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석"(으)로 총 8,04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퍼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어떻게 비교 하는지 알아봅시다. 먼저 고대인의 DNA를 잘게 토막 낸 후 염기서열을 분석합니다. 현재 기술로는 30억 염기서열을 수백 개의 조각으로 토막토막 잘라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자료를 컴퓨터에 입력하면 표준게놈과 서로 겹치는 부분을 찾을 수 있습니다. 최적의 경우를 찾는 문제이런 ...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6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가느라 남은 흔적인지 판별할 수 있어. 게다가 주변의 미생물의 게놈을 해독하고 물질을 분석하면 평소 생활습관도 알 수 있지. 심지어 생김새도 추정이 가능해. 그러니까… (안경이 이상하게 빛난다.) 집쟝님은 커피는 하루 꼭 세 잔. 맥주를 애호하고 신 음식은 못 먹어. 샤워할 땐 바디샴푸를 쓰지. ... ...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자기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연구팀은 특히 코로나에서 온 적외선 영역의 빛을 집중 분석할 계획이다.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고 에너지는 작다. 즉, 같은 세기의 자기장에 의해 생기는 에너지 변화가 가시광선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결과적으로 분광선의 파장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나서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아마 지구 생명체의 DNA 씨앗일 것이었다. 자료에는 시투아가 채취한 나뭇가지와 이끼의 분석자료도 있었다, 나뭇가지는 처음 보는 구성이었지만 이끼는 지구의 DNA를 가지고 있었다.“우리가 멸망시킨 거군요.” 이비는 망연자실한 표정이었다.“이비, 더 많은 증거와 이론적 뒷받침이 필요할 것 ... ...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증명할 수 있을까.혈청학적 분석방법항체가 항원에 결합해 침전하는 원리를 이용한 분석법이다. 예를 들어 정액에만 있는 단백질(항원)에 대응하는 항체를 넣어 침전 여부를 확인해 정액인지 아닌지를 분별한다.이환영_hylee@yuhs.ac현재 연세대 의대 법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9년부터 체액 ... ...
- Part 1. 한국인의 조상을 찾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박 교수는 “게놈 자체가 정보 덩어리이고, 숫자이기 때문에 게놈 분석은 수학적 분석이라고 봐도 무방하다”고 말합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으로 찾는 나의 뿌리, 내 유전자는 어디서 왔을까?Part 1. 한국인의 조상을 찾다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 ...
- [과학뉴스] 형광을 내는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어느 기관에서 형광 물질을 분비하는지 찾고, 이 물질의 구성 성분이 무엇인지 분석했어요. 그 결과 개구리의 림프 조직과 피부 등에서 ‘하일로인’이라는 형광 물질을 분비한다는 것을 밝혀냈지요.또, 연구팀은 하일로인이 많은 양의 빛을 방출한다는 것도 알아냈어요. 그래서 물방울무늬 ... ...
- [특별 인터뷰] 한국 호랑이를 지켜라! 백두산 생태통로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호랑이의 발자국이나 배설물을 찾기도 한답니다. 이를 통해 호랑이의 이동 경로를 분석하고, 어떤 지역이 호랑이 생태통로로 쓰일 수 있을지 알아낼 수 있지요.Q호랑이 생태통로는 어떻게 만드실 건가요?암컷 호랑이 한 마리가 정착해서 살기 위해선 200㎢정도 면적의 산지가 필요해요. 수컷 ... ...
- [과학뉴스] ‘알쓸신잡’과 생물학적 호주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987년 미국 하와이대 레베카 칸 교수는 전세계 여성 147명의 mtDNA를 분석해, 모든 현생인류가 2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살던 한 여성(미토콘드리아 이브라고 부릅니다)으로부터 기원했다는 사실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굳이 따지자면 혈통을 추적할 수 있는 여성의 ... ...
- [과학뉴스] 조류 독감, 인간에게 퍼뜨릴 수 있는 ‘돌연변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H7N9이 어떤 돌연변이를 일으킬 경우 인체 감염을 유발하는지 분자 모델링 기법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감염시킬 숙주를 결정하는 헤마글루티닌(H7)을 암호화는 유전자에 집중했다. 헤마글루티닌 관련 유전자의 아미노산 서열을 바꿔 여러 가지 돌연변이 헤마글루티닌을 설계한 뒤, 실제로 인간 ... ...
이전2662672682692702712722732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