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문
학문
학식
식견
지성
소양
인식
d라이브러리
"
지식
"(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꽃을 우리 땅에"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것)를 집중적으로 추적하는 회원도 있다.이러한 개별적인 노력들을 모아 좀더 체계적인
지식
으로 정리하며 되도록이면 많은 사람들에게 자생식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겠다는 것이 10년을 맞은 자생식물연구회의 목표다 ... ...
과학캠프 교사로 맹활약하는 이화여대 아마추어 천문회 폴라리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것은 절대로 아니다. 1년에 한번씩 발간하는 그들의 회지를 보면 천문과 우주에 대한
지식
이 전공 관련학과 학생들보다 뒤처지지 않는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전공은 영문이니 수학이니 생물로 표기돼 있지만 천체의 운행원리나 우주의 생성 원인, 성운성단의 세부적 관찰기는 아마추어라고 ... ...
(1) 공룡은 어떤 동물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전 지층 중에서 아직까지 화석으로 발견된 일이 없기 때문에 그들의 선조에 대한
지식
이 없어 진화의 경로가 분명치 않다. 이들은 모두 초식동물이었기 때문에 주둥이의 모양이 풀을 뜯어먹기 알맞게 발달(진화)했다. 백악기 초에 나타난 이구아노돈(그림 5) 같은 놈은 마치 오리 주둥이 같은 ... ...
하늘의 그리니치 물고기자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시작하자. 우리가 오늘날 밤하늘을 보며 우주의 신비를 이야기하고 별들에 대한
지식
을 알 수 있는 것은 알려지지 않은 많은 학자들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오늘날 우리가 천문학의 아버지로 부르고 있는 덴마크의 티코 브라에(Tycho Brahe, 1546~1601)는 가장 위대한 천문학자 중의 한 ... ...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를 잘 이용해 체계적으로 분류해두어야 한다. 이 작업을 잘하려면 당신 스스로가 도스(DOS)
지식
으로 무장하고 CPU에게 옳은 명령을 주어야 한다.일을 하기 전에 자기진단 (POST)부터앞에서 CPU를 포함한 컴퓨터가 무보수로 일한다고 했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무보수는 아니다. 컴퓨터가 일을 하려면 ... ...
1 세계 입자물리 실험의 총본산 CERN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입자물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발전되어 왔는데, 이러한 새로운
지식
과 기술은 앞으로 우리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인류복지에 쓰여질 것이다.쿼크를 찾아서물질의 궁극적인 구성요소와 그들 사이의 통일된 상호작용을 연구하기 위해 거대하고 많은 예산이 필요한 입자가속기가 ... ...
농약 대신에 논거미로 농사짓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회원들이 모이면 이들을 교육시킬 준비는 거의 완벽하게 돼 있다. 거미에 대한 기초
지식
을 습득하고 이를 현장에서 실습할 수 있는 거미사육장을 경기도 남양주군 운길산에 마련해 놓고 있다. 현재 이 실습장은 동국대학교 생물학과 학생들의 교육장소로 쓰이고 있다. 당장이라도 거미에 관심이 ... ...
가까이 하기엔 너무나 먼 도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불과한 컴퓨터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소프트웨어는 도대체 어디에 보관할까. 이에 대한
지식
없이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은 집에 냉장고가 어디 있는지 알아보지도 않고 요리를 하겠다고 하는 것과 같다.아무리 물이 잘 나오고, 가스레인지의 화력이 좋고, 칼과 도마는 물론 그릇이 제대로 갖추어졌다 ... ...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의 만남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인간의 완성에 그 목표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전혀 차원을 달리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지식
의 발달은 결국 자연과 인간을 떼어서 생각할 수 없게 했고, 그로 말미암아 서양의 과학과 동양의 철학은 같은 사유선상에서 만나게 됐다.오늘날 현대 물리학의 주요 이론들과 모델들은 동양의 종교나 ... ...
북극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식물성 플랑크톤의 생산량이 다른 대양의 1/10정도로 적다. 동물성 플랑크톤에 관한
지식
은 단편적이다. 그러나 동물성 플랑크톤의 크기는 보다 따뜻한 바다에 사는 것보다 더 크다. 이는 찬물 속에서 느리게 성숙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북빙양의 중심부에서는 식물성 플랑크톤과 동물성 ... ...
이전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