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풍조
사조
경향
추세
기후
뉴스
"
풍토
"(으)로 총 27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스보다 치명적인 메르스, 한국에도 확산되나
과학동아
l
2014.05.12
“이 바이러스가 중동 지역에서만 주로 발견된다는 점에 비춰볼 때 그 지역 고유의
풍토
병일 가능성이 높다”며 “중동 지역을 다녀온 유럽과 미국인들의 감염 사례가 보고 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도 입출국 승객을 대상으로 검역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 ...
집에서 프린터로 질병 진단 칩 인쇄~ 끝!
과학동아
l
2014.04.22
기기로도 활용할 수 있다. 신 교수는 “아프리카와 같은 저개발국가에서 발생하는
풍토
병을 검진하고 오염된 식수를 확인하는 용도로 쓰일 수 있다”며 “이 칩을 디스플레이나 메모리에 활용하는 연구도 계획중”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신소재 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 ...
[과학의 달 기획]사이언스 마이크: 당신에게 과학이란? ③
과학동아
l
2014.04.17
유출 같은 위험한 사고가 벌어지는 겁니다. 뭐든지 빨리 해야 하는 강박관념 때문에 이런
풍토
가 계속 유지되는 것 같아요.” 권 연구원이나 허 교수가 바라보는 현실은 10년 전 또는 20년 전 연구자 생활을 시작한 과학자들이 똑같이 겪었을 수 있다. 1년차 과학자들에게서 희망을 발견한 동시에 1 ... ...
[IBS 토론회]논문 조작 어떻게 막아야 할까
과학동아
l
2014.04.10
지적했다. 유영준 IBS 연구지원본부장은 “국내에서도 논문 숫자만 따지던
풍토
에서 인용지수와 사회적 영향력을 중요하게 여기는 분위기 점차 생기고 있고, 최근에는 피어 리뷰제도까지 도입하면서 점점 나아지고 있다”면서 “하지만 아직 제도로서 정착 되진 못했다”고 덧붙였다. 이 ... ...
[기자의 눈] 논문조작, 또 줄기세포야?
과학동아
l
2014.03.12
많은 이유에 대해 “하루라도 빨리 연구 성과를 본인의 것으로 끌어와야 하는 연구
풍토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10년 전 황우석 박사도 동물 세포로 배아줄기세포를 복제하는 데 성공했는데, 인간 세포로는 성공이 어려워지자 급기야 논문을 조작하는 극단적 유혹에 넘어가게 됐을 거라는 ... ...
"약육강식의 기업 세계, 목표가 명확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4.03.06
것이 필수라고도 했다. 안전 문제 등을 이유로 여자 엔지니어를 기피하는 업계
풍토
속에서도 11년 넘게 근속한 원동력이 여기에 있는 셈이다. 박 과장은 “충분한 노력과 도전이 갖춰진다면 위치 상승은 저절로 따라올 것”이라고 말했다. 송이화 연구원 ■ 송이화 풍산 기술연구원 ... ...
기후 변화가 기아로 고통받는 이들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4
주식으로 재배한다. 문제는 주식으로 먹는 곡류의 종류가 줄어듦에 따라 각 지역의
풍토
에 알맞게 길러오던 작물들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는 것. 타피오카를 만드는 카사바 나무와 마의 한 종류인 ‘얌’과 우리나라에서도 여전히 즐겨 먹는 고구마의 재배량은 지난 50년 사이에 전 ... ...
'계륵' 신세된 비인기 이공계 대학원생
동아사이언스
l
2014.03.04
직장을 다니면서도 대학원에 진학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무작정 대학원에 진학하는
풍토
는 시간 낭비가 될 수 있다는 게 현실입니다.” 이공계 대학생들을 이끌어주는 교수들도 신중해야 한다는 게 C양의 지적이다. 연구직 하려면 대학원에 진학해야 하고, 경쟁력을 더욱 키우려면 유학을 가야 ... ...
[시론/김우주]‘AI, 사람감염’ 청정국 평가받는 한국
동아일보
l
2014.02.17
철새의 주요 이동경로에 위치하고 있다. 서남 지역에는 가금농장이 밀집해 있다. AI
풍토
병 지역인 중국이 가까이 위치해 있다. AI 유행의 고위험 지역이란 얘기다. 정부 당국은 이번 H5N8 유행이 국내의 마지막 AI 유행이 되도록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전문가들의 협력도 필요하다. 김우주 ... ...
수학성적은 좋은데, 흥미 떨어지는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4.01.24
맡은 류희찬 한국교원대 수학교육과 교수는 “문제 풀이에만 집중하는 국내 수학교육
풍토
에서 수학에 흥미를 느끼게 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고 꼬집었다. 학생들이 ‘별 팔면체(별모양의 팔면체)’를 직접 만들어보고, 이를 이용해 정사면체와 정팔면체를 비롯해 다양한 다면체의 ... ...
이전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