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공"(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입시 문제로 꼭 나온다! 챗GPT, 인류에게 득일까? 실일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어디서나 핫이슈인 챗GPT는 영재학교, 과학고 및 대학교 입학시험 문제에 등장할 수 있어요.그래서 가 발빠르게 챗GPT를 주제로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세과영)와 대전과학고등학교(대전과고)의 토론 배틀을 기획했어요. 5월 1일 세과영에서 진행한 영재학교 학생들의 숨가쁜 토론 현장 ... ...
- AI 시대 주목받는 직업 8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수 있는 연구를 하자고 결심하고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사 과정에 들어가 뇌 기반 인공지능을 공부했어요. 박사 과정 중 의사가 적은 양의 의학 데이터로도 빠르게 환자의 병을 진단할 수 있는 AI 모형을 만들었지요. 의사과학자는 환자에게 필요한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알기 어려운 ... ...
- 게임 회사에서 언어 AI 연구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분야에 도전하게 됐어요. AI가 세상에 없던 새로운 걸 만든다는 점에서 매력을 느껴, 인공지능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어요. 크래프톤은 AI 연구원이나 개발자의 실력이 좋다는 소문이 있었어요. 특히 제 연구 분야에서 유명한 연구원이 크래프톤에 계신다는 점도 한몫했지요. 잘하는 사람과 ... ...
- 신약 개발도 우주에서! 미세중력의 마법수학동아 l2023년 06호
- 기술을 본격 개발하면 우주에서 제조된 물질을 값싸게 되가져 온다는 이점뿐만 아니라 인공위성 자체를 재활용할 수 있는 시대가 올 수 있다. 지구에서 미세중력 만드는 방법은? 미세중력이 고순도 물질 제조에 도움이 된다면 지구 위에서 미세중력을 만드는 방법은 없을까? 현재까지 알려진 ... ...
- 인쇄한 대체육 직접 먹어봤습니다! 3D 푸드 프린팅과학동아 l2023년 06호
- NASA)에서 분사한 3D 프린팅 스타트업, ‘비헥스’는 올해 4월, 폐플라스틱을 인공 식품으로 만드는 ‘바이오 반응기’를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특정 박테리아는 플라스틱을 먹고 바이오매스를 생성하는데, 이 바이오매스에 포함된 단백질을 확보해 푸드 프린터로 닭가슴살이나 스테이크를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관측한 덕분에 천문학, 과학이 발전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그 과학의 산물인 인공위성이 인류가 오랫동안 이어온 천문 관측을 방해하게 됐다. 과연 인류는 우주 개발과 천문 관측이라는 포기할 수 없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까. Q. 2023년 상반기 독자들에게 가장 인기가 ... ...
-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흘리고 제어할 수 있는 ‘미세유체칩’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다. 혈관과 비슷한 미세한 인공 관을 오가노이드 안쪽에 만들어서 마치 혈액이 흐르듯 오가노이드 안쪽에 배양액과 산소가 지나다니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때도 미리 만들어둔 미세유체관 중심으로 오가노이드를 자라게 할지, 아니면 ... ...
- [이달의 책] 사랑 없는 미래에서 상상한 인간의 조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큰 위기를 가뿐히 해결한 이 슈퍼 옥수수에 내재된 엄청난 파괴력을 서서히 드러낸다. 주인공 태오는 알파콘이 가져온 축복에 도취되지 않고 계속 경계하며, 그 속에 숨겨진 유전자 조작의 위험성을 추적해 들어간다. 모두를 구원해주는 과학 기술의 성공 앞에서도 그것이 감춘 파국의 가능성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GPS, 자기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속에서 GPS 수신기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내려면 3개의 인공위성이 더 필요해요. 4개의 인공위성이 추정한 구의 영역과 모두 겹치는 부분이 GPS 수신기, 즉 사람이 있는 곳이랍니다. 자기장 자석은 쇳조각을 끌어당기는 힘을 가지고 있어요. 이 힘을 ‘자기력’이라고 합니다. 쇳조각을 자석으로부터 ... ...
- [Space Math] 지구 밖으로 나간 AI, 우주 정착 앞당긴다!수학동아 l2023년 05호
- 보니 AI에 대한 정의도 다양하다. 그중 가장 강력한 AI는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인공 일반 지능)로 불린다. AGI는 인간에 준하는 지적 수준을 갖추고, 인간처럼 다양한 분야에서 일을 척척 해내는 AI다. AI 진화 속도가 워낙 빠르다 보니, AGI 수준까지는 개발하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