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며느리도 모르는 장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2차 발효가 모두 일어나 곰팡이도 고루고루 자랍니다.”곰팡이로 전통맛을 복원한다와,
지역
마다 왜 메주를 다르게 빚는지 곰팡이를 통해 알아내셨으니 이제는 ‘곰팡이 아빠’가 아니라 ‘메주 아빠’가 되셨네요? 호호.“아직은 아닙니다. 메주와 곰팡이에 대해 알아낼 것이 많이 남아 있거든요. ... ...
학교생활기록부를 100배 더 알차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다소 차이가 난다. 입시의 핵, 학교생활기록부 현재는 고등학교로 진학할 때 평준화
지역
일반고와 자율형 공립고, 과학중점고 등은 대부분 추첨을 통해 학생을 선발한다. 그러나 특목고와 자율형 사립고(이하 자사고) 및 특성화고는 자기주도학습전형을 하거나 자격요건을 갖춘 학생을 추첨으로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만 명”이라고 발표했다. 이 수치는 10년 전인 2000년에 비해 약 5500만 명이 늘어난 수치다.
지역
별로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가 1억 9950만 명으로 전체 거주 인구의 62%가 슬럼에 산다. 남아시아는 1억 9070만 명으로 35%, 동아시아 1억 8960만 명으로 28.2%가 슬럼 거주민이다. 가축의 밀집 사육 현황 역시 ... ...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몽골의 네멕트(Nemegt)
지역
은 크고 작은 강들이 많아 다양한 동식물이 살기에 안성맞춤인
지역
이다. 이런 곳을 무대로 타르보사우루스 무리가 집단 사냥하는 모습을 상상하기란 어렵지 않은 일이다.깃털달린 공룡의 출현?화산과 지진으로 숲과 둥지를 잃고 또 다른 낙원을 찾아 이동하는 공룡 무리들. ... ...
비전을 솔직하게 쓰고 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추천 전형 예비신입생 1박 2일 워크숍에도 다녀왔다. 워크숍에서 교수님의 강의도 듣고
지역
별 선후배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해 같은 전형으로 합격한 선배와 멘토링도 시작했다. “선배들이 학교생활에 대해 설명해 줬다”며 “동아리에는 꼭 가입해서 즐겁게 생활하며 공부할 것”이라 말하는현종 ... ...
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돌아본 뒤 조금 더 멀리 걸어나갔다. 물이나 광물을 찾기 위해 주로 탐사를 떠나는
지역
이 어디 있는지도 알려줬다. 다들 단단히 결심을 하고 왔겠지만, 황량한 사막을 눈앞에 두자 막막한 표정이었다. 나는 함께 노력해서 이 사막을 녹지로 가꾸자며 기운을 북돋아 주려 애썼다.그때, 기지에서 경고 ... ...
오로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위로 오로라가 비치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은 덤이다. 겨울과 여름에 각각 옐로나이프
지역
을 방문하고는 눈이 정말 많은 것을 감춘다는 것을 알았다. 겨울에는 그저 얼음에 덮인 뽀로로 동산(?)인 줄 알았는데, 눈이 녹은 여름철에 다시 가보니 풍경이 완전히 다르다. 하얀 눈 대신 온 천지가 물과 ... ...
사해, 12만 년 전 완전히 말랐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수면이 훨씬 더 빨리 낮아지는 데 인류가 큰 역할을 하고 있다”며 “사해에 인접한 중동
지역
국가들이 물 때문에 전쟁을 일으킬 정도로 사해 수면이 낮아지는 현상은 정치적인 시사점을 준다”고 설명했다.연구진은 “기존의 이론들이 사해 수면 고도가 현재보다 어느 정도 낮아진 상태에서 사해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벼룩로봇은 장애물을 쉽게 뛰어 넘을 수 있다. 벼룩로봇에 센서를 달면 환경오염
지역
이나 외계행성의 대기환경을 분석하는 데 활용할 수도 있다.벼룩로봇이 개발되기 전에도 높이 뛸 수 있는 로봇은 많이 개발됐다. 지난 2008년 스위스 로잔연방기술연구소(EPFL)의 다리오 플로레아노 교수팀은 ... ...
겨울의 DMZ에서 독수리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분계선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북한이 각각 2km씩 땅을 내놓경기관광공사아 군사적 완충
지역
으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가 바로 DMZ(비무장지대)다. 50년 간 사람의 출입이 통제되는 바람에 생물다양성이 보존되어 있다. 이곳에 살고 있는 야생동식물의 종류는 2716종. 이중 재두루미와 산양처럼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