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초미세먼지 원인 이산화질소, 이제는 정확히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질소화합물까지 변환시키기 때문에 측정치가 정밀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정진상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대기환경표준센터 책임연구원팀은 자외선을 쪼이면 이산화질소만 일산화질소로 바꿀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정밀한 측정 장치를 개발했다. 기존 장치와 비교 측정한 결과, 대기 중 ...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있다. 또 피부 미백과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를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판철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강릉분원 천연물연구소 책임연구원팀은 아우딘퓨쳐스라는 화장품 회사와 공동으로 푸코잔틴을 이용해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화장품 원료물질을 개발했다. 비엠 바이오는 이 화장품 제조에 ... ...
- [Origin] 아스팔트 화산, 진흙 화산 들어는 봤나 ‘석유 화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이 사진 실화냐?투르크메니스탄에 있는 이 지형은 컴퓨터그래픽이 아니다. 땅 속 석유가스가 만든 실제 상황이다. 놀라운 건, 이런 기이한 지형이 한둘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아스팔트 화산은 미국과 멕시코 사이의 바닷속에서 2003년 처음 발견된 특이한 지형이다. 문명이 도달하기 어려운 3000~40 ... ...
- [Career] “사람도, 연구도 융복합에서는 최고가 되겠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흥미를 느끼고 공부를 더 해보겠다고 1980년대 초 미국에 건너간 것이 30년이 돼버렸다. “한국에 도움이 돼야겠다는 마음의 빚이 항상 있었다”는 손 총장은 버지니아대 컴퓨터과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2012년 DGIST로 옮겨 연구자로서 제2막을 열었다. 그는 “DGIST를 융복합 과학기술 인재 양성의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건강연구’ ‘단원고 학생 생존자 및 가족 대상 실태조사 연구’ 등을 진행했고, 현재 한국 성소수자의 건강을 연구하는 ‘레인보우커넥션 프로젝트’ 연구를 진행중이다. 이 책은 그 결과물이다. 그가 걸어온 연구의 발자취와 치열한 고민의 흔적들을 고스란히 담았다. 저자는 우리 사회가 앞으로 ... ...
- [Career] ‘한국의 젊은 노벨’ 한 자리에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속도에 관계없이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매직 휠(Magic Wheel)’을 제작했다. 허성범 군(한국과학영재고 2학년)은 “일상에서 얻은 아이디어를 끈질기게 발전시킨 점이 수상 이유가 아닐까 생각한다”며 “이번에 개발한 휠이 적재적소에 활용될 수 있길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금상은 목조 ... ...
- 한글의 美, 기하학 만나 추상미술로 피어나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대개 사과를 그리라고 하면 누가 봐도 사과인지 알 수 있게 그린다. 하지만 추상미술가에게 사과를 주문하면 도무지 사과라고 믿기지 않는 작품 ... 미국 한국문화원 전시를 통해 한글의 멋과 우리나라 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있다. 앞으로 한국 미술의 어떤 새로운 길을 개척할지 기대된다 ... ...
- [Focus News] 해수 온도 급상승 한반도 위험주의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62km 이동했다. 즉, 30년간 적도로부터 약 160km 북상한 셈이다. 코신 연구원은 “일본과 한국이 태풍의 위험지대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홍수 등 2차 피해 대비 해야”우리나라에 ‘슈퍼 태풍’이 닥치면 어떤 조치부터 취해야 할까. 반 소장은 “상황을 신속하게 알려주는 예보 시스템을 ...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굿바이 키스(the goodbye kiss)’라는 로맨틱한 이름을 붙였다. 그리고 9월 15일, 카시니는 한국시간으로 저녁 8시 55분경 토성의 대기권에 진입하면서 생을 마감했다. 고도 1500km 지점에 도달하자 엄청난 열이 발생해 1분 만에 선체가 소진됐다. NASA 연구팀은 토성계에 존재할지 모르는 생명체를 보호하기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분류돼 시력을 잃을 위기에 처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doi:10.1016/j.ophtha.2016.01.006a). 특히 한국을 비롯해 홍콩, 싱가포르 같은 아시아 국가들이 위험하다. 근시를 가진 20세 성인 비율이 60년 전에는 10~20%였는데, 최근에는 80~90%에 육박한다. 미국은 1970년대 25%에서 2004년 42%로 늘었다. ...
이전2702712722732742752762772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