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대안은? 버리지도 말고, 놓치지도 말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식별 번호를 통해 동물의 이름과 주인의 정보 등을 알 수 있지요. 이렇게 전자파를 이용해 신원을 확인하는 기술을 ‘전자태그(RFID)’라고 불러요. 칩이 동물을 아프게 하진 않을까요? 칩은 인체에 염증을 일으키지 않는 소재로 코팅이 되어 있어요. 칩을 피부 아래에 있는 피하조직에 심으면, 주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날개 없는 비행기 콘테스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다만, 마그누스 힘만으로는 배를 빠르게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화석 연료를 이용한 엔진과 함께 사용한답니다. 시험 운항을 해 본 결과, 다른 선박들에 비해 화석 연료를 25% 정도 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지요. 또한 최근 ‘MS 바이킹 그레이스’ 역시 로터 세일을 장착해 연간 900t 정도의 ... ...
- [과학뉴스] 3D 프린터로 척수 임플란트 제작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연구진이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척수 손상을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 마크 투진스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신경과학과 교수팀은 3D 프린터로 제작한 척수 치료용 인공 임플란트를 척추 부위에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의학’ 1월 14일자에 발표했다 ... ...
- [이달의 PICK] 밥상 떠난 오징어를 찾습니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채집해 위의 내용물을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DNA 분석이나 방사성동위원소 분석을 이용해 어떤 먹이생물을 먹었는지 직접 밝혀낼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갓 태어난 유생은 크기가 약 1mm로 매우 작아 채집하기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국립수산과학원 연구팀이 자연에서 채집한 유생 ... ...
- Part 1. WATER, TEA, SODA, MILK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지방을 빼서 건조시켜 가루 상태로 만든 것이다. 과자나 빵, 가공유 등을 만들 때 널리 이용된다. 환원유는 탈지분유를 물에 녹여 지방을 첨가한 뒤 다시 우유처럼 만든 것이다. 굳이 이렇게 번거로운(?) 작업을 하는 이유는 원유가 빨리 상하기 때문이다. 원유의 유통기한은 길어야 2주다. 하지만 ... ...
- [TECH] 새 애국가 담아낸 3D 음향기술과학동아 l2019년 02호
- TV도 사운드바 안쪽에 화면이 둘둘 말린 형태다. 사운드바 외에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이용해 3D 음향을 들을 수도 있다. 최 감독은 “현재 프라운호퍼 IIS에서 스마트폰용 엠펙-H 재생 애플리캐이션(앱)을 개발 중”이라며 “내부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출시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 ... ...
- [TECH] 카메라는 눈높이에 스피커는 어디에?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기관들이 거의 모두 몸통에 들어 있습니다. 그런데 로봇은 음식을 먹지도 않고 산소를 이용해 호흡하지도 않기 때문에 인간에게 필요한 많은 기관들이 필요 없습니다. 그래서 몸통에는 여유 공간이 많이 생깁니다. 이 공간에 로봇에 필요한 많은 장비들을 넣어야 합니다. 로봇은 주로 컴퓨터 같은 ... ...
- [나의 미국 유학 일기] 기숙사 식당 밥에서 요리로 진화 삼시세끼 라이프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보기 위해서 선배들의 차를 얻어 타곤 했는데, 한국 운전면허증으로 카 쉐어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돼 요즘에는 직접 차를 빌려 마트에 다녀온다. 처음에는 한국의 ‘장롱 면허’로 운전하는 게 자신이 없어 운전을 더 잘하는 친구에게 맡겼지만, 이제는 자신 있게 운전할 수 있다. ...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그쪽으로 생각했다. 그러다 수학을 공부하면서 컴퓨터를 접하게 됐고 프로그래밍을 이용해 수학 공부를 하면서 코딩에 흥미가 생겨 컴퓨터공학을 전공으로 택하게 됐다. 일반고 출신인 조 씨는 과학고 출신 친구들과 비교해 수학이나 과학을 배우는 정도가 적다고 생각해 그 격차를 줄이려고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02호
- 17세기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는 아르키메데스의 아이디어를 이용해 포도주 통의 부피를 넓은 원기둥으로 쪼개서 계산했는데, 이것이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적분 개념이에요. 원기둥의 부피를 구하는 공식은 알고 있으니 각 원기둥의 부피를 구해서 더하면 포도주 통의 부피가 ... ...
이전2712722732742752762772782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