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식"(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 [헥!헥!핵물리학자] 쪼개고 또 쪼개면 세계의 근본을 알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각각 ‘쿼크’와 ‘에이스’라는 이름을 붙였지요. 이후 ‘쿼크’가 더 많이 사용돼 공식 용어가 되었답니다. 쿼크의 존재, 실험으로 증명되다쿼크는 언제 처음으로 발견됐을까요? 1968년 미국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는 전자를 빠르게 가속해 양성자에 부딪히게 하는 실험을 했어요. 양성자 ... ...
- 예술이 된 우주·과학동아천문대 소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이름은 지난 3월 27일 천체 탐사 위성인 ‘NEOWISE’가 발견해 붙여진 이름이에요. 공식 명칭은 ‘C/2020 F3’으로 2020년 3월 후반 세 번째로 발견됐고, 주기가 없거나 알 수 없는 혜성이라는 뜻이지요. 혜성은 태양을 타원 궤도로 도는 천체로, 얼음과 암석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태양과 점점 ... ...
- [기획] 2장. 키블 저울, 어떻게 질량을 측정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만들어 두 힘의 균형을 맞춰 물체의 질량을 알아내는 거예요. ‘중력=전자기력’이라는 공식에 들어가는 여러 수치들 중 질량을 제외한 나머지 수치를 구하면, 역으로 물체의 질량을 구할 수 있는 원리지요.키블 저울은 1kg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수 저울이에요. 같은 킬로그램 원기를 ... ...
- [헥!헥! 핵물리학자] 흡사 입자 탐정 수사극? ‘검출기’ 속 입자의 흔적을 추적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거예요.다행히도 물리학자들은 입자가 움직인 경로를 통해 질량을 계산할 수 있는 공식을 알고 있어요. 바로 ‘운동량’이라는 물리량을 이용하는 거예요. 물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운동량은 질량과 속도의 곱으로 계산돼요(운동량=질량×속도). 즉, ‘입자 탐정’은 입자가 검출기에 남긴 ... ...
- [가상인터뷰] 화성 ‘두더지’, 땅속으로 들어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Q 그럼 두더지 임무는 실패로 돌아간 거야?지난 6월 3일, 마스 인사이트 연구팀은 공식 트위터를 통해 1.8m의 인사이트 로봇 팔로 두더지를 땅속으로 밀어 넣는 데 성공했다는 소식을 전했어. 11주 동안 6번에 걸쳐 로봇 팔 끝에 달린 까만 주걱으로 두더지 장비를 꾹꾹 밀어 넣은 결과지. 하지만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없어요. 그래서 그가 실제로 146살이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요.지금까지 공식 기록으로 인정받는 가장 오래 산 사람은 프랑스의 할머니 ‘잔 칼망’이에요. 1875년 2월 21일 프랑스 아를에서 태어나 1997년 8월 4일 세상을 떠날 때까지 122년하고도 164일을 사셨죠. 얼마나 긴 시간인지 감이 ... ...
- 알아두면 쓸모 있는~ 수학동아 알차게 보는 꿀팁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더 공부하고 싶은 분야가 생길 거고, 그때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면 돼요. Q 수학자는 공식을 만드는 일까지만 하나요? 그 이상까지 나아가나요?_신준용 멘토순수수학자냐 응용수학자냐에 따라 다른데요, 순수수학과 응용수학의 경계가 점점 허물어지고 있어요. 최근에는 공식, 즉 새로운 알고리듬이 ... ...
- [시사과학] 공인인증서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인증서만 써왔는데, 앞으로는 인터넷 전문은행에서 비대면으로 발급한 인증서도 공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라고 설명했답니다. 사물도 인증받는 시대가 온다! 사물인터넷이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면서 자동차와 스마트 기기들도 인증을 해야 해요. 스마트기기들이 네트워크에 ... ...
- [매스미디어] START-UP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때 1과 100, 2와 99, 3과 98처럼 수를 둘씩 짝지어 합이 101인 쌍 50개를 더하는 방법으로 수학 공식은 사용하지 않고 문제를 풀었는데, 김 의장은 이런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스타트업 업무에도 필요함을 강조한 것이다.실제로 성공적인 스타트업을 분석하거나 필요한 기술을 선별, 선점할 때 수학이 ... ...
- [퍼즐라이프] 해법 없이도 해결! 루빅스 큐브수학동아 l2020년 12호
- 한 뒤 선택한 공식을 사용하면 큐브 조각의 위치가 서로 바뀌죠. 그런 뒤 준비 이동의 역공식을 사용하면 바뀐 조각을 이전 조각이 있던 자리로 보낼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도 이 방법으로 루빅스 큐브를 직접 맞춰보세요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