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스페셜
"
처음
"(으)로 총 3,179건 검색되었습니다.
[Science토크] 면역항암제는 암 정복에 장밋빛 미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단백질 ‘CTLA-4’와 ‘PD-1’을 차단시켜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는 면역체계를
처음
으로 알아냈다. 혼조 다스쿠 교수는 1992년 PD-1 단백질을 발견했고, 제임스 앨리슨 교수는 1996년 CTLA-4 차단을 통한 암세포 제거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이들의 연구결과가 공개된 지 20여년이 지난 현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운동을 위해 진화했다(Evolved to Exercise)’라는 제목의 글을, 박사과정 학생이던 20여 년 전
처음
으로 아프리카 침팬지 현장연구를 떠났을 때를 회상하며 시작하고 있다. 그때까지 동물원이나 실험실에서만 침팬지를 본 폰처는 야생의 거친 환경에서 살아가는 침팬지 무리를 지켜볼 수 있다는 기대에 ... ...
스페이스X 새 우주왕복선 공개한 날 직원 600명 잘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3
해고될 처지에 놓였다. 스페이스X가 이처럼 대규모 감원을 결정한 것은 2002년 설립 이후
처음
이다. 스페이스X가 추진 중인 민간 달 여행, 유인(有人) 화성 탐사 등 대규모 우주개발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스페이스X는 11일(현지 시간) 인력 긴축 계획에 대한 입장문을 ... ...
중세 유럽 암흑기에도 여성은 예술혼을 불태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유럽 여성의 치아 유골에서 당시 여성 예술가가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결정적 증거가
처음
으로 발견됐다. 크리스티나 바이너 독일 막스플랑크진화인류학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공동묘지에서 발굴한 중세 여성 유골의 치석에서 푸른 청금석 염료를 발견했다는 연구결과를 9일 국제학술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6개월이 지나자 연구에 재미를 붙여 놀라운 성과를 거둔 것이다. 자릴로-헤레로 교수는 “
처음
에 차오위안은 울적했다”며 “하지만 곧 소매를 걷어붙이고 일을 시작했다”고 회상했다. 재능과 노력이 성공의 충분조건은 아니다. 그러나 아무리 운이 중요하더라도, 적어도 과학의 영역에서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식사량을 확 줄이는 방법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실제 칼로리제한 다이어트를 하면
처음
며칠은 반짝 효과를 보지만 결국 배고픔을 견디지 못하고 포기하면서 순식간에 원래대로 돌아가거나 오히려 이전보다 살이 더 찌기도 한다. 위의 도형은 하루의 섭식 패턴 다섯 가지다. A는 대사질환이 ... ...
뉴호라이즌스號, 새해 첫날 태양계 가장 바깥에서 '플라이 바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1.01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2006년 발사된 뉴호라이즌스호가 이동한 궤적으로, 2015년 7월
처음
으로 명왕성을 탐사했다. 오는 1월 1일 (한국시간 2시 33분경) 태양계 최외곽에 위치한 카이퍼벨트 내 소행성 울티마 툴레에서 약 3500㎞ 떨어진 지점을 지나갈 예정이다.-미국항공우주국 제공 과학자들은 수년에서 ... ...
'어디서부터가 우주일까' 우주 경계 "고도 기준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우주 경계로 보고 있다. 지구의 대기가 옅어지면서 항공기가 날지 못하는 높이를
처음
으로 계산한 헝가리 수학자 시어도어 본 카르만의 이름을 땄다. 버진갤럭틱의 우주여행 목표도 카르만 라인에 맞춰져 있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지구와 우주의 경계는 없다. 1959년에 설립된 유엔 외기권의 ... ...
ISS 우주인 8시간 유영…소유스 캡슐 구멍 조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3
되면서 향후 구멍이 생긴 원인에 대한 세부 조사가 진행될 전망이다. 미국 전문가들은
처음
발견했을 당시 이 구멍이 우주에서 고속으로 날아온 암석 조각이 부딪힌 충격으로 생긴 것으로 추정했다. 반면 러시아 당국은 누군가 고의로 드릴로 뚫은 흔적이라고 주장하면서 양국 사이에 엇갈린 ... ...
보이저2호, 41년 날아 인터스텔라로 진입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촬영한데 이어 토성 고리의 성분을 최초로 촬영했다. 보이저 2호는 해왕성과 천왕성을
처음
으로 방문했다. 태양풍 영향이 미치는 ‘태양권’의 바깥은 심우주에서 오는 압력이 작용한다. 플라스마 형태의 태양풍이 뻗어 나가지 못하고 역류하지도 않으며 균형을 이루는 구간이 나타난다.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