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봇과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들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있다”고 말했어요. 사람이 폭력에 익숙해지는 것이 문제라는 거죠. 올바른 로봇 사용 교육에 대해 고민했던 네이버랩스의 인턴 연구원들은 로봇 ‘쉘리’를 만들었어요. 쉘리는 2018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HRI 국제컨퍼런스에서 큰 주목을 받았지요. 쉘리는 거북이 모양의 로봇이에요. 쉘리는 ... ...
- 거짓말 어디까지 발전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유명해진 기계 학습 방법이에요. 인간이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본뜬 인공신경망을 사용하여 스스로 배울 수 있지요. 2014년, 구글의 컴퓨터과학자 이안 굿펠로는 딥러닝 기술 중 하나인 ‘적대적 생성망(GAN)’을 개발했어요. 위의 얼굴들은 모두 적대적 생성망 기술로 만들어졌지요.적대적 생성망은 ... ...
- 피플┃아마존은 왜 위성 데이터 비즈니스에 뛰어 들었나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수도 있다. 주차장, 물류센터, 소매점 등 다양한 비즈니스 시설의 인공위성 이미지를 사용해 자동차와 교통, 고객의 움직임 패턴을 측정하는 등 동향 파악도 가능하다. 호손 총괄은 “언제 어디서나 원할 때 위성 데이터를 손쉽고 저렴하고 빠르게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며 “대학의 연구, ... ...
- [수학뉴스] 코끼리는 수를 냄새로 구별한다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손처럼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코끼리가 코를 이용해 수도 인지할 수 있다는 놀라운 연구가 나왔습니다. 조지아 플로트닉 미국 헌터칼리지 심리학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아시아 코끼리가 냄새를 통해 양을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연구팀은 서로 다른 개수의 해바라기 ... ...
- 후보5. 실시간 계산 능력은 정어리가 최고!수학동아 l2019년 07호
- 게 많지요. 무리 짓기 알고리듬은 다양한 곳에 활용할 수 있어요. 컴퓨터 그래픽을 사용하는 영화와 게임에서물고기나 새의 모습을 재현할 때 이 알고리듬을 이용해 움직임을 나타내고, 드론이나 로봇 같은 기계가 무리를 지어 움직일 때도 이용할 수 있죠. 이렇게 동료들과 어울리는 데 도가 튼 ... ...
- [전지적 수학시점] 카트라이더, 백터로 코너 잘 돌기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리그 탭에서는 각 경기에서 프로 선수의 순위와 주행 거리, 평균 속도, 부스터 사용 횟수도 알 수 있어 게임할 때 참고하면 큰 도움이 되죠. 참고로 TMI(투 머치 인포메이션)는 궁금하지도 않은 과한 정보를 뜻하는 신조어입니다. 카트라이더는 한 판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지만, 매판 레이싱 ... ...
- [SW 진로체험] 수학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핵심은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고, 최근 한 차례 업데이트를 하면서 사용자들의 만족도가 더 높아졌어요. 지금 하는 일에 중·고등학교 수학이 쓰이나요?중·고등학교 수학을 직접적으로 쓰지는 않지만 딥러닝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을 그때 배운다고 생각해요. ... ...
- 탐험┃인도, 첫 시도에 성공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고효율로 진행할 수 있었던 것은 자체 개발한 발사체 덕분이었다. 메이븐의 경우 발사에 사용한 아틀라스V 로켓에는 러시아 엔진이 탑재돼 있지만, 인도는 발사체의 모든 부품을 국산화해 비용을 낮췄다. 이 같은 발사체 기술에 힘입어 인도는 현재 세계 5위권의 우주 강국으로 발돋움했다. 인도는 20 ... ...
- [동아리탐방] 수학에 눈뜨자! 경희여고 MathEye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방법도 알려드릴게요.” 이날 국회의원회관에서는 알지오매스라는 수학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학생과 교사, 수학 전문가가 한데 모여,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수학을 공부하는 새로운 교육 환경에 대해 이야기하는 ‘알지오매스 토크콘서트’가 열렸다. 경희여고 수학동아리 매스아이는 동아리 ... ...
- 상어가족, 백상아리만 있는 게 아니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이빨이 박혀 있다. 이빨 하나의 크기는 1mm도 안 될 정도로 매우 작은 데, 먹이를 먹을 때 사용하지 않아 퇴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래상어는 먹이를 먹을 때 입을 크게 벌린 채 앞으로 나아갈 뿐이다. 그러면 앞에 있던 플랑크톤과 새우, 작은 물고기가 물과 함께 들어간 뒤 아가미 근처에 있는 ... ...
이전2682692702712722732742752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