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질
성격
본질
천성
됨됨이
특성
특징
d라이브러리
"
성질
"(으)로 총 3,25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체 침입전략 밝혀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오히려 1백Å 정도 표적의 세포막에 가까워져 침입하기 쉬워진다 한다. 이같은
성질
이 모든 바이러스에 있는지는 아직 모르지만 비슷한 사례가 없지는 않을 것이라 한다 ... ...
화학 - 금속의 산화 방지 효과적 방법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되려는
성질
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금속으로 된 도구나 장치가 산화되면 금속의
성질
을 잃게 되므로 심할 경우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인간이 금속을 이용해 온 이래 금속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금속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이 ... ...
생물 - 나비의 탈바꿈도 호르몬 덕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바퀴는 머리 부분을 잘라버려도 며칠 동안은 산다. 이같은
성질
을 이용해서 일주기성 활동을 하고 있던 개체의 머리를 잘라냈더니 일주기성을 잃어버리고 무주기성 활동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그 물질이 머리 부분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라고 ... ...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벌인 논쟁은 아직도 전세계 화학계의 전설적인 사건으로 남아 있다. 이는 마치 빛의
성질
이 파동인지 입자인지를 둘러싸고 벌어진 논란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일반적 상식으로는 이해가 불가능한 미시 세계 현상을 거시 세계의 현상에 비유해 설명하면서 일어난 일이었다.탄소양이온은 극단적으로 ... ...
2 유전공학 공해 핵 오염보다 무섭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를 연구하는 학문이다.궁극적으로 도달하게 될 무질서, 혼합, 무정형이 증가하는 계의
성질
을 말하는 엔트로피는 열역학 제 2법칙에 대한 연구에 중요한 척도로 사용된다. 이는 실제적으로 특정하기 보다는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훨씬 쉽다. 또한 물 한컵의 온도를 재는 것처럼 측정이 가능한 ... ...
고형 암, 항암제 거부현상 밝혀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최근의 연구에서는 약제 도달성의 장벽이라는, 지금까지 가볍게 여겨져온 고형암의
성질
이 화학요법 성공여부의 관건이 된다는 가능성이 명백해졌다.하버드대 의학부 방사선종양학부문 종앙생물학강좌교수인 R.K.자인에 따르면 과거 20년에 걸친 연구에 의해 고형암은 종종 치료에 필요한 항암제에 ... ...
지구과학- 지표근처암석 75% 퇴적암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셰일이 변성돼 슬레이트가 되면 일정한 두께를 가진 얇은 판으로 쪼개지는
성질
을 가진다. 이는 광물의 배열에 의해서 생기는 것이 아니고 성층면 등으로 생긴 틈에서 기인된다(사진9).엽리는 암석이 재결정 작용을 받아 운모와 같은 판상의 광물이 평행하게 배열돼 나타나는 조직이다. 육안으로 ... ...
물리- 태양계 운동 지배하는 뉴턴·케플러 법칙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반지름의 세제곱에 비례한다는 것이 케플러의 제 3법칙인데, 여기에 원운동의 일반적인
성질
을 결합시키면 만유인력의 법칙이 유도된다. 그러니까 케플러의 제 3법칙 속에 뉴턴의 만유인력법칙이 숨어 있다는 말이다.뉴턴이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했다는 것은 아마도 ... ...
(2) 유전공학 이용 생체설계 꿈꾼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식히면 삶기 전 상태로 되돌아 오지 않을까. 그 차이는 과학적인 말로 하면 분자의
성질
이 달라졌기 때문이다.물이나 알코올 분자는 본래 죽은 상태지만, 달걀을 만들고 있는 단백질 분자는 살아 있다. 달걀을 삶으면 이 단백질 분자가 죽게 되는 것이다. 생달걀의 단백질은 생명을 품고 있기 ... ...
(4) 의약·산업분야 대변혁 예고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있어서 공통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견인데 비해, 미국 연구자들은 단백질마다 독특한
성질
은 있지만 공통점도 있다는 주장이었다.만약 공통점이 있다면 단백질을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이는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사이에 어떤 일정한 법칙이 존재한다는 말이 되기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