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인테리어 돕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우선 ‘평면 좌표’라는 개념을 알아야 해요. 평면 좌표는 평면을 x와 y라는 두 개의 축을 이용해 수직으로 나눠 순서쌍 (x, y)라는 좌푯값으로 평면 위의 모든 점을 나타내는 방법이에요. 이미 눈치 챘겠지만 2차원 도면은 평면 좌표로 나타낼 수 있어요. 격자에 도면이 그려져 있다고 생각하면 격자의 ... ...
- [INTERVIEW] 사람이 좋은 수학자, 천정희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다중선형함수는 정보(함수)를 감춘 상태에서도 계산할 수 있게 만든 함수예요. 이걸 이용하면 어려운 수학 문제에 비밀 값을 숨길 수 있어요. 이 문제를 풀지 않으면 정보를 알아낼 수 없게 만드는 거죠. 보통 새로운 암호 체계를 만들려면 0에서 연구를 시작하는데 이 기술로 대부분의 암호 체계를 ... ...
- [서술형 완전정복] 수학의 기초 집합 이해하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들어 예제가 10점 만점인 문제라면① 각 원소를 조건에 따라 제대로 나누고, 곱의 법칙을 이용해 바르게 설명한 경우: 6점② 논리적으로 빈틈이 없게 자신의 주장을 설명한 경우: ... ...
- [전지적 수학 시점] 마인크래프트, 논리로 만드는 전기 회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활용하고 있어요. 2018년 4월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서울교육대학교가 마인크래프트를 이용해 교육 플랫폼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어요. 게임을 통해 상상력과 창의력, 논리적 사고를 기를 수 있다고 하니 여러분도 즐겨보세요 ... ...
- [수학 기자의 책장] 다양한 기술 속 코딩과 수학 이야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목적지까지 가는 가장 빠른 경로를 몇 초 만에 알려주는 내비게이션, 좋아할 만한 영화나 드라마를 추천해주는 프로그램, 범죄자를 찾는 지문 검색 시스 ... 만나보세요. 코딩뿐 아니라 컴퓨터의 기본과 역사에 대해 알 수 있고, 코딩 프로그램을 이용해 간단한 수학 문제도 풀 수 있답니다 ... ...
- [과학뉴스] 바이러스로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 높여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김찬 분당차병원 종양내과 교수팀은 바이러스를 이용해 면역관문억제제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클리니컬 캔서 리서치’ 2018년 12월 11일자에 발표했다. 면역항암제로도 불리는 면역관문억제제는 암세포가 면역세포 발현을 ... ...
- [화보] 작은 우주가 담긴 당신의 눈동자에 건배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대부분 동물의 눈은 빛의 굴절을 이용해 초점을 맺지만, 바닷가재의 눈은 빛의 반사를 이용해 초점을 맺는다. 돌출된 눈을 잘 들여다보면 작은 ‘낱눈’이 여러 개 보이는데, 이 낱눈이 거울처럼 여러 방향에서 오는 빛을 반사해 하나의 상을 맺는다. 넓은 범위에서 오는 빛을 한곳에 모을 수 있어 ... ...
- [이달의 PICK] 한반도에서 자취 감춘 호랑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상관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조 소장은 “해독된 게놈 지도와 유전자 편집 기술을 이용하면 이미 멸종된 종을 살릴 수도 있다”며 “조지 처치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팀은 매머드 게놈을 해독하고 코끼리와 비교해 매머드를 복원하는 프로젝트를 시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유전자 분석 ... ...
- [시사기획] 2019 미세먼지 전망 어디까지 알아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미치는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며 “세포마다 독성이 다를 수 있어 심혈관세포 등을 이용한 추가 실험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박 교수팀은 동북아시아의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7년에 이어 이번 겨울에도 중국 베이징대 환경공학과 민후 교수팀과 중국 산둥에 있는 대기과학부 ... ...
- 현실같은 AR 게임 언제쯤 플레이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이 모터는 두께가 얇아 스마트폰에도 삽입할 수 있다. 이 패드는 인간의 착각을 이용해 효율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특히 의미가 있다. 손가락 촉각의 분해능은 약 5mm 정도다. 즉, 손가락의 한 지점에서 어느 쪽으로든 5mm 이내 범위에서는 뇌가 동일한 부위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10mm ... ...
이전2742752762772782792802812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