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BOOK 소리] 용감한 어린이만 도전하라! 데블X의 수상한 책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질문들에 대한 답은 결국 스스로 찾아야 한다. 곰곰이 생각해 보고, 나를 잘 아는 가까운 사람들과 이야기 나눠보자. 생각과 마음이 훌쩍 커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 착한 어린이는 가라! 용감한 어린이들이여, 데블X에 도전하라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가짜 다이아몬드를 구별하는 법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방법’을 소개합니다. 어찌나 화끈한지 영상을 본 사람들은 큰 충격에 빠지더라고요. 사람들이 영상에 남긴 댓글도 읽어보길 추천해요! 최고급 시계의 탄생 조회수 : 355만 회 / 채널명 : PatekPhilippeGeneva (구독자 수 : 7만 5000명) 시계는 정교함의 예술이라고 생각합니다. 수많은 톱니바퀴들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콩나무 타고 별 보러 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있어요. 등급의 숫자가 작을수록 밝은 별이지요. 이렇게 밝기로 별의 등급을 처음 매긴 사람은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인 히파르코스예요. 히파르코스는 하늘의 별을 관측하다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밝은 별들을 1등급, 가장 어두운 별들을 6등급으로 구분했답니다.이후 19세기 영국의 과학자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아밀레이스(amylase), 경도(經度, longitude)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아밀레이스(amylase)’라는 효소가 있어요. 혹시 아밀라아제가 더 익숙하면 당신은 옛날 사람…? 예전엔 아밀레이스를 독일식 발음인 ‘아밀라아제’로 불렀거든요. 아밀레이스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몸속 세포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선 에너지가 필요해요. 이때 우리가 먹은 음식물 속 영양소가 ... ...
- ‘항공샷’ 찍을 헬기, 날려도 됩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거였어요.먼저 화성의 중력은 지구의 37.6%예요. 지구에서 100kg인 사람이 화성에 가면 37.6kg으로 가벼워지지요. 이렇게 중력이 작으면 헬기가 뜨기 쉬워 보이지만, 문제는 화성의 대기압이 지구의 0.6%에 불과하다는 점이에요. 지구로 치면 3만m 높이의 건물 옥상에서 헬기를 ... ...
- 데이터에 예술을 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수 있도록 바꾸고, 해석은 보는 사람에게 맡기지요. 그래서 데이터 시각화 작업물은 보는 사람의 배경지식과 경험, 관점 등에 따라 다르게 이해할 수 있어요. 최근에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하는 예술 작업이 늘고 있어요. 민 교수는 “인공지능이 우리가 만들어낸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뜯고, 접고, 붙이면 몸속이 보인다? 우리 몸 탐험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박테리오파지는 세균을 잡아먹어요!”그렇다면 박테리오파지로 세균에 감염된 사람도 치료할 수 있을까요? 맞습니다! 보통 세균성 질병은 세균을 죽이는 ‘항생제’로 치료해요. 하지만 항생제가 효과가 없는 돌연변이 세균이 번식하면 항생제로는 치료가 어렵지요. 이에 세포를 잡아먹는 ... ...
- [가상인터뷰] 달, 45억 살 아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평균 38만 4399km 떨어진 곳에 있는 위성이지. 난 정말 인기가 많아! 1960년대부터 사람들은 달을 탐사하기 위해 도전해 왔어. 그러다 1969년 7월, 아폴로 11호를 타고 온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에 발자국을 남겼지. 이후 미국 우주인들은 6차례 더 우주선을 타고 달에 왔어. 달 표면을 탐험하고, ... ...
- [이달의 과학사] 기차 시간표를 맞추려고 탄생했다? ‘그리니치 표준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옛사람들은 사는 곳에 따라 각자의 시간을 썼어요. 대부분 해가 가장 높게 뜬 정오를 기준으로 하여 시간의 기준으로 삼았지요. 지역마다 해가 높게 뜨는 시간이 다르니, 나라마다, 마을마다 사용하는 시간이 수백 수천 가지로 달랐어요. 하지만 큰 불편함은 없었지요.그런데 19세기 영국에서 철도가 ... ...
- [기획] 2장. 키블 저울, 어떻게 질량을 측정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전자기력을 받아요. 이 전자기력은 전류의 세기에 따라 크기가 변하는데, 실험하는 사람이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며 중력과 전자기력의 균형을 맞춘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용어정리* 전자기력 : 자기장 안에서 움직이는 전하가 받는 힘 ... ...
이전2672682692702712722732742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