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8년 어과동 캐릭터 총출동 응답하라 2020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9호
- 에너지 효율이 높아져 이산화탄소 배출도 줄었죠. 신재생에너지도 부쩍 늘었어요. 우리나라는 신재생에너지로 전체 전기에너지의 5%, 영국은 풍력발전만으로 30%를 생산하고 있어요. 2035년에는 신재생에너지가 전 세계 에너지 40~50%를 담당할 거래요. 많은 가정과 회사가 유리창에 태양광 필름을 ... ...
- 귀뚜라미의 사랑고백 엿듣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9호
- 찌꺼기까지 가리지 않고 먹는다. 잠깐! 귀뚜라미 오케스트라를 소개합니다!귀뚜라미는 우리나라에 36종이 살고 있어요. 수컷들은 자신과 같은 종의 암컷을 유인하기 위해 제각기 다른 노래를부 르기 때문에,잘 들어 보면 36가지 서로 다른 귀뚜라미 노래를 감상할 수 있답니다. 과학특별시 홈페이지 ... ...
- 안경 없이 보는 3차원 영화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9호
- 3차원 영화가 흔해졌어요. 하지만 3차원 안경을 반드시 써야 해 불편하지요. 그런데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안경 없이 극장에서 3차원 영화를 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답니다.영화 스크린이 3차원처럼 보이려면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양쪽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이 들어와야 해요. 그래서 3차원 영화는 ... ...
- 화끈화끈 얼얼~ VS 아삭아삭 촉촉~ 두 가지 맛 고추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9호
- 할 매운 고추는 또 뭐가 있니?멕시코의 ‘하바네로’도 매운 맛을 조심해야 해요. 우리나라 고추 중에 가장 매운 청양고추 있죠? 청양고추 보다 15배나 맵다고 하더라고요.헉, 15배? 생각만 해도 얼굴이 화끈거리는 것 같아. 오이야, 고추야? 아삭아삭 순한 맛!고추라고 다 매운 건 아니에요. 오이처럼 ... ...
- 세계 첫 유전자 백과사전, 한국인이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9호
- 대해 잘 알면 지구를 내 것으로 만들 수 있을 거예요. 앗! 그런데 세계 에서 처음으로 우리나라 과학자가 유전자 백과사전을 만들었다고 하네요. 유전자 백과사전을 보면 유전자를 내 맘대로 조종할 수 있을까요? 이 책을 만드신 아주대학교 최상돈 교수님을 찾아가 한번 물어봐야겠어요. 유전자 ... ...
- [과학뉴스] 태풍이 찾은 1만 5000년 전 사람발자국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8호
- 전 무시무시한 태풍 볼라벤이 우리나라를 훑고 지나갔 어요.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 가운데 다섯 손가락 안에 들만큼 막강했는데요. 볼라벤이 제주도를 휩쓸고 지나간 뒤에, 약 1만 5000년 전에 찍힌 사람발자국 화석을 발견했어요.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와 대정읍 상모리 일대의 ... ...
- 이상한 철도나라의 '내려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8호
- 월 18일은 철도의 날. 우리나라에 경인선이 처음 운행한 1899년 9월 18일을 기념해서 지정했다. 썰렁홈즈는 철도의 날 기념 이벤트에 당첨되어 기차여행의 행운을 얻었다. 뜻밖의 휴가를 떠나는 썰렁홈즈의 여행에 단짝인 다무러가 빠질 수 없다. 그런데 이들을 기다리는 건 만만치 않은 고난의 ... ...
- 비밀의 섬 '모른대도'의 수상한 올림픽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7호
- 러시아의 양궁선수 ‘텐만 쏘네’로, 올해 2관왕을 노리고 있다. 중국의 ‘쏴방’과 우리나라의 ‘중앙만’ 선수 역시 만만치 않다. 각선수가 10발씩 한꺼번에 쏘는 특이한 양궁. 우승자는 과연 누구일까?텐만 쏘네(➊), 쏴방(➋), 중앙만(➌) 세 선수가 한 과녁을 향해서각각 10발씩 화살을 쏘았다. 각 ... ...
- 한입의 행복, 쌈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7호
- 상추에 싸 먹어야 제 맛이지! 이렇게 아삭아삭한 채소에 고기를 넣어 먹는‘쌈’은 우리나라만의 음식문화란다. 상추뿐 아니라 깻잎, 치커리도 쌈채소로 인기가 있지. 쌈채소 건강하게 먹는 법쌈채소에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가득 들어 있어. 가열하거나 조리하지 않고 먹기 때문에 풍부한 영양소를 ... ...
- 피부랑 꼭 닮은 센서가 나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7호
- 피부를 닮은 센서를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만들었어요.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서갑양 교수와 방창현 박사, 안성훈 교수팀이 만든 이 센서는 피부처럼 유연하고 다양한 자극을 느낄 수 있답니다.연구팀은 사람 피부에 나 있는 빽빽한 털인 섬모에 주목했어요. 섬모가 나 있는 덕분에 귓속에서 ... ...
이전275276277278279280281282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