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눈은 가늘게, 아니 그것보다는 좀 더 짧게. 코는 길고 끝은 뾰족하게, 아니 그것보다는 뭉툭했던 것 같은데….” 범죄 수사에서 범인을 목격한 피해자나 목격자의 진술을 토대로 몽타주를 그리는 경우가 많다. 범인의 얼굴과 비슷한 눈코입 등 얼굴의 부위별 자료를 조합해 용의자와 유사한 얼굴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안녕! 나는 남극 킹조지섬의 나레브스키 포인트에서 살고 있는 ‘제니(젠투펭귄)’야. 해마다 옆 마을인 세종과학기지에서 수많은 과학자들이 우리 마을을 방문하지. 2009년에 우리 마을이 남극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뒤로는 허가받은 과학자들만들어올 수 있어. 예전에는 몇 명만 들어와서 특별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인간의 심장은 중앙에서 살짝 왼쪽으로 치우쳐 있습니다. 위와 비장(지라) 역시 왼쪽에 있고, 오른쪽에는 간이 위치합니다. 폐의 경우도 좌우 대칭으로 보이지만 사실 왼쪽 폐는 두 개의 폐엽으로, 오른쪽은 세 개의 폐엽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대장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구부러져 있죠. 그런데 17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편집자주 - 이번 화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간 애독해 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돌이켜 보면, 지옥문을 열어젖힌 책임은 전적으로 내게 있었다. 공중파 뉴스에 나갈 인터뷰를 그렇게까지 호들갑스럽게 해버린 건 그 누구도 아닌 내 의지에 따른 일이었으니까. 물론 남부 지방의 갑 ...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선생님, 저희 풀었어요!” 학생 3명이 동시에 손을 번쩍 들며 신이 난 목소리로 말했다. 수학 문제를 푼 게 아니었다. 11월 11일, 울산 공업탑청소년문화의집에서 있었던 ‘놀이로 만나는 수학’ 행사에 참여한 학생들이 ‘꼬인팔 풀기’ 놀이에서 미션에 성공한 것이다. 김문수 울산 동평중학교 ... ...
- [과학뉴스] 아기 부르는 엄마 음색은 인류 보편적?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어린 자녀와 이야기할 때 부모는 본능적으로 짧고 반복적인 구절을 사용하고 목소리의 높이를 과장되게 높인다. 최근 연구 결과, 이 때 음색도 특정 방식으로 바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음색은 음의 높낮이가 같아도 사람이나 악기에 따라 달리 들리게 하는 소리의 특성이다. 그리고 이런 현상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물질을 이루는 원자들 간의 결합력이 강할수록 총알이 관통하기 어렵다. 그런 의미에서 ‘그래핀(graphene)’이라는 ‘21세기 나노 소재’는 특별하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들이 강력한 공유결합을 통해 육각형 벌집 모양으로 연결돼 있다. 두께는 0.3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 m) 정도. 2차원 평면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10월 4일. 여느 때와 다름없는 수요일 오전이었다. 필자는 영국 케임브리지에 있는 의학연구위원회(MRC·Medical Research Council) 산하 분자생물학연구소(LMB·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에서 오후에 있을 전자현미경 실험을 위해 시료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때 갑자기 복도 여기저기서 환호성이 터져 나왔다. ...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방금 스쳐 지나간 사람에게서 익숙하면서도 묘한, 은근히 끌리는 향이 난다. 달달한 걸 보니 장미향일까. 살짝 시큼한 걸로 봐선 레몬향도 섞인 것 같다. 어쩌면 예상치 못했던 향이 섞여 있는지도 모른다. 꽃이나 과일이 아닌, 동물 냄새 말이다.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향료는 꽃이나 잎, 풀, 열매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1889년 과학자들은 1kg 금속을 질량의 기준으로 삼았다. 그들은 이 ‘킬로그램 원기(原器)’는 금고에 보관하고, 동일한 질량을 가진 복제본으로 세상 모든 물체의 질량을 따졌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원기와 복제본의 무게가 주변 환경에 따라 미세하게 변했던 것. 과학자들은 영원히 변치 않는 ... ...
이전265266267268269270271272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