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실"(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2017.02.060 연구팀은 실험 결과 애벌레 100마리가 12시간 동안 92mg의 비닐봉지를 섭취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이 애벌레는 비닐봉지에 들어있는 폴리에틸렌을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로 분해했다. 에틸렌글리콜(C2H4(OH)2)은 자동차 냉각수나 부동액의 성분으로 쓰이는 물질로, 비교적 간단한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암흑에너지 형태의 에너지가 있어 우주가 가속팽창하기 시작했다는 건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암흑에너지의 양이 왜 이렇게 많은지는 아직 아무도 모른다. 심지어 이론가들의 예측과 관측 결과의 오차가 가장 큰 부분이 암흑에너지의 양이다.박 교수팀은 초기 우주가 급팽창하기 위해서는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학년이 된 아들까지 그림 작가로 참여했다.저자는 자신을 ‘불량엄마’라고 표현하지만, 사실 책을 읽다보면 이토록 친절한 엄마가 어디 있나 싶다. ‘원소는 어디에서 온 거야?’라는 아이의 질문에 중성자별로부터 원소가 생겨나, 분자를 이루는 대서사를 이야기해 줄 엄마가 과연 몇이나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분산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는데, 고등학생 수준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라는 사실을 확인한 뒤 포기했다.실패한 내용을 적는 것을 꺼려할 수 있지만, 이씨는 오히려 실패를 통해 배운 점을 강조했다. 그는 “실제 면접에서도 교수님들이 실패한 연구에 대해 물어봤다”며 “대학에서 공부한 ... ...
- 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없었지요. 그러던 중 2002년 리에주대학교에서 외계생명체에 관한 연구를 시작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답니다. 마침 그 해에 외계행성의 대기 성분을 알아냈다는 연구가 처음 발표됐지요. 이때 조만간 외계행성의 비밀을 밝혀낼 수 있겠다는 확신에 외계행성 연구에 뛰어들었어요. Q. 트라피스트- ... ...
- Part 1. 더 튼튼하게, 더 멀리! 바퀴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사실 바퀴는 인류가 만든 위대한 발명품 중 하나로 꼽혀. 만약 바퀴가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우리는 무거운 짐도 제대로 나를 수 없었을 걸~! 세상을 바꾼 ‘바퀴’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 어린이들이 즐겨 타는 킥보드, 스마트 모빌리티까지…. 우리 주변의 탈것들은 대부분 바퀴를 이용해 ... ...
- 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집합이 크기와 짝수 집합의 크기가 같다는 사실과 실수 집합이 자연수 집합보다 크다는 사실은 알았다. 하지만, 실수 집합과 자연수 집합 사이에 집합이 있는지는 알지 못했다. 힐베르트가 힐베르트 프로그램에서 말한 대로 수학이 완전하다면, 이 문제는 같은 수 체계에서 실수 집합과 자연수 집합 ... ...
- [국립과학관 공동특별전] 수학나라의 앨리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수학나라에서 다양한 모험을 즐길 준비가 됐나요? 안과 밖이 똑같은 뫼비우스 띠처럼 사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수학나라고, 수학나라가 곧 우리가 사는 세상이랍니다. 어서 수학나라에 방문해 보세요. 수학 기호가 빨려 들어가는 굴이 수학나라로 가는 입구랍니다 ... ...
- [과학뉴스] 별 집어삼키는 초거대 블랙홀의 ‘트림’ 포착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전파망원경이 10년간 이 전파를 관측했다. 그 결과 전파가 한쪽 방향으로만 방출된다는 사실을 확인했고, 이것이 제트 현상에서 나타나는 것과 동일한 현상임을 확인했다. 제트 현상으로 물질이 방출되는 속도는 광속의 4분의 1정도로 측정됐다. 연구에 참여한 미구엘 페레즈토레스 스페인 ... ...
- [과학뉴스] 묵은지는 왜 김치와 맛이 다를까?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김치의 신선한 맛을 내는 성분인 아세토인을 분해해 김치의 맛과 향을 바꾼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 연구원은 “웨이셀라 코리엔시스는 산성에 견딜 수 있어, 산도가 강한 묵은지에서도 왕성하게 활동해 김치의 맛을 좌우한다”고 설명했다. doi: 10.1016/j.fm.2018.04.00 ... ...
이전276277278279280281282283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