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노"(으)로 총 3,642건 검색되었습니다.
- 병든세포만 정밀 타격…신개념 암치료제 나온다2016.08.09
- 세포가 핵산이나 단백질을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동그란 주머니다. 크기가 50~200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로 작아 세포 내부로 들어갈 수 있어 ‘세포의 배달부’라고 불린다. 세포외소낭을 활용하는 연구는 기존에도 많았지만, 주로 각종 단백질을 표면에 부착하는 식이었다. 인체 면역세포가 ... ...
- ‘투명 망토’는 ‘저널리즘’을 어떻게 바꿀까?2016.08.09
- 그것이다. (과학동아 2014년 6월호 참조). 연구진들은 논문에서 7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재 매개체를 사용해 빛을 굴절시켜 물체가 보이지 않도록 했다.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은 7개의 층을 이용했다는 점이다. 과거 연구들이 주로 한 개 층만을 이용해 물체를 보이지 않게 한 반면에, 이 ... ...
- 반도체 제작 걸림돌 ‘빛 번짐’ 잡았다2016.08.08
- 보인다. 유 연구원은 “반도체, 광학, 의료소자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는 3차원 나노구조체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즈’ 2일 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 ...
- DNA가 빛나는 밤과학동아 l2016.08.07
- 완성했다고 밝혔다. DNA 종이접기는 긴 가닥의 DNA를 원하는 모양대로 접는 기술이다.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단위의 작은 구조물을 만들 때 유용하지만, 접힌 DNA를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놓는 기술이 부족해 상용화되지 못했다. 연구팀은 DNA를 660nm 파장의 붉은 빛만 반사하는 특정 구조로 접고, 20nm ... ...
- 폭염 막아주는 반투명 태양전지 나왔다2016.08.01
- 자체 개발한 전극을 덧붙여 이같은 태양전지를 만들었다. 수 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얇은 박막을 제작한 뒤 이를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투명한 금속 전극을 제작했다. KAIST 제공 이 태양전지의 에너지효율은 13.3%. 일반적인 고효율 태양전지와 비슷했다. 100의 태양 빛을 받았을 때 13. ... ...
- 샴푸, 마지막 한 방울까지 짜 쓰려면과학동아 l2016.07.31
- 계면활성제가 많이 섞여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유리의 주성분인 이산화규소를 나노입자로 만들어 용매에 섞은 뒤, 플라스틱 표면에 뿌렸다. 플라스틱이 용매에 살짝 녹았다 굳는 과정에서 이산화규소가 표면에 고르게 박혔다. 현미경으로 확대해 보니 ‘Y’자 모양으로 돌출된 마이크로미터 크기 ... ...
- 까다로운 심근경색 진단…피 한 방울로 1분이면 '끝'2016.07.29
- 단백질을 감지하는 기술이다. 평소 사람의 트로포닌I 단백질의 농도는 mL당 10.6ng(나노그램·1ng은 10억분의 1g) 이하지만 심근경색이 나타나면 3, 4시간 안에 농도가 30%까지 상승하고 이 상태로 4~10일간 유지된다. 트로포닌I에만 반응하는 물질이 내장된 이 센서는 단백질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 ...
- 면역세포에 로봇 태워 암 세포 공격한다2016.07.26
- 말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6월 27일자에 실렸다. 나노 입자를 이용한 기존 치료법(왼쪽)과 마이크로로봇을 이용한 치료법(오른쪽). - 전남대 ... ...
- 스마트폰 터치 패널 더 싸고 더 얇게... 희토류 대신 구리 사용2016.07.25
- 사용한다. 연구진은 재료 흡수율이 낮은 광통신용 레이저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구리 나노입자를 원하는 부분만 순간적으로 빨리 녹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구리선을 미세하게 가공하는 방법은 기존에도 있었다. 그러나 유독한 화학물질이 필요하고 전류소비도 많았다. 연구진이 새롭게 ... ...
- 빛의 색깔 자유자재로 바꾸는 방법, 사탕에서 찾았다2016.07.25
- 색깔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정순문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나노에너지융합연구부 선임연구원 팀은 사탕이 부서질 때 자외선이 발생하는 ‘미케노발광’ 현상을 응용해 빛의 색 조절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미케노발광은 기계적인 힘으로 전자의 이동과 ... ...
이전280281282283284285286287288 다음