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대표적인 예다. 일반적으로 머리카락의 움직임을 CG로 나타낼 때 가이드 헤어를
이용
해 작업한다. 가이드 헤어가 되는 한 가닥의 움직임에 맞춰 주변 머리카락들을 따라 움직이게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알리타는 가이드 헤어를 쓰지 않았다. 머리카락 한 가닥 한 가닥을 전부 따로 계산해 처리했다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차곡차곡 쌓아왔다. 부침도 있었다. 1970년 첫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했지만, 우주선을
이용
한 다음 비행 계획은 보류됐다. 1978년 당시 덩샤오핑 중국 주석이 중국의 우주 정책에 대해 “개발도상국으로서 중국은 미국과 소련의 우주 경쟁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기 때문이다. 이후 중국은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그쪽으로 생각했다. 그러다 수학을 공부하면서 컴퓨터를 접하게 됐고 프로그래밍을
이용
해 수학 공부를 하면서 코딩에 흥미가 생겨 컴퓨터공학을 전공으로 택하게 됐다. 일반고 출신인 조 씨는 과학고 출신 친구들과 비교해 수학이나 과학을 배우는 정도가 적다고 생각해 그 격차를 줄이려고 ... ...
[서술형 완전정복] 수학의 기초 집합 이해하기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들어 예제가 10점 만점인 문제라면① 각 원소를 조건에 따라 제대로 나누고, 곱의 법칙을
이용
해 바르게 설명한 경우: 6점② 논리적으로 빈틈이 없게 자신의 주장을 설명한 경우: ... ...
[전지적 수학 시점] 마인크래프트, 논리로 만드는 전기 회로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활용하고 있어요. 2018년 4월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서울교육대학교가 마인크래프트를
이용
해 교육 플랫폼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어요. 게임을 통해 상상력과 창의력, 논리적 사고를 기를 수 있다고 하니 여러분도 즐겨보세요 ... ...
[과학뉴스] 스스로 움직이는 식물 ‘엘로완’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빛의 변화가 감지되면 식물은 잎과 줄기 등에 전기화학적 신호를 보낸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
해 식물이 담긴 화분에 은으로 된 전극과 바퀴를 설치했다. 양쪽에 조명을 두고 한 쪽에 빛을 비추면, 빛을 감지한 식물의 전기신호가 줄기와 잎에 있는 전극을 따라 증폭되면서 식물 아래의 바퀴로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1 유병언은 언제 사망했나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진행돼 애벌레가 없어 법곤충학을 적용하기 어려운 시체도 부패지수와 유효적산온도를
이용
해 사망 시점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수사팀이 3~4년을 꼬박 매달려 얻은 귀중한 과학 수사법이다. 현재 수사팀은 이를 계산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해, 부패한 시체가 발견된 현장에서 ... ...
Part 4. 美 민간 기업과 손잡고 2026년 달 정거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공동 연구팀이 모듈 등 부품을 각각 제작한 뒤 우주에서 조립해 완성한다. 로봇팔을
이용
하면 위성이나 간단한 모듈을 궤도상에서 조립하는 게 가능하다. 큰 탑재체를 한꺼번에 올릴 필요가 없고, 위성 또는 모듈이 발사체에 실려 날아가는 동안 발생하는 진동을 잘 견딜지 알아보는 각종 시험도 ... ...
[Tech] 프로펠러 없이 하늘 난 비행기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나르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하지만 우리는 공기보다 더 무거운 물체가 날 때 이온풍을
이용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증명했다. 마치 어둠 속에서 작은 빛을 낸 것과 같다고나 할까. 버려진 연구 되짚기 이 비행기는 ‘전기항공역학 추진 시스템’으로 불리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 추진 ... ...
DGIST 뇌·인지과학전공 - 뇌질환 비밀 풀 열쇠 ‘세포의 성벽’ 인지질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패치클램프’(칼슘 통로에서 칼슘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양을 기록하는 기술)를
이용
해 베타 소단위체를 제거한 직후 칼슘 통로에서 칼슘 양이 어떻게 변하는지도 측정했다. 베타 소단위체가 사라지자 칼슘 통로에는 큰 변화가 나타났다. 우선 칼슘 통로가 열리는 폭이 40% 수준으로 줄었다.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