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피플┃우주 산업은 왜 인공위성에 주목 하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팰컨 9에 SES의 정지궤도위성 SES-8을 실어 보냈다. 2017년에는 세계 최초로 1단을 재사용한 팰컨 9 발사에 인공위성 SES-10을 실어 올리는 모험 아닌 모험을 감행하기도 했다. 이 위성은 초고화질(UHD) 영상 송수신과 관련한 국제기술 표준 마련에 활용되고 있다. 콜러 CEO는 “SES는 수많은 스타트업들에게 ...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탐색(SETI)’, 줄여서 ‘세티’ 프로젝트가 60년째 지속되고 있다. 현재 세티 프로젝트에 사용하는 장비는 초창기 때보다 성능이 훨씬 업그레이드 됐다. 1960년대 초반 미국 세티 연구소의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는 웨스트버지니아주의 그린뱅크 전파천문대의 지름 26m짜리 안테나를 이용해 고래자리 ... ...
- 걱정이던 자율주행차 안전 '힐베르트 문제'로 해결!수학동아 l2019년 07호
- 기술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다항식이 음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했던 기존 방식이 복잡한 문제를 계산하는 것이었다면, 연구팀은 상대적으로 풀기 쉬운 여러 개의 식을 연립해서 푸는 방식을 제시했습니다. 그리고 이 방식을 이용하면 훨씬 빠르게 다항식이 음이 ... ...
- 영감┃스크린에 투영된 우주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상상력의 ‘끝판왕’이라 할 수 있다. 인류가 외계행성에서 자원을 구하기 위해 분신을 사용해 외계 종족에 접근한다는 내용인 아바타는 27억 달러(약 3조2000억 원)를 벌어들이며 역대 흥행 수익 1위를 기록했다. 아바타의 흥행에는 화려한 영상미도 한몫했지만, 치밀한 세계관이 큰 역할을 했다. ... ...
- 거짓말 어디까지 발전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유명해진 기계 학습 방법이에요. 인간이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본뜬 인공신경망을 사용하여 스스로 배울 수 있지요. 2014년, 구글의 컴퓨터과학자 이안 굿펠로는 딥러닝 기술 중 하나인 ‘적대적 생성망(GAN)’을 개발했어요. 위의 얼굴들은 모두 적대적 생성망 기술로 만들어졌지요.적대적 생성망은 ... ...
- 피플┃아마존은 왜 위성 데이터 비즈니스에 뛰어 들었나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수도 있다. 주차장, 물류센터, 소매점 등 다양한 비즈니스 시설의 인공위성 이미지를 사용해 자동차와 교통, 고객의 움직임 패턴을 측정하는 등 동향 파악도 가능하다. 호손 총괄은 “언제 어디서나 원할 때 위성 데이터를 손쉽고 저렴하고 빠르게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며 “대학의 연구, ... ...
- 질서┃우주 분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지금까지의 관측 결과를 토대로 우주의 팽창과 수축을 나타내는 ‘프리드만 방정식’을 사용해 그 과정과 결과를 예측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이 시나리오대로라면 우주가 팽창하면서 암흑에너지가 증가하고, 암흑에너지의 힘이 커지면서 우주가 더 팽창한다. 우주의 종말에 다다라서는 우주의 ... ...
- [전지적 수학시점] 카트라이더, 백터로 코너 잘 돌기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리그 탭에서는 각 경기에서 프로 선수의 순위와 주행 거리, 평균 속도, 부스터 사용 횟수도 알 수 있어 게임할 때 참고하면 큰 도움이 되죠. 참고로 TMI(투 머치 인포메이션)는 궁금하지도 않은 과한 정보를 뜻하는 신조어입니다. 카트라이더는 한 판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지만, 매판 레이싱 ... ...
- 영감┃우주로 가는 탑승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2024년 국제우주정거장이 퇴역한 이후에는 액시엄 스테이션을 독립된 우주정거장으로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완성되면 최대 16명이 머물 수 있는 액시엄 스테이션은 바깥 풍경을 볼 수 있는 창문형 스크린, 고속 무선 인터넷 등 각종 편의 서비스를 갖추고 관광객을 맞이할 예정이다. 액시엄 ... ...
- 로봇과 마음을 주고받아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사람은 대화를 할 때 언어 말고도 몸짓, 표정, 눈빛, 말투 등 다양한 표현 수단을 함께 사용해요. 하지만 로봇은 아직 이를 완전히 따라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거리감을 느끼는 거예요. 그래서 HRI 연구가 필요한 거죠.HRI가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지만, HRI 연구는 1900년대 초부터 이뤄지고 ... ...
이전2672682692702712722732742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