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칼"(으)로 총 1,066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명절 보낸 아내를 위한 과학 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갈등을 대하는 모습에는 극명한 차이가 있다. 논문의 저자인 미국 럿거스대 데보라 칼 교수팀은 60세 이상 부부 394명을 대상으로 부부 사이에 갈등이 있을 때 언제 상실감을 느끼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아내는 남편의 감정적인 지지를 받지 못하거나 불만 사항을 남편과 의논하지 못할 경우에 깊은 ...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찾은 것이다. 경찰조사에서 피의자는 살해의도 없이 우발적으로 주변에 있던 부엌칼을 사용했다고 주장한 반면, 피해자는 무기가 일본도였으며 피의자가 살인을 미리 준비했다고 주장했다. 수중과학수사대는 피의자가 방파제 옆에 버린 증거물을 수색했는데, 찾고 보니 일본도였다. 피해자의 ... ...
- [지식]이안 아골,위상수학에 마침표를 찍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완전히 분류할 수 있다는 ‘하켄 추측’을 내놓았다. 예를 들어, 2차원 곡선의 면을 칼로 썰듯이 적절히 잘라내면 가장 단순한 형태의 곡면으로 바뀐다. 이것이 3차원에서도 가능하다는게 하켄 추측이다. 3차원 다양체에서의 하켄 추측은 최근까지도 위상수학자들의 가장 큰 관심사였다.위상수학의 ... ...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광섬유를 삽입해 주면 인간의 뇌 속에도 얼마든지 빛을 비춰줄 수 있다.다만 머리에 ‘칼’을 대야 한다는 점은 부담이다. 광유전학 기술이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지만, 한편으로 음파유전학이나 자기유전학 등이 주목받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음파나 자기장은 빛과 달리 피부와 두개골을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민간 세포를 공격해 피해를 입히곤 합니다. 저희는 이를 막기 위해 전투가 끝날 무렵에 칼같이, 주변 뉴트로필들에게 목숨을 끊으라는 신호를 보냅니다. 신호가 내려지면 뉴트로필들은 해로운 물질을 내보내던 통로를 닫고, 자신의 몸속에 그 물질을 풀어 자살을 합니다.(손 대표와 사회자 슬금슬금 ... ...
- [수학동아클리닉]우주를 품은 정십이면체!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정다면체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부터 천문학자 케플러에게까지 호기심을 유발하는 도형이었다. 학자들은 정다면체를 통해 우주를 설명하려고 했다. 정다면체의 어떤 특징이 사람들의 관 ... 우주를 품은 정다면체를 만들어 보자.준비물 : 트럼프카드 30장, 도안, 칼(가위), 투명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연구에 본업만큼 집중하고 있다. 지난 10월에는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칼슘 채널을 빛으로 조절하는 새로운 기술을 발표했다. 이 기술로 채널을 활성화시키자 쥐의 기억력이 두 배 가량 향상됐다. 이 연구에서 주목할 점은 새로운 채널을 삽입한 것이 아니라, 기존 채널을 활성화시키는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체취를 들이마시던 그녀는 터져 나오는 울음을 억지로 참고 뒤로 물러나 바닥에 떨어진 칼 두 개를 주워들었다.“어떻게 해야 하는지 말해줘.”길잡이가 말했다.#3은하탐사력 328.3765년 0.7594시, 마르지에 파라디의 의식은 6만7539명의 동료들과 함께 벨라트릭스 주변을 돌고 있던 항성간 탐사선 ... ...
- 섬유 (纖維)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팔로 받치고 있는 모양을 나타내지요. 어떤 사람들은 ‘丿’ 부분을 칼이라고 생각해 칼을 차고 있는 사람으로 보기도 해요.‘몸 체(體)’는 ‘뼈 골(骨)’에 ‘두터울 풍(豊)’을 합쳐 만든 글자예요. ‘뼈에 살이 두텁게 붙어 있다’라는 뜻으로, 우리의 몸이 뼈와 살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 ...
- 세상에 이런 이름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남는다?학명을 만드는 방법을 ‘이명법’이라고 해요. 18세기 스웨덴 식물학자인 칼 폰 린네가 처음으로 고안했지요. 린네는 이명법을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9000종이 넘는 동식물의 이름을 붙여 주었답니다. 지금 우리가 쓰는 생물 분류법은 린네로부터 시작된 것과 다름없지요.학명을 보면 OO을 알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