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1916년 아인슈타인은 잔잔한 중력장 위에 돌을 던지면 어떤 일이 발생할지 생각했다. 거대한 별이 갑작스럽게 폭발하는 등 중력에 변화가 생기는 상황을 수학 모델로 만들고, 중력 변화가 사방으로 전파된다는 파동방정식의 해를 구했다. 아인슈타인은 이를 ‘중력파’라고 명명했다. 그런데 이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미국 데이터 분석 서비스 기관인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전 톰슨로이터 지적재산 및 과학분야 사업부)는 2013년부터 매년 주목할 만한 연구 분야들을 꼽아 ‘리서치 프론트(Research Front)’라는 보고서로 발간해왔다. 최근 7년간 세부 분야별 핵심 논문들의 발행 수와 인용 횟수가 상위 1%에 드는 분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많은 이들이 리처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를 통해 이룬 학문적 업적을 깎아 내린다. 그러나 ‘복제자’와 ‘운반자’ 개념을 구분해 자연 선택의 단위가 결국은 유전자임을 밝혔다는 점, 그리고 곳곳에서 쏟아지던 신선한 발상들을 유전자 선택론이라는 하나의 틀 안에서 통합했다는 점에서 ... ...
- 잇고! 끊고! 즐기고! 스위칭 게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매일 이용하던 지하철의 운행이 중단됐을 때 허겁지겁 다른 노선을 찾아본 경험이 있나요? 지하철은 여러 노선이 얽혀있어서 출발역과 도착역을 잇는 노선 중 아무거나 골라 타면 도착역에 갈 수 있어요. 만약 새로 찾은 노선도 운행이 중단됐다면 또 다른 경로를 찾으면 되지요. 끊긴 노선을 피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대전에서 학부 4년을 마치고 1999년 필자가 입학한 대학원 실험실에는 한 가지 특별한 규칙이 있었다. 오전 9시 30분 출근, 이후 30분씩 늦을 때마다 1000원씩 벌금을 내 모인 돈으로 10명 남짓한 구성원들이 함께 점심을 사먹는 단순하지만 엄격한(?) 규칙이었다. 사람들이 말하는 전형적인 ‘올빼미형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한 주 동안 실험 잘 진행하셨나요? 실험을 잘 하는 것 보다는 재밌게 했는지가 더 중요해요.” 아직 더위가 가시기 전인 9월 중순, 서울 성북구 고려대 안암캠퍼스 내에 있는 하나과학관. 이 곳에서는 뇌과학 동아리 ‘뉴런(NEW LEARN)’의 정기 세션이 박지윤 씨(심리학과 3학년)의 사회로 진행 중이 ... ...
- 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한 변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동물들은 포식자에게 모습을 숨겨 살아남기 위해 주변 환경과 비슷한모습으로 진화했습니다. 혹은 위협적으로 보이기 위해 강한 동물로 위장하기도 합니다. 심지어 포식자의 소리까지 흉내 내기도 하지요. 영국의 생물학자 헨리 윌터 베이츠는 11년간 1만 종이 넘는 곤충을 관찰하는 도중 동물이 ... ...
- [수학공감] 여행에서 수학을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9월 16일 아침, 경남 창원시 진해구 북원로터리의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학생들이 무리지어 무언가에 열중하고 있었다. 진해로 매스투어★를 온 경남 창원 삼계중학교 학생들이 이순신 장군동상의 높이를 측정하고 있던 것. 사람보다 훨씬 큰 동상의 높이를 어떻게 알아낸다는 걸까? 매스투어★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마고의 최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싸움은 치열했지만, 애초에 경비로봇의 수가 부족했다. 연구원들은 이미 어디론가 도망갔는지 아무도 보이지 않았다. 하림을 뺀 다른 아이들도 조우진을 따라 전부 도망친 뒤였다. 하림은 그 뒤를 따라가는 척하다가 슬쩍 빠져나와 안전한 곳에 몸을 숨기고 있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경비로봇은 ... ...
- [현장취재] 지사탐 봄 현장교육 꿀벌이 윙윙, 각시붕어가 펄떡!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우리나라 꿀벌은 ‘한식’을 좋아한다?!4월 22일과 23일 오후,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화분매개자와 밀원식물’현장교육이 열렸어요. 꽃가루를 옮기며 꽃의 ●수분을 돕고 열매를 맺을 수 있게 하는 생물을 ‘화분매개자’라고 불러요. 꿀벌과 나비 외에도 나방, 등에, 딱정벌레, 거미 등 다양한 곤 ... ...
이전2672682692702712722732742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