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칼"(으)로 총 1,066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결~! 섭섭박사를 이겨라!] 가장 멀리까지 달려라! 고무줄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위해서는 작은 원형의 판을 바퀴와 축 사이에 끼워 단단히 고정해야 하지요. 도전자들은 칼로 판의 구멍을 조절하거나, 고무줄로 축을 감싸는 등 자기만의 방법으로 견고한 차량을 만들었답니다.1시간 가량이 지난 뒤, 도전자들 앞에는 각자 열심히 만든 자동차 한 대씩이 놓여 있었어요. 바탕을 모두 ... ...
- 백수오 VS 이엽우피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무늬가 있으며 매우 단단해요. 껍질을 벗기면 백수오와 달리 흰 진액이 나오지요. 또 칼로 자른면에 무늬가 없는 것도 특징이랍니다. 냄새는 약간 나며, 먹으면 쓴맛이 나다가 마지막에 단맛을 느낄 수 있어요 ... ...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없지만 미래에는 가능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고체처럼 서로 부딪히는 방식으로 칼싸움을 하지는 못할 겁니다.”라이트세이버를 만들 수 있다니! 스타워즈 팬들에게는 희소식이다. 그렇다면 전투기에서 쏘는 레이저도 실제로 가능할까. 이번에는 레이저 응용분야 전문가인 최만수 ... ...
- 초등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선택해 설계도에서 가장 큰 정사각형 조각을 옮겨 그린다.❸ 왼쪽 사진처럼 각 조각을 칼로 자르고 퍼즐 조각을 잃어버리거나 다른 퍼즐 조각과 섞이지 않도록 조각 뒷면에 사람 이름과 숫자를 이용해 표시한다.❶모둠별로 완성된 퍼즐을 이용해 모둠 대결을 한다. 이때 해당 퍼즐을 제작한 모둠은 ... ...
- 양자역학과 수학을 연결하는 다리, π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에너지 준위를 구하는 공식과 일치한다는 것이 증명됐습니다.미국 로체스터대 칼 헤이건 교수와 타마 프리드먼 방문 교수는 변분원리를 이용해 수소 원자의 에너지 준위를 구했습니다. 에너지 준위란 원자의 중심핵을 회전하고 있는 전자가 가질 수 있는 에너지 값이고, 변분원리는 양자역학에서 ...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길어지면 꼬마가 나와 ‘그만해. 진짜 지겨워’라고 소리치는가 하면, 지난 수상자가 칼 삼키기 묘기를 보이기도 한다(사진➍).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기이한 시상식은 9월 17일 저녁 6시 하버드대 샌더스 극장에서 열렸다.세상에서 제일 아픈 독침은 총알개미 독침놀랍게도 직접 느낀 고통을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분석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하다. 학술지 ‘네이처’는 랩 온어 칩을 ‘맥가이버 칼’에 비유하기도 했다.랩 온어 칩 기술은 최근 들어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기 시작했다. 국내만 봐도 2014년에 나노엔텍에서 혈액 한 방울로 전립선, 갑상선 질환의 유무를 알아낼 수 있는 랩 온어 칩을 개발해 미국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바람에너지 총량은 지상의 5~8배에 달한다. 실제로 미국 스탠포드대 카네기연구소 켄 칼데이라 교수팀이 2012년 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지상에서 얻을 수 있는 바람에너지가 원전 40만 기와 맞먹는 400TW(테라와트, 1TW는 1012W)인 반면, 대기권 전체에서는 최대 1800TW나 됐다 ...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싶다”고 말했던 것은 바로 이런 염원을 잘 표현해 주는 말이다. 아이작 아시모프와 칼 세이건이 인류 역사상 최초의 과학소설이라고 말했던 요하네스 케플러의 작품에 이런 염원이 담겨있다. 케플러는 1611년 무렵 ‘솜니움’(라틴어로 꿈)이란 제목의 소설을 썼다. 아이슬란드의 한 소년과 마녀인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행성도 많다(태양계 행성처럼 궤도가 원인 행성이 오히려 드문 편이다).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다큐멘터리 ‘코스모스’의 에필로그에서 “우리는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종(種)으로서의 인류를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외계행성 탐사는 어쩌면 다른 생명체를 찾는 목적보다 ‘우리가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