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1 유병언은 언제 사망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진행돼 애벌레가 없어 법곤충학을 적용하기 어려운 시체도 부패지수와 유효적산온도를 이용해 사망 시점을 추정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수사팀이 3~4년을 꼬박 매달려 얻은 귀중한 과학 수사법이다. 현재 수사팀은 이를 계산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해, 부패한 시체가 발견된 현장에서 ... ...
- Part 4. 美 민간 기업과 손잡고 2026년 달 정거장 만든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공동 연구팀이 모듈 등 부품을 각각 제작한 뒤 우주에서 조립해 완성한다. 로봇팔을 이용하면 위성이나 간단한 모듈을 궤도상에서 조립하는 게 가능하다. 큰 탑재체를 한꺼번에 올릴 필요가 없고, 위성 또는 모듈이 발사체에 실려 날아가는 동안 발생하는 진동을 잘 견딜지 알아보는 각종 시험도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의 아름다움을 아이들과 나눈 니콜 스탓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스타트업과 함께 일하고 있으면서도, 우주라는 무한한 가능성이 얼마나 많은 곳에서 이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깨닫지 못했던 것이다. 앞으로 어떤 사람들과 어떤 곳에서 우주를 함께 할 수 있을까.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 친구이자 선배, 니콜에게 이 기회를 통해 고마움을 전한다 ... ...
- 서울 선덕고 김지명 군 “ㄱㄴㄷ 문제는 개념 충실히 익혀야 안 틀려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때도, 문제를 풀 때도 책을 이용했다. 그는 “오답 노트를 따로 만드는 것보다는 책을 이용하는 편이 바로 정리할 수 있어서 편했다”고 말했다. 특히 김 군은 틀린 문제를 대하는 자세가 남달랐다. 틀린 문제를 다시 풀 때면 온 신경을 집중했다. 틀린 문제는 그 자리에서 바로 오답과 정답을 표기한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DNA 조각 1000개 이상의 염기서열을 한 번에 읽기는 어렵습니다. 최근에는 정보처리 기술을 이용해 유전체 해독 기술을 계속 업그레이드하고 있습니다. 가령 미국의 퍼시픽바이오, 영국 옥스퍼드나노포어테크놀로지가 개발한 새로운 유전체 해독 기술로는 염기 수천 개를 순식간에 읽어냅니다. Q ... ...
- [수학뉴스] 수학이 본 ‘대박 영화’는?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사회망 분석은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점과 선분으로 나타낸 뒤 그래프 이론을 이용해 특징을 분석하는 방법이에요. 연구팀은 각 영화를 점으로, 서로 관련 있는 영화를 선으로 이은 뒤 각 점에 연결된 점의 수, 연결된 점들 중에 똑같이 많은 점에 연결된 점이 몇 개인지 등을 계산해 영향력을 ... ...
- [Interview] 이상구 한국수학교육학회 회장 - 코딩은 수학 교육의 구원 투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방법을 알면 코딩으로 영화 CG 같은 입체도형도 가뿐하게 그릴 수 있어요. 3D 프린터를 이용해 원하는 모양을 만들어 볼 수도 있죠. 1월부터 주니어 폴리매스에 코딩 수학 문제를 소개합니다. 문제 풀이에 참여해 수학과 코딩 둘 다 잡으세요 ... ...
- [스타쌤의 수학 공부꿀팁] 부평동중학교 김정란 선생님, 새 가족이 생기는 수학 시간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생각해 볼 수 있게 준비된 수업이었다. 1차원 직선을 확장해 2차원 평면을, 2차원 평면을 이용해 3차원 공간을 만드는 사고 과정을 통해 3차원 공간을 4차원 초입방체로 만들어내는 추론을 해보는 수업이었다. 교과서에서 안 배우는 수학 개념을 수업시간에 다룬 것이지만 김 교사만의 원칙은 ... ...
- [SW 진로 체험] AI가 있는 곳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행동 중 ‘걷기’처럼 반사적인 행동을 알고리듬으로 나타내기 어려운데, 인공지능을 이용하면 이런 행동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어요. 김 기자 : 수학 전공자의 강점은 무엇인가요? 임성빈 연구원 수학 전공자는 수식에 강하니까 인공지능 관련 논문에 나오는 수식을 쉽게 ... ...
- Part 3. 태양계 경계 - 태양풍이 멈추는 곳에 다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다음으로 탐사할 카이퍼벨트 천체를 찾던 중에 발견됐지요. 지구에 있는 천체망원경을 이용해서는 마땅한 후보를 찾을 수 없었던 까닭에, 허블 우주망원경의 도움을 받아 어렵게 찾아냈답니다. 뉴 호라이즌스호는 1월 1일에 울티마 툴레에 3500km까지 가까이 접근해서 사진을 찍을 예정이에요. 이때 ... ...
이전2782792802812822832842852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