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새로운 별자리가 떴다! 헐크와 고질라가 밤하늘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안녕! 나는 사냥꾼 오리온이야! 1등성을 두 개나 가지고 있는 밝은 별자리로, 발밑의 큰개자리와 함께 겨울 밤하늘을 지키고 있지. 그런데 얼마 ... 떴다! 헐크와 고질라가 밤하늘에?Part 1.별자리, 누가 왜 만들었을까?Part 2.지금의 별자리는 누가 정했을까?Part 3.감마선 별자리, 하늘을 수놓다 ... ...
- Part 2.지금의 별자리는 누가 정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남았을까? 세 형제와 장군들은 어디로 사라진 거지? 천문학자들, 별자리를 합치다! 지금 우리에게 친숙한 별자리는 서양의 별자리예요. 바빌론의 유목민과 이집트인들이 만든 별자리가 그리스의 신화와 섞였고, 이를 천문학자들이 기록하면서 굳어졌죠. 15세기 이후에는 항해술이 발달하면서 ... ...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통해 파도의 높이와 조류, 풍속 등을 측정하고 주요 장애물을 파악하지요. 두 회사는 지금 모형이 아니라 실제 바다에서 운항할 자율운항선박을 짓고 있어요. 2019년엔 선원이 탄 채로 약 57km 정도 노르웨이 연안을 운항할 예정이고, 2020년부터 완전히 무인으로 운항할 계획이랍니다. ● ... ...
- Part 3. 실크로드 바다 아래를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조사와 예산 마련이 문제일 것”이라고 말했어요. ● 해저터널이 해결해야 할 문제 지금까지 지어진 해저터널은 주로 수압을 견디면서, 연약한 지층을 무너뜨리지 않고 뚫는 일이 가장 큰 숙제였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6년 12월 20일 개통한 유라시아 해저터널이다. 유라시아 해저터널은 터키 ... ...
- Part 1.별자리, 누가 왜 만들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가 새벽에 동쪽으로 떠오른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그래서 지금의 달력으로는 매년 6월 말인 이 시기를 1년의 첫 달로 정하고 농사를 지었지요. 이렇게 고대인들이 하늘을 관찰하고 익숙한 별 무리에 이름을 붙이면서 별자리도 자연스럽게 만들어졌답니다. 가장 오래된 ... ...
- Part 1.새로운 실크로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일고 있답니다. 실크로드의 변천사 서쪽 길을 개척한 ‘장건’ | 기원전 139년, 지금의 중국에 자리 잡은 한나라 외교관 장건이 100여 명의 수행원과 함께 서쪽으로 떠났다. 하지만 흉노에게 붙잡힌 장건은 13년 동안 흉노와 함께 지내면서 서방 지역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이후 한나라로 돌아온 ... ...
-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찾다가 결국 실패했죠. 그래도 연구원님 덕에 고1 때는 메뚜기를 열심히 공부했어요. 지금은 신종을 찾겠단 욕심은 없고 구멍가게 주인처럼 저만의 세밀하고 재밌는 소일거리를 하며 만족하고 살려고 한답니다. Q 본격적으로 만화를 그린 계기가 있나요? 계기가 된 만화가 이에요. ... ...
- Part 3.감마선 별자리, 하늘을 수놓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만화의 등장인물인 브루스 배너 박사가 감마선을 맞고 헐크가 되었기 때문이랍니다. 지금도 새로운 별자리가 만들어지고 있다니 정말 놀라워! 아마 인간이 우주를 더 깊이 들여다보는 한 새로운 별자리도 계속 만들어지겠지? 미래의 별자리는 우주를 사랑하는 어과동 친구들이 만들어 줘 ... ...
- Intro. 지구온난화 시대에 뜨는 미래 직업은? 대세는 농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하냐고? 잘 봐. 게임이 아니라 농사 중이라고. 몰랐어? 이제 농사도 스마트하게! 게다가 지금처럼 지구가 계속 뜨거워지면 농부가 가장 중요한 직업이 될 거라고!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지구온난화 시대에 뜨는 미래 직업은? 대세는 농부다Part 1. 미래 직업, 삶이 맘에 안 들면 농부가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매리는 색깔을 맞힐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물질로만 이루어져 있는지, 아니면 물질 외에 마음도 세계를 이루는 일부인지를 두고 지금도 논쟁을 벌이고 있답니다. 엄마와 손을 잡을 때의 따뜻하고 부드러운 느낌, 노란 개나리와 빨간 장미를 볼 때의 느낌, 가시에 찔렸을 때의 날카로운 느낌, 소금의 짠 맛 등은 자연과학의 범위 안에 있는 ... ...
이전2582592602612622632642652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