
와 기반을 만드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밝힌 바 있다. ... ...
[토요일에 만난 사람]“AI, 고차원 계산기일 뿐… 결국 사람의 판단이 가장 중요”
동아일보
l
2016.04.09
일본이 기초 과학에 강한 이유는 무엇이라 보시는지요. “전후 자유로웠던 학문
풍토
와 투자를 들 수 있죠. 한창 연구하던 시절 나고야대는 밝은 기운이 넘쳤습니다. 교수들도 젊었고 의욕적이었죠. 폐허에서 일어서려면 과학에 승부를 걸어야 한다는 게 사회적 합의였습니다. 기초과학, 물리학의 ... ...
강학희 한국콜마 대표, 산기협 선정 ‘올해의 CTO’
2016.02.24
공동으로 뽑혔다. 1997년 제정돼 올해 20회를 맞는 이 상은 산업기술 발전과 기술혁신
풍토
조성에 기여한 기술경영인에게 주어진다. 시상식은 24일 오전 11시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진행된다.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
2016.02.23
“미리 싹을 밟아야한다”는 표현이 있는 것처럼 스타일이 있는 사람은 살아남기 힘든
풍토
에서(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서구에서 스타일을 인정받는 경우다) 이런 논의들이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는 영국이 그저 부럽기만 하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토요기획]美서 이공계 박사 학위 한국인 60% “미국에 남겠다”
동아일보
l
2016.01.16
한국처럼 학벌이나 나이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개개인의 능력과 역량만 보는
풍토
가 강하기 때문에 STEM 전공자들은 취업이 훨씬 더 수월한 것 같다”고 말했다. 꼭 미국처럼 잘사는 나라를 예로 들지 않아도 된다. 김영수 교수는 “내 주위의 많은 중국인 과학자들 중 우수한 인재들이 중국으로 ... ...
“국내 서식 박쥐가 사람에게 옮길 수 있는 바이러스는 8종”
2016.01.05
지역에 사는 종으로 최대 16종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서아프리카 지역은
풍토
병 위험이 적다는 연구결과가 지배적이었지만 예상과 달리 2014년 에볼라 바이러스가 크게 번졌다. 브리어리 연구원은 “이 지역 사람들은 고기를 먹기 위해 박쥐를 사냥하는 만큼 박쥐의 날고기와 체액에 ... ...
미의 절대기준은 존재하는가?
2015.10.26
24세 때 작품 ‘코가 깨진 사나이’(1864). 주로 외모가 아름다운 대상만을 조각하던 당시
풍토
에 정면으로 도전한 충격적인 작품으로 릴케가 ‘로댕론’에서 그 의의를 자세히 다뤘다. - 로댕박물관 제공 릴케는 책에서 1864년 로댕이 24세 때 발표한, 실질적으로 첫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코가 깨진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