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4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초과학 전문 연구기관 ‘IBS’ 5주년… 대중강연 및 각종 행사 열린다
2016.11.17
미국 하와이대 교수가 ‘초기 인류 대이동의 천문학적 요인’을 주제로 강연에 나선다.
나노
과학의 대가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이화여대 교수는 ‘주사터널현미경, 원자를 보는 기적의 기기’를 강연한다. 대중강연은 현장에서 무료로 등록할 수 있다. 행사가 진행되는 이틀 동안 각종 콘퍼런스와 ... ...
세포 투과율 직접 확인… 최적의
나노
입자 찾는 법 알아냈다
2016.11.16
표면 전하나 합성에 따른 투과도 변화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합성약물을 전달할 최적의
나노
입자를 찾는 데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9월 19일자에 게재됐다 ... ...
스마트폰 폭발 위험 사라진다… 신개념 배터리 개발
2016.11.16
없어 폭발 위험도 크게 낮아진다. 또 연구진은 고체 상태인 겔 전해질 안에 4.37nm(
나노
미터·1nm는 10억분의 1m) 간격의 층상구조를 만들어 효율적으로 이온 전달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이 결과 기존 액체 배터리액에 못지않게 전력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구 연구원은 “기존 배터리의 ... ...
방사선 쪼여 태양전지 수명 2.5배 늘렸다
2016.11.15
연구팀은 그래핀에 방사선을 쬐어 태양전지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신소재를 개발했다.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 성능 향상에도 PRGO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
나노
에너지(Nano Energy)’ 11월 1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식중독 균 경고하는 파란 빛
과학동아
l
2016.11.11
몸속에서 식중독 같은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연구팀은 새우에서 추출한 효소인
나노
루크 루시페라아제를 박테리오파지 바이러스에 넣었다. 박테리오파지가 숙주의 몸속에서 에너지를 생산해 이 효소가 활성화되면 파란빛을 띤다. 음식에 있는 대장균을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셈이다. 지금까지 ... ...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11.09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연구를 함께한
나노
전자기학 더미스 프로드로마키스 교수는 “
나노
크기의 멤리스터를 통해 신경회로의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공식화할 것”이라며 “뇌를 이해하는 기술적인 패러다임 자체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0월 ... ...
과학자 1인당 기술료 최고 100억 ‘대박’ 터졌다
2016.11.08
함께 콜마BNH를 설립했다. 이때 ‘항암치료 보조식품 제조기술’ 및 ‘화장품 관련
나노
기술’ 등 특허기술을 출자하고 37.8%의 지분을 확보했다. 현금으로 환산하면 3억7800만 원의 가치다. 콜마BNH는 이후 건강기능식품 ‘헤모힘’, 고순도화장품 ‘아토미(美)’를 출시하며 시가총액 1조 원대 ... ...
‘마술종이’로 감쪽같이 사라지는 전자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11.06
사라져버리는 마술종이의 재료다. 최 교수팀은 니트로셀룰로스 종이 위에 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해 전자 장치의 기본이 되는 반도체용 트랜지스터를 제작했다. 특히 무선 조작이 가능한 전기 히터를 새겨 넣어 원하는 시점에 히터의 열로 종이 기판을 파괴할 수 있게 했다. 최 교수는 ... ...
당뇨병 환자 콕 집어내는 초고성능 가스센서 나왔다
2016.11.02
초고성능 가스센서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연구진은 신소재인 이산화 텅스텐을 3
나노
미터(nm, 1nm는 10억분의 1m) 두께의 얇은 막으로 만들어 극미량의 화학물질을 검출하는 센서를 만들었다. 이산화 텅스텐은 그래핀처럼 2차원(평면) 결정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반도체 성질을 가지고 있고, 얇게 ... ...
먹는 시금치로 지뢰를 찾을 수 있다고?
2016.11.02
있던 근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해 감지 결과를 e메일로 전송하는 것이다. 실험결과
나노
물질을 넣은 시금치에 질화방향족이 포함된 물을 주자 10분 뒤에 이메일로 감지 결과를 받아볼 수 있었다. 연구를 주도한 민 하오 웡 미국 매사추세츠 공대 화학공학부 박사과정생은 “바이오센서를 통해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