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테
상황
형편
입장
현상
분위기
컨디션
스페셜
"
상태
"(으)로 총 3,18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거의 전체에 걸쳐 뻗어있다. 따라서 전뵈트징어복합체의 특정 뉴런이 보내는 들숨의
상태
를 알리는 신호가 청반을 통해 뇌의 전반적인 활동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연구자들은 실험을 통해 두 부분의 네트워크가 실제 존재함을 확인했다. 즉 청반이 받는 신호의 전부는 아니더라도 상당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박적 행복추구는 오히려 독이다
2018.04.21
그만두도록 조언하는 학자들이 있다(Ford et al., 2017). 앞서 언급했듯 ‘이상적인 정서
상태
’나 내가 반드시 느껴야 할 행복감의 크기 또는 꼭 피해야 할 부정적 정서들 같이 감정에 옳고 그름의 기준을 정할수록 자연스럽게 올라오는 다양한 감정들의 존재에 쓸데없이 실망감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끊고 나서야 간신히 회복했다. 지난 여름 이후 ‘다행히’ 무소식이 희소식인
상태
로 지내고 있는 위에게 이 자리를 빌려 모처럼 안부를 전하며 글을 마친다. “이보게 위, 그동안 잘 지냈나? 자네의 수고는 늘 고맙게 생각하고 있네. 앞으로도 잘 부탁해. 그리고 답신은 안 해도 되네. 정말이야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어떻게 겨울잠을 잘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14
세포 사이 구멍이 다시 열리면서 휴면
상태
가 풀리고 성장이 재개된다. 봄이 오면 휴면
상태
가 풀리고 낮의 길이도 길어지면서 식물이 쑥쑥 자라나는 환경이 되는 것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사이언스지 4월 13일자(360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04.11
AI) 등 일반인이 관심을 가질 주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내곤 했다. 그는 시공간의 양자
상태
에 따른 시간여행 가능성에 대해 설명하면서 “(시간여행이) 물리학자들이 비웃음이나 조롱을 걱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질문이어야 한다. 설령 불가능하다고 밝혀 지더라도 왜 불가능한지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연구결과도 있다. 한마디로 본인만 노력하면 나이가 들어도 얼마든지 맑은 정신
상태
를 유지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이는 우리가 아무리 노력해도 뇌세포가 죽는 속도를 늦추는 게 고작이라는 기존 관점과는 크게 다른 결론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연구결과들이 사람이 아니라 실험동물(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
2018.04.03
형태로 탄수화물을 저장하는데 보통 근육에는 약 200그램, 간에는 100그램 정도 된다. 이
상태
에서 굶을 경우 몸은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해 사용하며 18~24시간을 버틸 수 있다. 장거리 달리기처럼 근육이 오랜 시간 움직이며 에너지를 소모하는 운동의 경우 근육에 글리코겐이 충분히 저장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
2018.03.31
폭력에 해당한다고 명시되어 있는 부분이 흥미롭다. 특정 행동을 하게끔 상대의 심리
상태
를 조작하는 행위 전반이 강압과 폭력에 해당된다는 것. 힘을 쓰는 폭력만 폭력인 게 아니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 처해 있다는 의심이 간다면 한국 여성의 전화 (02-2263-6464~5)나 여성긴급전화(1366)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이물질로 인식해 잡아먹기는 했는데 이를 분해할 효소가 없다 보니 그냥 머금고 있는
상태
다. 그런데 대식세포는 몸 이곳저곳을 돌아다니지 않는가. 흥미롭게도 진피에 자리를 잡은 대식세포는 죽을 때까지 머물며 임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팔뚝에 문신을 하면 진피에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
2018.03.20
프리 배터리가 나올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필자는 얼마 전 7년 동안 쓰던 노트북의
상태
가 급격히 나빠져 새로 하나 장만했다. 고쳐 쓸까 하다가 배터리도 바꿔야 되고(충전해도 두 시간을 못 버틴다) SSD 용량도 늘려야 하는데 그럴 바에야 한 100만 원 보태(?) 새 걸 사기로 한 것이다. 무게 1kg도 안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