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d라이브러리
"
사용
"(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Q. 안전하다 vs. 아니다 왜 엇갈리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혼합되기 때문입니다. 입자 상태로 존재하지 않으니 시중의 방사성 핵종 제거 장치를
사용
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반감기도 12.3년으로 길어 오랜 기간 물에 남아있게 됩니다. 현재 후쿠시마에 저장된 오염수의 삼중수소의 농도는 배출할 수 있는 기준(6만Bq/L)보다 약 10배 가량 높습니다. 방사성 ... ...
[과학뉴스] DNA 그물로 감싼 약물, 유전자가위로 싹둑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하이드로겔을 제작하고 그 안에 항암제 등 약물을 넣을 수 있게 했다. 이후 크리스퍼에
사용
되는 효소 중 단일 가닥 DNA 절단에 특화된 ‘캐스(Cas)12a’ 단백질로 하이드로겔을 덮었다.연구팀은 이것으로 표적 약물 전달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가령 표적 암세포 속 DNA를 잘라내는 데 특화된 캐스1 ... ...
[SW 진로체험] 수학은 난관을 깨뜨리는 망치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올렸죠. 그러자 전세계
사용
자들이 기능을 추가해달라고 요청했고, 스마트폰
사용
법을 가르치는 강사들이 제 앱을 가지고 강의하기도 했어요. 제가 만든 앱이 사람들에게 도움을 준다는 게 굉장히 뿌듯했어요. 그러던 중 로봇과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고 생각해 ... ...
[맛있는 수학] 수학으로 나눠 먹는 생일 케이크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재미있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질투 없이 케이크 자르기첫 번째는 게임이론을
사용
해 케이크를 자르고 분배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는 기하학적으로 정확히 같은 면적이나 부피를 따지지 않습니다. 게임이론에서 ‘공평한 분배’란 ‘서로 불만이 생기지 않도록 나누는 것’을 의미하죠 ... ...
산호와 맹그로브의 천국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꿈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웨노섬은 오랜 전통이 그대로 이어진 추장 중심의 사회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사용
하는 젊은 세대가 공존하는 곳이다. 공항이 있는 시내에서는 모두가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며 길거리를 오가지만, 조금만 산속으로 들어가면 전통복장을 입은 사람들이 물가에서 빨래를 하고 있다.과거와 ... ...
마라톤 대회에
사용
된 먹는 음료 캡슐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지난 4월 29일, 영국 런던마라톤대회에선 결승점을 5km 앞둔 지점부터 참가자에게 일회용 페트병 대신 해초 추출물로 만든 캡슐에 음료를 담아 나눠주었어요. ... 관계자 휴 브래셔는 스스로 분해되는 캡슐의
사용
으로 작년 대회보다 21만 개의 페트병
사용
이 줄어들 것으로 추정 했답니다 ... ...
블랙홀 어떻게 찍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EHT 연구팀은 M87*이 내뿜는 전파를 관측하기 위해 안테나 모양의 전파 망원경을
사용
했어요. 이때 중요한 것은 가까이 있는 두 물체를 구분하는 ‘분해능’이에요. 분해능이 좋을수록 멀리 있는 천체를 더 명확히 볼 수 있는데, 그러려면 망원경의 크기가 커야 해요. 그런데 M87*은 5500만 광년이나 ... ...
[과학뉴스] 사람 때문일까? 돌고래도 항생제 내성 피해 본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분리한 병원체의 항생제 내성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며 “해양 생물도 인간의 항생제
사용
에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수생 포유류’ 9월 11일자에 실렸다. doi: 10.1578/AM.45.5.2019.53 ... ...
‘핵인싸’의 발차기 병뚜껑 챌린지도 과학입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에너지 관점에서는 굉장히 비효율적이다. 실제로 병뚜껑을 열기 위해서는 발차기 동작에
사용
하는 에너지보다 훨씬 적은 양의 에너지만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병 입구의 높이를 2cm, 병뚜껑의 무게를 5g이라고 할 때 실제로 필요한 에너지는 약 9.8×10-4J(줄)이다. 1mJ(밀리줄)에도 못 미치는 매우 작은 ... ...
[검시관사건노트] 물속에서 떠오른 억울한 죽음 수중시체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신원을 확인하는 기법이 발전해왔다. 수중시체의 지문채취에는 ‘고온습열처리법’이
사용
된다. 고온습열처리법은 지문채취가 어려운 상태의 손가락을 끓는 물에 담가 순간적으로 지문을 팽창시켜 채취하는 기법이다. 우리나라 과학수사계가 자체 개발한 기법으로, 미국연방수사국(FBI) 등 전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