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태국 남 뚜엄(홍수), 수학을 알았더라면?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개가 일렬로 있다면(가), 상류의 댐 A에서는 하류의 댐 B의 수위와 날씨를 고려한다. 하류
지역
에 많은 비가 내려 댐 B의 수위가 높을 때는 댐A에서 물을 보내면 안 되기 때문이다. 댐 B의 수위가 가장 높아질 때와 보낸 물이 겹치면 최악의 경우 댐 B가 무너질 수도 있다.양 갈래로 나뉜 물이 하나로 ... ...
로마 성 베드로 광장에서 햇빛으로 만든 달력을 찾다!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이런 자오선은 로마의 산타마리아 델리 안젤리 성당이나 성 베드로 광장 외에도 유럽 각
지역
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여행할 기회가 생긴다면 또 다른 자오선을 찾아보는 것도 흥미로운 일이지 않을까. *오벨리스크고대 이집트 왕조 때 태양신앙의 상징으로 세워진 기념비로, 대부분 프랑스, 영국, ... ...
Part 1. 명상의 뇌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명상은 보람있는 여생을 설계하는 데 동반자가 될 것이다.흔히 명상은 특정 종교나
지역
에 국한된 수행법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최근 들어 대학에서도 ‘행복학’이라는 명상 열풍이 불고 있다. 미국 하버드대에서는 심리학자 벤 사하르 박사가 개설한 행복한 강의에 학부 학생의 20%가 ... ...
지리산이 감싼 1500년의 눈물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당시 주력 전투함인 판옥선과 거북선을 건조하고 수리한 여수
지역
의 선소(지금의 조선소)를 하늘에서 내려다 보면 왜 그곳에서 배를 만들었는지 쉽게 알 수 있다.[➊ 조선 중기 시조의 대가였던 윤선도가 보길도에 지은 정원. 물에 씻은 듯 깨끗하고 기분이 상쾌해진다는 ... ...
남극 알프스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활발해져 지각이 위로 밀려 올라가 산맥이 다시 생겼다.페라치올리 박사는 “다른
지역
에 이런 크기의 산맥이 있었다면 침식돼 사라졌을 수도 있지만 갬부르체프 산맥은 약 3400만 년 전에 생성된 빙하에 가려 보존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현재 얼음 밑에 있는 암석 샘플을 직접 채취해 ... ...
세계 최고 그린에너지섬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뜨거운 물을 순환시키면 난방이 되기 때문이다.박 센터장은 “제주
지역
은 국내 다른
지역
에 비해 따뜻하다보니 오히려 냉난방 시스템이 발달하지 않아 불편하다”면서 “바닷물 냉난방 네트워크를 만드는 게 궁극적인 목표”라고 밝혔다.그는 “바람과 바닷물 외에도 제주도에는 ... ...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생물은 대양마다 다르다. 이 생물들은 가까운 열수분출구를 통해 이동한다. 따라서
지역
마다 열수분출구 주변 생물의 종류나 특성을 파악하면 생물들이 어떤 경로로 움직이는지 알 수 있다. 랭뮤어 교수는 “그동안 인도양과 태평양 사이에 생물이 어떻게 이동했는지에 대한 자료만 없었다”며 ... ...
“과학과 인문 겸비한 인재 키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1단계에서 2010학년도 17:1, 2011학년도에는 19:1의 최상위경쟁률을 기록했다. 인근
지역
의 전통적인 명문고들을 제친 비결이 무엇인가?신설 학교이지만 학생들에게 완벽한 학교를 선물하고 싶었다. 모든 면에서 학생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우선 우수한 교사를 초빙하고 시설에 신경을 써서 ... ...
사회적 이슈에서 연구주제 찾기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위해 에너지 절약 및 고효율 에너지설비를 보급하고 대체에너지와 천연가스를 사용한다.
지역
의 정책 중 화석에너지 사용 관련법을 개정한다. 학교수준 학교 숲을 조성하고 각 반의 종이 사용량을 한정한다. 종이 및 일회용품을 가장 적게 사용했거나 나무를 가장 많이 심은 반에게 상을 준다. ... ...
두바이 인공섬, 물고기에겐 지옥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1.7배와 2.45배에 해당하는 넓이다.이에 따라 해양 생태계 파괴도 심각했다. 팜 주메이라
지역
의 경우 야자수 모양으로 이뤄진 섬 안쪽에 바닷물이 고여서 최대 42일까지 빠져나가지 못하는 구간이 있었다. 그 결과 부영양화가 일어나 용존산소량이 떨어지고 물이 탁해지는 등 수질 오염이 일어났다. 또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