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한다. 핵융합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극한의 조건을 유지해야 하는 실험로 내부는
사람
의 접근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내부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문제가 생긴 경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사 역할을 로봇이 대신해야 한다.해외에서 실험 중인 일부 핵융합 실험로에는 이미 로봇이 설치돼 있다. ... ...
바다거북 알 도둑, 코끼리 밀렵꾼 과학이 끝까지 잡는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한다. 이 소리를 통해 코끼리의 수를 추정할 수 있고, 코끼리의 이동 경로를 파악해
사람
들과의 접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녹음된 소리에서 코끼리의 위협 신호를 구분해내면 밀렵꾼들이 출몰하는 시기와 지역을 유추할 수도 있다.관건은 방대한 데이터 처리 기술이었다. 누아바레-은도키 ... ...
[특집] 빠져나와야 짜릿하다! 방 탈출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문제의 난이도를 객관적으로 가늠할 수 없거든요. 그래서 방 탈출 입문자와 많이 해본
사람
들을 고루 섞어 이틀에 걸쳐 10팀에게 테스트를 받아요. 그리고 그분들께 어려웠던 문제나 이해하지 못한 문제, 스토리적인 결함에 대한 이야기를 듣죠. 그 의견을 바탕으로 여러 번 수정해요 ... ...
[매스미디어] START-UP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발휘해
사람
의 얼굴을 인식하는 서비스에 이어 필적을 감정하는 인공지능을 만든다.
사람
의 두뇌와 비슷한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인공신경망에 데이터를 학습시켜 인공지능을 만드는 기계학습 기술을 이용해서 말이다. 도산이 설명하는 기계학습에 대해 알아보자. 이미지를 분류할 때 주로 ... ...
[기획] 폴리매스를 떠들썩하게 만든
사람
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조현영 기자 | 올 한 해 폴리매스에는 무려 2605명이 새로 가입해 전체 회원 수가 5500명이 넘었답니다. 올해 올라온 게시물만 해도 1만 7600개가 넘는데요, 커뮤니티계의 신흥강자 폴리매스를 싹 다 뒤져서 수상자를 뽑았습니다. *조사는 2020년 1월 1일부터 11월 9일 정오까지 폴리매스 홈페이지에서 이 ... ...
피타고라스와 이효리의 공통점은? 피타고라스 식단!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채식을 ‘피타고라스 식단’이라고 불렀답니다. 그러면 채식의 세계적인 동향과 어떤
사람
들이 어떤 이유로 채식을 하는지 등을 다음 쪽에서 인포그래픽으로 살펴볼까요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만한 문제를 고르는 거예요. Q 창우 학생이 느끼는 폴리매스의 매력은 뭔가요?다양한
사람
이 낸 문제를 풀 수 있다는 점이에요. 평소에 접할 수 없는 문제를 풀면서 창의력이 향상된 것 같아 좋아요. 또 잡담 게시판이 마련돼 있어서 수학과 관련 없는 글도 마음 편히 쓸 수 있는 것도 좋아요. ... ...
[에디터 노트]새로운 태양을 기다리며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갖게 하는 힘이 있는 것 같습니다. 12월호는 또 다른 의미로 새로운 태양에 희망을 건
사람
들의 이야기를 특집 기사로 다뤘습니다. ‘땅 위의 인공태양’을 만드는 핵융합 에너지 연구자들입니다. 핵융합 에너지는 태양의 핵융합과 유사한 방식으로 에너지를 얻는 미래 기술입니다. 한때는 거의 ... ...
과학동아가 파헤친다, 2021 수능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이용해 식당 칸막이의 비말 차단 효과를 실험했거든요. 실내공기품질연구단은
사람
이 대화를 할 때 발생하는 만큼의 에어로졸(초속 약 4m)을 만들어낸 뒤, 칸막이가 이 에어로졸의 흐름을 어떻게 차단하는지 살펴봤습니다. 그 결과 칸막이의 높이가 60cm일 때는 에어로졸의 95.5%를, 높이가 70cm 이상일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만날 수 있는 공간”이라고 말했다. 사실 AI 전문가라고 하면 정보통신(IT) 기업에 소속된
사람
을 떠올리기 쉽다. 에너지 연구기관인 한국원자력연구원과는 조금 거리가 있어 보인다. 실제로 그가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도 ‘도대체 원자력 연구기관에서 어떤 AI를 연구하는가’다. 기자도 같은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