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한"(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가짜 나’를 버리고 ‘진짜 나’를 찾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허상 때문이라는 인식에 도달할 수 있지 않을까. 철학이 질문을 던지는 인간 본질에 대한 해답은 생각을 더하는 것이 아니라 뺄 때 얻을 수 있는 것이리라. 이덕주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거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미국 ... ...
- [매스미디어] 레고 닌자고 무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이야기는 사실이야. 닌자는 행주대첩뿐 아니라 임진왜란 내내 활동했는데, 닌자에 대한 기록은 쉽게 찾아볼 수 없어.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전국시대에 일본 국내에서 활약한 스파이 닌자만 떠올릴 뿐이지. 아니, 그런데 이건 또 무슨 소리지? 어디선가 건물이 무너지는 소리가 나고, 사람들의 비명 ... ...
- [Issue] 100% CG 침팬지 ‘시저’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유인원들의 리더, 시저가 돌아왔다.’영화 ‘혹성탈출’ 3부작의 마지막 편인 ‘종의 전쟁’이 8월 15일 개봉했다. 1968년 이후 이어진 혹성탈출 시리즈로는 일곱 번 ... 본 사람이 VR로 만든 혹성탈출을 보면 현기증을 느낄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영화에 대한 이미지를 망치는 결과가 된다 ... ...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생각하진 않는다. 앞으로 어떤 연구를 할지 고민이 크다. 10년 넘게 어류 생리에 대한 기초연구를 했는데, 지금은 어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양식 기술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앞으로 20년은 더 연구자로 살아야 하잖아요. 저만의 연구 주제를 찾아, 훗날 그 분야에서만큼은 사람들이 가장 먼저 ... ...
- [Future] 카멜레온 같은 감성금속으로 말할 것 같으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따라 받는 느낌은 다를 수 있기 때문. 실제로 감성금속을 개발하는 과학자들은 소재에 대한 시각, 촉각, 청각, 후각, 미각 등 오감 특성을 수치로 정량화하는 작업을 먼저 진행한다. 예를 들어 색상별로 따뜻하게 느끼는 정도나 사람의 손 힘으로 만졌을 때 소재가 휘어지거나 늘어나는 정도를 0~100%로 ... ...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남자애에 대한 거였는데. 수학여행 때 어떻게 남자애들한테 같이 놀자고 말할지에 대한 얘기라 나는 너희가 귀여워서 들으면서도 피식피식 웃음이 났어. 그런데 이번엔 네가 먼저 말하더라. “걱정하지 마, 내가 다 알아서 해 줄게. 내가 들어가면 절대 안 걸린다니까. 백퍼.” 누가 듣기에도 그 ... ...
- 여성 최초 필즈상 수상자 미르자카니 눈을 감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계산해 부피를 구하는 방법을 이용해 이룬 성과다. 이로부터 단순 측지선의 개수에 대한 결과도 도출해냈다. 미르자카니 교수의 연구 결과는 우주 공간의 모양과 부피를 이해하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기하학으로 수학의 다양한 분야를 연결했다고 평가받았다. 이런 연구 성과로 미르자카니 ... ...
- [과학뉴스] 지구 최초의 동물은 빗해파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동물이라는 새로운 주장이 나왔어요. 이후 지금까지 가장 오래된 생물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지요.최근 미국 밴더빌트대학교와 위스콘신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최초의 동물로 ‘빗해파리’가 더 유력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새로운 유전자 분석법으로 동물의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어떻게 형성됐는지에 대한 힌트가 있을지 모른다. 중국은 백서를 통해 화성 탐사에 대한 야심도 드러냈다. 2020년 전후로 첫 화성 탐사선을 발사하고, 궤도 진입, 착륙, 탐사활동 등을 성공시키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후엔 소행성 탐사에 이어 목성과 목성의 위성 탐사도 준비돼 있다. 중국은 ... ...
- Part 1. 너와 나의 연결고리 ‘과학자 언니’과학동아 l2017년 09호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제시된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분석’ 논문에 따르면, 교과서 27권에 제시된 유명 과학자의 99.2%가 남성이었다. 성별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무명 과학자도 82.2%가 남성이었다. 현재 중학교 학생들은 여전히 2009 개정 과학교과서로 공부하고 ... ...
이전2672682692702712722732742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