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뉴스
"
우리나라
"(으)로 총 3,656건 검색되었습니다.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쓰겠다고 언급한 건 맥주의 종류에 따라 쓰이는 효모가 다르기 때문이다. 게다가
우리나라
는 물론이고 세계적으로도 맥주의 대세인 라거맥주를 만드는 효모는 사카로미세스 세레지비지에가 아니다! 빵효모는 에일맥주를 만드는데 색이 짙고 향이 풍부하지만 맥주 특유의 알싸한 느낌은 덜하다. ... ...
곡물과 석유가 드나드는 미시시피 강
2015.08.16
않고 자리를 제대로 잡도록 주위에서 작은 배들이 밀어주는 모습도 흥미로웠다.
우리나라
로 수입되는 곡물도 모두 이 과정을 거친다. 김학수 미국곡물협회 부대표는 “일본의 경우 안정적인 자국 곡물 공급체계를 갖추기 위해 이미 1980년대 직접 뉴올리언스 주에 곡물 엘리베이터를 ... ...
수학 흥미도 1위 국가는 수학 후진국
2015.08.16
흥미도만 높고 성취도는 떨어지거나 그 반대의 경우가 다른 나라보다 적다는 뜻이다.
우리나라
학생들이 수학에 흥미가 없는데도 암기식으로 억지로 공부해서 성적이 높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는 셈이다. ● 흥미도 높이려다 국가경쟁력 떨어질 수도 설문 조사로 이뤄지는 PISA의 흥미도 ... ...
가장 이색적인 똥 직업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14
좋은 천으로, 이 단어에서 기저귀를 뜻하는 영어 ‘다이어퍼’가 유래됐답니다.
우리나라
조선시대에도 왕의 매화(똥)를 관리하는 사람들이 있었어요. 왕이 변기인 ‘매화틀’에 앉아 일을 보고 나면 상궁이 깨끗한 명주 수건으로 뒤를 닦아 주었어요. 동시에 *내의원에서는 왕의 매화를 자세히 ... ...
해저 6000m 누빌 韓 두 번째 심해 무인 로봇
2015.08.14
마리아나 해구의 수심 1만1000m 바닥까지 들어가 이틀 이상 탐사 활동을 벌일 수 있다.
우리나라
는 틈새 전략을 펼치고 있다. 6000m급 잠수정이 전 세계 해양의 95%를 조사할 수 있는 만큼 크랩스터 6000을 추가로 개발해 6000m급 심해 잠수정 2척을 보유하는 편이 현실적으로 심해 탐사에 더 효과적이다. ... ...
‘IT창의과학탐험대’, IT 연구의 최전선을 취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5.08.12
이후 KAIST로 자리를 옮겨 항공우주공학과 심현철 교수팀의 드론 시연을 체험하고
우리나라
최초의 기상위성 천리안의 모형이 있는 국가기상위성센터를 다녀왔다. 이번 견학은 지난달 4회에 걸쳐 진행된 IT 관련 수업 내용을 현장에서 직접 체험한다는 취지에서 이뤄졌다. 우수한 평가를 받은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
2015.08.10
최근 과학계에서 한 종교인에 대한 칭찬이 이어지고 있다. 주인공은 지난해 이 무렵
우리나라
를 방문하기도 한 프란치스코 교황이다. 지난 2013년 취임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등 파격적인 서민행보로 대중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데 돌출발언의 수위도 만만치 않다. 피임과 이혼을 ... ...
영화 ‘굿 윌 헌팅’과 한 비운의 천재 수학도
2015.08.09
세상 밖으로 나올 수 있게 된다. 얼마전 굿 윌 헌팅을 다시 보며 문득 최근 사라져 버린
우리나라
의 한 수학천재 A씨의 이야기가 떠올랐다. 그의 천재성과 행적이 굿 윌 헌팅의 주인공과 너무도 닮아있기 때문이다. 7월 말 기자와 만난 서울대 수리과학부의 한 교수도 A씨를 그리고 있었다. 그는 201 ... ...
네팔 대지진, 실시간 데이터로 분석해보니 ‘새로운 결과’
2015.08.09
저진동수 지진파에 대비해 높은 건물의 내진설계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며 “
우리나라
도 내진설계 등 건물을 지을 때 해당 지역의 지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고 말했다. ... ...
분. 자. 요. 리.
수학동아
l
2015.07.28
특히 마지막에 입에 넣은 캐비어를 깨물자 짭짜름한 간장이 새어나왔다! 최근
우리나라
에도 알려지고 있는 이런 색다른 요리는 원래 영국과 프랑스, 스페인 등 유럽의 물리화학자들이 생각해냈다. 특히 프랑스 물리화학자인 에르베 디스는 “뛰어난 요리는 맛뿐만 아니라 향과 질감도 최대한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