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문
학문
학식
식견
지성
소양
인식
d라이브러리
"
지식
"(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퀴즈와 팀 경주로 학습의욕 높인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한 생활인으로서 합리적인 사회 생활을 영위해나가기 위해서 최소한의 교양 과학적
지식
은 필수라 할 수 있다. 교사는 이러한 과제를 찾아 적절한 옷을 입혀 수업 장면에서 학생들에게 선보여야 한다. 또 직접 경험하는 기회도 가끔씩이나마 부여해 주어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 개발 담당자들도 ... ...
(2) 컬러모니터와 비디오카드 슈퍼 VGA카드 상용화 한창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전환은 그리 간단한 것만은 아니다. 경제적인 여건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관련된
지식
이 부족하여 어떤 것을 구입해야 할지 망설이게 된다. 이 글에서는 컬러 비디오카드와 모니터의 기본적인 내용을 알아보기로 하겠다.1987년 4월 IBM사가 PS/2라는 컴퓨터에 VGA카드를 처음 장착한 이래 VGA 비디오 ... ...
첨단기술 갖고 한국 찾은 옛 소련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없지 않다. 구 소련 과학자들은 일찍부터 한 분야에만 전념해 연관되는 다른 분야에 대한
지식
이 빈약하다. 이 때문에 어떤 분야에 대한 기술을 전수받으려면 여러명의 과학자를 초청해야 하나의 완결된 과정을 배울 수 있다.국내 기업과 연구소들이 경쟁적으로 이들 과학자들을 접촉해 터무니없는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속도로 멀어져 가고 있다는 에드윈 허블의 발견은 천체들의 분포에 관한 인간의
지식
을 크게 넓히게 된 동기가 됐다.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이 발견의 의미는 과거로 갈수록 우주는 점점 작았으며 모든 물질과 빛은 결국 무한대의 밀도를 가진 점에서 출발했다는 것이다.이것이 약 1백50억년 전에 ... ...
맞춤법교정 다양한 편집기능 돋보여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상당한 가능성을 가지게 되었다고 판단된다. 과거의 파일구조는 워드프로세서에 대한
지식
이 별반 많지 않았던 대학교 재학 시절에 설계한 형태로서 사용자들에게는 커다란 무리가 없었지만 범용성의 문제나 장기적인 안목에서 살펴보았을 때 문제점이 많았다.물론 2.0이라는 숫자가 의미하듯이 ... ...
국내반도체산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여부에 따라 구분한다. 즉 순차적 처리방식인 기존 폰노이만 방식을 벗어나 병렬처리와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컴퓨터에 인간과 비슷한 지능을 부여하려는 것이 5세대컴퓨터의 개념이다. 최근 6세대(광컴퓨터) 7세대(바이오컴퓨터)에 대한 얘기도 나오고 있으나 통설화된 것은 아니다 ... ...
3. 생체 리듬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그중 38.1%는 부종 어지러움 구토 등의 부작용을 경험하는 등 약제사용에 대한 두려움과
지식
이 결여되어 있었다. 월경조절로 딴 양궁금메달1988년 서울올림픽에서 시합전 바이오리듬을 이용하여 양궁선수들이 시합일에 어떤 컨디션을 가질 것인지에 대하여 매스컴에 보도된 일이 있었다.이 보도에 ... ...
거울에 비추어본 정보사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피지배계급의 세력화를 막았기 때문이다. 근대 이후로 오면서 특허제도와 같이 지적
지식
이 재화로 인식되기 시작한다.「알 권리」와 정보공개과학기술은 정보가 그 어떤 재화보다도 값비싼 재화라는 인식을 대중들에게 주지시켰다. 근대 산업혁명은 증기기관을 통해 인간의 근력을 몇십배 ... ...
(2) 인종에 맞는 제품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생각된다.여성과 화장은 이렇듯 불가분의 관계에 있지만 자신의 피부에 대한 적절한 미용
지식
을 갖추지 못하면 아름다움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바르는 화장품이 자신의 피부에 오히려 적이 될 수도 있으며, 잘못된 상식은 피부를 망치기도 한다.현재 우리 사회에 ... ...
아이작 아시모프 「파운데이션」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과학'에 주목하는 것은 과학 소설의 재미를 놓치는 가장 효과적인 길이다. 과학적
지식
을 전파하거나 과학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은, 비록 과학 소설이 그런 기능들을 실제로 수행하지만, 과학 소설의 본령이 아니다. 그래도 과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진 독자들은 심리역사학이라는 개념에 큰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