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스페셜
"
처음
"(으)로 총 3,17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수치를 30에서 10으로 낮춘 것이다(필자의 카페인 분해 반감기가 5시간이라고 했을 때).
처음
엔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확실히 잠자는 시간이 좀 당겨지고 더 푹 자는 것 같다(카페인은 깊은 잠을 잘 때 나오는 델타파를 억제하는 작용도 한다). 커피는 언제 마시느냐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홍대 누드모델 몰카' 사건에 주목하는 또다른 이유
2018.05.19
현상은 남성이 당하자 비로소 ‘어떻게 이런 일이!’라며 불법 촬영의 심각성을
처음
으로 인지하는 듯한 반응을 보이고 또 비로소 ‘혐오 범죄’라는 이야기를 하기 시작하는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범죄들이 여성을 대상으로 저질러져왔을 때에는 시큰둥 하다가 갑자기 해당 범죄의 ... ...
70만년 전 인류는 어떻게 바다를 건너 필리핀에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5.03
사용한 석기 수십 기와, 그 석기로 도축한 동물의 뼈 화석이다. 이 지역에 인류가
처음
발을 디딘 시점은 63만 년 앞당겨졌다. 중국 내륙에서는 13만 년 전 동물뼈 도구가 발견돼 옛 인류의 정교한 도구 제작 기술이 증명됐다. 필리핀 북부 섬에서 발견된 70만 년 전 석기. -사진제공 네이처 토머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
2018.05.01
제공 주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바이러스에 감염돼 발생하는 SFTS는 2013년
처음
환자가 보고된 이후 해가 지날수록 빠른 속도로 환자 수가 늘고 있다. 한편 사망자수는 정체를 보이는 듯하다가 지난해 크게 늘어 54명에 이르렀다. 지난 5년 동안 환자 607명에 사망 127명으로 치사율 21%에 이르는 ... ...
일단 '시간통일'부터? 남북한 표준시 다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04.29
UTC+0과 8시간 28분의 차이가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에 전시 중인 앙부일구 우리나라가
처음
표준시를 정한 것은 1908년이다. 대한제국이 동경 127도 30분 기준인 UTC+8:30을 한국 표준시로 정해 시행했다. 하지만 일본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1912년 동경 135도를 기준으로 하는 일본 표준시 (UTC+9:00)으로 ... ...
‘백두산 과학기지’에서 분화 모니터링 한다
과학동아
l
2018.04.27
시행 목전까지 왔지만 결실을 맺지 못했다. 2007년 12월 남북 환경보건실무자회의에서
처음
제시된 뒤 전문가그룹을 만들었지만, 2008년 금강산 피격 사건으로 남북관계가 경색되며 무산됐다. 아이슬란드 화산 폭발 이듬해인 2011년 3월에는 남한의 문산과 북한의 개성에서 두 차례에 걸쳐 전문가 ... ...
기술력 최고인 남한, 광물자원 풍부한 북한
과학동아
l
2018.04.26
그래핀은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하고 강철보다 200배 이상 튼튼해 2004년
처음
발견된 이후 과학 및 산업계의 주목을 받아 왔다. - 사진 wikipedia 제공 이를 위해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현재 북한의 8개 광화대(유통 광물이 모여 있는 지역) 중 잠재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되는 3개 광화대(무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국내 제약사가 세계 최초로 P-CAB 출시했지만... 사람 마음이 다 그렇듯이 오메프라졸이
처음
나왔을 때는 그렇게 좋아하더니 약효가 좀 아쉽다느니 부작용이 어떻다느니 말들이 많아지고 그에 따라 놀텍을 비롯해 약효나 부작용을 개선한 PPI 신약들이 나왔지만 성에 차지 않았다. 결국 과학자들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
2018.03.31
안 그러겠지. 내가 잘 하면 괜찮겠지’같은 예상은 어긋나기 쉽다고 한다. 폭력은
처음
발생했다고 해도 그간 위에서 언급한 요소들을 통해 치밀하게 폭력을 휘둘러도 될만한 무대를 설치해왔을 가능성이 높기도 하다. 눈치챘을 때엔 이미 잘 만들어진 덫에 먹이감으로 놓여진 상황일 수 있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문신은 그대로인 이유다. 이번에 문신의 미스터리를 밝힌 프랑스 면역학자들은 사실
처음
부터 문신을 연구하려던 게 아니었다. 이들은 진피에 분포하는 면역세포의 실체를 규명하는 연구를 해왔는데 우연히 생쥐에서 특이한 현상을 발견했다. 피부색이나 털색은 멜라닌이라는 색소에서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