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가짜 나’를 버리고 ‘진짜 나’를 찾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NASA)을 거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미국 헬리콥터학회 부회 장, 한국 드론산업진흥협회 부회장이며 아시아·호주 헬리콥터 포럼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지금이 내 인생의 터닝 포인트’, ‘인성본성탐구 및 인성본 성회복’ 등 인성교육 강좌를 KAIST에서 열었고, 작년부터 ... ...
- Intro. 작을수록 더 위험하다?! 미세 플라스틱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안녕~. 나는 바닷물고기 니모야. 요즘 나에게 이상한 일이 일어나고 있어. 분명 먹이를 먹고 배가 꽉 찼는데도 계속 배가 고픈 거야. 병원에 가 보니 의사 선생님이 내 뱃속에 미세 플라스틱이 가득하대.어떻게 된 거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작을수록 더 위험하다?! 미세 플라스틱의 습 ... ...
- Part 1. 미세 플라스틱 바다를 뒤덮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바다에 버려지는 쓰레기 중 30% 차지!바다는 지금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어요. 페트병과 비닐봉지, 스티로폼 부표, 담배꽁초 등 사람들의 생활에서 만들어진 쓰레기들이 바다에 그대로 떠내려오고 있지요. 이렇게 바다로 버려지는 쓰레기의 절반 이상은 자연에서 잘 썩지 않는 플라스틱 쓰레기랍 ... ...
- Part 2. 미세 플라스틱 옷에서 만들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페트병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나온다?치약 안에 있는 작고 알록달록한 알갱이를 본 적 있나요? 제품 뒷면에 ‘폴리에틸렌’이 써 있다면 미세 플라스틱일 가능성이 높답니다.미세 플라스틱들은 다른 쓰레기와 마찬가지로 사람들의 활동에 의해 만들어져요. 그 중에서도 처음부터 작게 만들어진 플 ... ...
- Part 4. 미세 플라스틱 독성 물질을 끌어당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거북이의 몸이 캔을 묶는 플라스틱 포장재에 얽혀 기형으로 변했다.유해물질, 미세 플라스틱에 달라붙다!플라스틱은 석유에서 얻은 여러 분자들을 결합해서 만든 화합물질이에요. 그래서 기름 성분과 친하지요. 미세 플라스틱이 바다 속에 들어가면 그 안에 녹아 있던 독성 물질이 쉽게 달라붙어 ... ...
- [과학뉴스] 플라밍고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홍학은 원래 열대나 아열대 지방의 짠물 습지에서 삽니다. 그런데 올해 8월 25일,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이 큰홍학을 새만금 간척지에서 목격하고, 이를 촬영했습니다. 홍학은 어디에서 온 것일까요. 동물원을 탈출한 개체는 아니라고 합니다. 동물원의 홍학은 날개깃을 잘라 멀리 ... ...
- Part 1. 그 男자의 ‘개기름’ 그 女자의 콜라겐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필라그린’ 유전자, 수분 조절에 관여김범준 교수팀은 한국인 남녀 638명의 피부 수분과 유분을 측정해 ‘대한화장품학회지’ 2013년 39권 3호에 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자 피부가 남자에 비해 볼 부위의 피부 수분 함량이 약 1.2배 많다. 김 교수는 ... ...
- Part 3. “화장품, 직접 발라봤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세대를 막론하고 ‘그루밍(남성이 외모를 다듬는다는 뜻)’이 대세다. 그중에서도 그루밍의 꽃은 피부다. 피부가 받쳐줘야 뭘 해도 돋보인다. 하지만 정작 어떤 종류의 화장품으로 어떻게 피부를 관리해야 하는지 막막한 경우가 많다. 그래서 준비했다. 10대부터 50대까지 세대별 화장품 체험기. 과 ...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3명이나 배출한 명문으로 꼽힌다. 박 양과 연구단은 메신저 아이디를 주고받으며 한국에서 만나자고 약속했다. 노소정 양(한양대 사대부고 2학년)은 “장영실주니어연구단 활동이 고등학교를 통틀어 최고의 경험이 될 것 같다”며 “이곳 친구들처럼 늘 긍정적인 생각을 하고, 무엇이든 열심히 하면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수 없음)에 해당하는 물질이며, 미국에서는 식품첨가물로도 사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독성학회 사무총장인 최경철 충북대 수의과대 교수는 “그룹3은 인체 발암물질이 아니라는 점이 확인됐다는 뜻이 아니라 아직 증거가 부족해 발암물질로 확정하기 어렵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향료가 ... ...
이전2712722732742752762772782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