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하버드 공대 공부벌레들’과의 2주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않았다”며 “직접 납땜질을 하고 은 접착제, 구리 테이프 등을 사용해보니 정확한 공정 기술의 중요성을 새삼 깨달았다”고 밝혔다. UNIST 해수배터리 - 태양전지 연결 7월 3일 하버드대 프로그램을 마친 참가자들은 쉴 틈도 없이 바로 비행기를 타고 6일 UNIST에 도착했다. UNIST가 선정한 주제는 ... ...
- [팔과 다리 만들기] 팔 이식, 전자의수 무엇을 원해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무릎이나 발목처럼 비교적 적은 수의 관절만 조절하면 가능하다. 이미 시중에는 첨단 기술이 접목된 의족이 많다.한 예로 오서는 근육에 삽입한 근전도 센서의 신호를 전자의족 ‘프로프리오 풋(Proprio Foot)’에 무선으로 전송해 ‘자리에서 일어나야겠다’는 생각만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바이오닉 ... ...
- [Issue] 난민에 관한 과학적 팩트 4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비슷한 새로운 난민이 유입될 경우 A의 거주 지역으로 배정하라고 권유한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활용해 난민의 취업률을 최대 70%까지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진은 2011~2016년 미국에 들어온 18~64세 난민 3만 명의 통계자료를 분석했다. 이후 2016년 말 난민 신청자를 대상으로 이 ... ...
- [서울대 공대] 원자핵공학과, 미래 에너지 개발 주역 꿈꾼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건설에 참여하는 민간 회사 또는 원자력안전위원회,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등 정부 기관이나 연구소에 진출할 수 있다.핵융합과 플라스마 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국가핵융합연구소, 국방과학연구소 등 정부출연연구기관이나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등 반도체, 디스플레이 ... ...
- Intro. 수학으로 쌓아올린 미래도시, 초고층건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멀리서 보면 얼핏 땅바닥에 꽂힌 가느다란 막대기처럼 보이는 초고층건물. 하늘을 찌를 듯이 높이 솟아있는 건물이 어떻게 똑바로 서 있는 걸까? 안전하기는 한 걸까? 혹시 대기권을 넘어 우주까지 높이 지을 수는 없는 걸까? 초고층건물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해결하고,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 ... ...
- Part 4. 바람에 넘어가진 않을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사실 초고층건물을 가장 위협하는 건 지진보다 바람이다. 바람의 세기는 땅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급격히 커지기 때문이다. 바람의 영향을 덜 받기 위해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건, 초고층건물을 위로 갈수록 뾰족하게 설계하는 것이다. 위로 갈수록 강해지는 바람에 닿는 면적을 줄이는 것이 ... ...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능력을 20%가량 개선했다. 플라스틱 생합성 기술 분야 전문가인 박시재 이화여대 차세대기술공학부 교수는 “기존에 구조가 잘 알려진 큐틴 분해 효소(cutinase)의 아미노산 서열을 참조해 페테이스의 염기서열을 바꿔 활성을 향상시킨 것”이라며 “페트처럼 널리 쓰이는 플라스틱을 자연적으로 ... ...
- [Career]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8, 미래 노벨상 인재들의 기발한 아이디어 열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가 올해로 8회를 맞았다. 한화그룹이 주최하고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후원하는 이번 대회는 작년에 이어 ‘지구를 살리자(Saving the Earth)’는 주제로 열렸다. 올해는 에너지, 바이오, 물, 기후변화 등 네 개 연구 분야에 전국에서 624개 팀이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지원이 미뤄지며 아보가드로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못했다. 그러나 핵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이어나가고 있다. 아보가드로 상수 측정 과정에서 실리콘 동위원소 비율이 균질한지 등을 측정했고, 실리콘의 몰질량 측정에 대한 국제적인 비교 실험에도 참여했다. 측정 결과의 정확도가 1 ... ...
- [서울대 공대] 조선해양공학과, 72년의 역사 ‘세계 최고’의 자부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상황이 다르다. 한국 기업이 세계 최고이기 때문이다. 김 학과장은 “과거에는 선진 기술을 배우기 위해 미국 등 선진국에 유학을 갔지만, 지금은 그럴 필요가 없다”며 “다른 분야로 진출하려는 게 아닌 이상 유학을 가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말했다.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는 세계적인 ... ...
이전2572582592602612622632642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