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식"(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기자의 책장] 세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도구, 단위!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중간 중간 나오는 퀴즈들을 풀다보면 시간 순삭! 수학 정복! 수학 공식이 외계어 같고 수학 시간만 되면 잠이 쏟아진다면 ‘수학천재의 비법노트’를 읽어보자. 수학을 잘할 수 있는 비법이 가득 담겨 있는 이 책에는 수학의 원리와 개념, 꿀팁, 비법이 깔끔하게 정리돼 있다. ... ...
- [특집] 핵심만 쏙 뽑은 확률의 기본 개념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반면 n개의 데이터 중 순서를 생각하지 않고 r개를 뽑는 것을 조합이라고 합니다. 조합 공식 nCr =nPr/r! 이때 r!은 1부터 r까지의 자연수를 곱한 값이며, 0!과 nC0의 값은 모두 1로 정의합니다. 3 빈도적 확률 우연에 지배되는 어떤 사건 A가 일어날 가능성을 A에 대한 수학적 확률이라고 하며 P(A)로 ... ...
- [매스크래프트] #17. 스타워즈의 날 기념, 데스 스타에 숨어 있는 구의 부피수학동아 l2021년 05호
- 1977년 개봉한 스타워즈에 등장하는 ‘데스 스타 1’의 반지름은 약 80km입니다. 이를 공식에 대입하면 데스 스타의 부피는 약 2천 144조 m3가 나오죠. 철의 가격은 1톤당 42만 원(2021년 4월 7일 산업통상자원부 원자재가격정보 기준)입니다. 톤은 질량 또는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부피를 나타내는 ... ...
- [논문탐독] 오류에서 찾은 혁신의 실마리 주사터널현미경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약 5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입니다. 독일의 물리학자 에른스트 아베가 만든 공식에 따르면 광학현미경이 구분해 관측할 수 있는 물체의 최소 크기는 파장의 절반입니다. 약 250nm보다 작은 크기의 대상을 가시광선으로 관찰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광학현미경의 렌즈를 아무리 조합해도 0.1nm ... ...
- [기획] 음악으로 발견한 소통의 본질, 뮤지션 박새별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때, 단어를 벡터(크기와 방향을 갖는 물리량)로 표현하고, 벡터사이의 관계를 파악해 공식화하는 작업이 필요한데(예를 들어 ‘왕-남자+여자=여왕’처럼 단어들 간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나는 이를 음악 버전으로 만드는 셈이다.우리는 언어를 사용할 때 ‘사과’ ‘나비’처럼 단어 ... ...
- '탄소 저감 실패 우려국가' 오명 씻으려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근본적인 전환 필요 현 정부는 지난해 10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탄소중립이 인류 생존을 위해 불가피하다는 사실이 확실해지고 EU와 미국, 중국 등 주요 무역대상국의 정책기조가 탈탄소로 바뀌면서, 새롭게 형성되는 탈탄소 세계 경제체제에 선제적 감축 및 기술투자를 ... ...
- [매스미디어] 하나의 세계, 두개의 미래 시지프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납득하도록 인천국제공항과 가까운 김포를 설정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학 공식을 보면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수학 기자의 눈으로 드라마 속 상황을 분석해 봤다. 이처럼 수학이나 과학적으로는 엄밀하지 않지만 드라마 속에서는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도록 의도적으로 설정하는 것들이 많다. ... ...
- [수학동아 x 유튜버 로지컬 콜라보] 나만의 원주율 증명 영상 공모전 수상작 발표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작품은 한 변이 1인 정육면체와 여기에 내접하는 구, 수학 시간에 배운 구의 부피 공식(4πr3/)3, 무한의 개념 등으로 차근히 논리를 풀어 이해하기 쉽습니다. 깔끔하게 정돈된 3차원 이미지와 글씨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영상의 완성도가 매우 높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이미지부분 1등 6은 4예요 / ... ...
- [기획] 데이터로 입증한 다양성의 힘, 감독 장지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소비자가 좋아하는 성향을 분석해 노출하는 식이다. 여성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공식 포스터보다 배우 김태리 단독 포스터가 먼저 뜬다.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노출되는 영화의 라인업도 다르다.국내 영화계에도 이렇게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는 생태계가 갖춰질 필요가 있다. 특히 연구소가 ... ...
- [기획] “간단한 수학만으로도 개미를 연구할 수 있어요!”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제가 쓰는 수학은 어렵지 않습니다. 고등학교 수준의 수학도 많죠. 수학을 공부할 때 공식과 개념에 담긴 의미를 자신의 것으로 만든다면, 수학적 사고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많이 될 거예요! 최 연구원은 “생물체를 이용한 실험은 조건을 바꾸는 것이 어렵다”며 “이럴 때 시뮬레이션을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