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석"(으)로 총 8,048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기상연구소 외위빈드 노들리 연구원과 함께 진주구름과 뭉크의 ‘절규’를 비교 분석한 이유입니다.고도 20km에서 나타나는 희귀한 기상현상과학용어로 ‘자개구름(nacreous cloud)’이라고 부르는 진주구름은 보통 추운 지방의 성층권에 나타납니다. 그래서 ‘극지 성층권 구름’이라고도 부르죠. 보통 ... ...
- [Career] 노벨상 꿈나무들, 인류의 미래를 연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팀의 강성준 학생(창원과학고 2)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장비로 개미의 배설물을 분석하면 썩은 나무를 갉아먹는 흰개미의 배설물에서 셀룰로오스 성분이 더 많이 검출된다”며 “목조 문화재를 파괴하는 주범인 흰개미를 조기에 찾아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끈질긴 탐구 자세가 돋보이는 팀도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네덜란드 에라스무스대 의대 공동연구팀이 영국과 미국, 덴마크의 보건자료를 입수해 분석했다. 그 결과 홍역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면서 홍역 발생(검정 그래프)이 줄어들자, 홍역이 아닌 다른 전염병에 걸려 사망한 소아의 숫자(빨간 그래프)도 줄어들었다. 반대로 홍역의 발생이 증가하면 홍역이 ... ...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플로렌스 벨바 교수팀이 ICSI로 태어난 남성 54명을 자연임신으로 태어난 남성 57명과 비교분석한 결과, 운동성이 있는 정자의 수가 절반에 불과했다. 또, 총 정자 수와 농도가 세계보건기구(WHO)가 정상이라고 정의한 수치(총 3900만 개, 1mL당 1500만 개)보다 낮을 확률이 각각 4배, 3배에 달했다. 정자의 ... ...
- [가상인터뷰] 개미 사회의 스파이, 반날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알아보기 위해 10년 동안 반날개를 채집했어요. 그리고 DNA 서열을 분석해 진화 계보를 만들었지요. 그 결과 반날개는 1억 500만 년 전의 백악기 때부터 개미와 닮은 모습으로 진화한 것을 알 수 있었어요. 원래 반날개는 독립적으로 살면서 개미를 먹었는데, 개미 사회에 위장해 ... ...
- [과학뉴스] 2004년 수마트라 대지진 원인 밝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시추한 코어의 광물조성, 압출된 지층수의 화학성분 등을 분석한 결과, 지하 1300m 지점에서 지각을 구성하는 규산염 암석에 탈수 작용이 진행된 흔적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탈수 현상이 섭입 전까지 계속 증가하면서 암석이 파괴 임계점에 가까워져 섭입 직후 지진이 ... ...
- [과학뉴스] 목성 극지에서 발견한 거대한 소용돌이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SWRI) 스콧 볼턴 연구원팀은 주노가 목성에 약 5000km까지 접근해서 촬영한 관측 데이터를 분석했다. 특히 그동안 베일에 싸여있던 목성의 남북극 지역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목성의 적도 부근에 대해서는 망원경 관측을 통해서 잘 알려져 있었지만 극지방의 대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 ...
- [과학뉴스] 하늘 보며 쓰나미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로마 사피엔자대와 미국항공우주국(NASA) 공동연구팀이 대기의 전리층을 분석해서 쓰나미를 예측하는 방법을 개발했다.전리층은 지구 대기에서 약 80~1000km에 이르는 층을 말하는데, 태양복사와 우주선(Cosmic Ray)에 의해 대기 분자들이 이온화돼 있다. 지진에 의해 쓰나미가 발생하면 이 지역의 상층부 ... ...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섭취한 콩고민주공화국 여성들을 대상으로 출산 뒤 탯줄에서 얻은 혈액 샘플(제대혈)을 분석한 결과, 혈중 평균 납 농도가 1L당 60μg(마이크로그램, 100만 분의 1g)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스트리아 신생아의 혈중 평균 납 농도(13μg/L)보다 다섯 배 높은 수치였다. 조사한 혈액 가운데에는 농도가 155μg/L인 ...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정량화하고, 그 결과로 완성된 도자기의 유약 색상과 결정 구조, 구성 성분 등을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도자기가 소성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반응들을 과학적으로 규명한다. 황 교수는 “현재 보관 중인 30만 개의 시편 데이터를 정리해서 세라믹 도서관을 만드는 것이 꿈”이라고 말했다 ... ...
이전2672682692702712722732742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