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d라이브러리
"
사용
"(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시각, 청각, 촉각 로봇에게 가장 중요한 감각은?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얻어맞을지도 모릅니다. 이런 일이 벌어지면 사람들은 로봇을 위험하다고 느끼고
사용
할 수 없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로봇도 사람처럼 힘을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정상적이지 않은 이상한 힘이 느껴지면 멈추거나 안전한 상황으로 만들 수 있도록 재빨리 행동할 수 있어야 합니다 ... ...
로봇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시험할 때는 모두 사람의 세포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제대로 확인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
할 수 있는 게 홀로그래픽 이미징 기법입니다.”문인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가 이끄는 지능형이미징및비전시스템연구실로 들어서자 홀로그래픽 이미징 시스템이 눈앞에 펼쳐졌다. ... ...
전염병 가는 길 막는 수학모형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도로를 통제하고 이동을 금지하는 차단 방역과 가상의 백신을 접종하는 방법을
사용
했죠. 그 결과 첫 발병 이후 14일 내로 차단 방역을 철저하게 실시하면 약 74%의 돼지를 전염병으로부터 지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놀랍게도 발병 14일 전에 각 마을의 돼지에게 백신을 주사했을 때(65%)보다 ... ...
[SW진로체험] 맛있는 피자에 필요한 토핑은 '데이터'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골고루 익게 돌려줘야 하다 보니 저와 매장 직원들이 화상을 자주 입었어요. 또 화덕
사용
법을 익히려면 2~3주 정도 훈련을 받아야해 시간과 비용이 부담스러웠죠. 안전하면서 전자레인지처럼 쉽게 쓸 수 있는 화덕을 만들고 싶었어요. 이런 점을 개선하려면 어떤 형태로 만들어야 할지 명확했기 ... ...
[통합과학교과서] 이 하늘에서 떨어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해안 경비대 등 더욱 정밀한 위치 측정이 필요한 곳에서는 GPS 수신기를 하나 더
사용
하여 오차를 1m까지 줄인 ‘DGPS’ 같은 기술도 쓰인답니다. 통합과학 넓히기 :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극이 점점 바뀌고 잇다?! 나침반의 N극은 어디를 가리킬까요? N극의 ‘N’은 북쪽이라는 뜻의 단어 ‘north’에서 ...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상피세포로부터 STR 분석 결과를 90분 만에 얻을 수 있는 장비가 개발돼 현장에서
사용
되고 있다. 미국은 이렇게 분석된 DNA 정보도 데이터베이스에 수록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완료했다. 임시근고려대에서 미생물학을 전공했으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법유전자과에서 22년간 근무했다. 현재 ... ...
[10대의약] 올바른 인공눈물
사용
법 안구건조증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잘 안 되는 만큼 점도가 낮은 인공눈물을 쓰는 게 좋습니다. 또 안약과 인공눈물을 함께
사용
하는 경우에는 인공눈물이 안약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5분 정도 간격을 두고 넣는 게 좋습니다. 이소정 고려대에서 약학을 전공하고, 서울대 약학대학원에서 물리약학으로 석사학위를 ... ...
모스크바에 현지사무소를 열다 나로호 설계 본격 스타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등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우주발사체와 같이 첨단 군사무기로
사용
될 가능성이 있는 민감한 기술은 국제적인 기술이전 및 협력이 엄격히 통제되므로 협력에 대한 정부 간 보장 및 보증이 필수다. 우주기술협력협정은 한국과 러시아의 우주 분야 협력을 정부 차원에서 상호 ... ...
[통합과학 교과서] 형의 집이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이유지요. 그런 데 작년 12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병일 교수팀은 광섬유 대신 아크릴을
사용
해 빛은 그대로 투과하면서도 비교적 싼 콘크리트를 발표했어요. 이름은 ‘빛감성 친화형 콘크리트’지요. 만드는 방법도 리트라콘과 똑같아요. 틀에 광섬유 대신 아크릴 봉을 고정시키면 되지요. ... ...
블랙홀 어떻게 찍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EHT 연구팀은 M87*이 내뿜는 전파를 관측하기 위해 안테나 모양의 전파 망원경을
사용
했어요. 이때 중요한 것은 가까이 있는 두 물체를 구분하는 ‘분해능’이에요. 분해능이 좋을수록 멀리 있는 천체를 더 명확히 볼 수 있는데, 그러려면 망원경의 크기가 커야 해요. 그런데 M87*은 5500만 광년이나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